성인간호학 비뇨기계 구조와 기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비뇨기계 구조와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
3
Ⅱ.
본 론 ---------------------------------------------------------
3

1. 신장 ---------------------------------------------------
3


2. 요관 ---------------------------------------------------
9


3. 방광 ---------------------------------------------------
9


4. 요도와 요도구 ----------------------------------------
11


5. 노화와 배뇨기능 --------------------------------------
11

Ⅲ.
결 론 ----------------------------------------------------------
12
Ⅳ.
용 어 정 리 ---------------------------------------------------
13
Ⅴ.
참 고 문 헌 ---------------------------------------------------
13

본문내용

여과율 : 45세 이후부터 감소함 65세 이후에는 65ml/분(정상 성인의 1/2)으로 더욱 감소함 (당뇨나 고혈압 환자는 더 빨리 감소함.)
- 세뇨관의 변화 → 소변 형성 능력 감소, 야뇨성 다뇨 또는 소듐, 산, 중탄산 등의 불균형 → 탈수나 고나트륨혈증 등을 동반함.
- 신기능의 저하는 소변 중 크레아티닌 배설량과 크레아티닌 청소율의 감소로 알 수 있음. 30~40세에 12.9ml/dl인 혈중 요질소 치가 70세가 되면 21.2ml/dl가 됨.
- 호르몬 변화 → renin분비나 aldosterone, 비타민 D의 활성을 감소시킴.
2) 방광
- 방광근육이 비대해지고 방광벽은 두꺼워짐. → 방광의 확장 능력방해 → 방광용적 감소, 배뇨반사가 지연 → 빈뇨, 절박뇨, 야뇨 발생, 잔뇨량 증가
- 요실금은 노화에 따른 정상적인 변화는 아니지만 많은 폐경기 여성에게서 복압성 요실금이 나타나는데 이는 골반격막의 약화 때문임
신체적 변화
간호
사구체 여과율 감소
체내 수분상태 관찰
적절한 수분 섭취 권장
약물의 신독성 주의
야뇨
야간 점화, 안전한 환경 조성
화장실, 침상변기 등 편의시설 조성
잠들기 2~4시간 전 과도한 수분섭취 제한
투약력과 야뇨 시간 파악
방광 용적 감소
적어도 2시간마다 배뇨하거나 화장실, 침상변기 등의 사용 격려
대상자의 배뇨 요구에 즉각적으로 반응
요도괄약근의 약화
배뇨 후 회음부 간호 제공
소변 정체
잔뇨 확인(방광 긴장도), 요로계 감염(배뇨곤란, 악취, 혼돈)
배뇨시 프라이버시 존중하고 음부에 따뜻한 물을 흘려주는 등 배뇨 자극
Ⅲ. 결 론
비뇨기계 구조를 크게 나누면 신장, 요관, 방광, 요도와 요도구로 나눌 수 있다.
신장(Kidney)은 제 12 흉추에서 제3요추에 걸쳐 척추 좌, 우에 위치하는 완두콩 모양의 장기로서, 소변을 형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기능단위인 nephron에서 사구체여과, 세뇨관 재흡수 및 세뇨관 분비의 과정으로 소변이 하루 1500ml 정도 형성된다. 소변을 형성하는데 있어 가장 먼저 사구체에서 여과작용이 일어나는데, 사구체는 수분과 전해질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는 반면 분자량이 큰 알부민이나 적혈구는 통과할 수 없도록 반투막으로 되어 있고, 이것을 여과라고 한다. 두 번째로 신세뇨관에서 여과액의 99%를 체내로 재흡수하고 1~3L의 배뇨를 유지하여 탈수 예방을 하기 위해서 재흡수 과정이 일어나고, 마지막으로 세뇨관에서 분비작용이 일어남으로써 소변이 형성되게 된다. 신장은 소변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수분과 전해질 조절, 산-염기 조절, 혈압조절, 대사 및 내분비 기능에도 영향을 미친다.
요관(Ureter)은 골반강 내에서 방광벽의 후측면에 비스듬히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소변을 신우에서 방광으로 운반하는 기능을 한다.
방광(Bladder)은 요관을 통해 들어온 소변을 저장하는 장기(용적 500ml)로, 방광저(fundus), 방광첨(apex), 방광경(neck), 방광삼각(trigon)으로 구성된다. 방광에 150ml정도 차게 되면 첫 번째 요의를 느끼게 되고, 400ml 차게 되면 방광이 찬 느낌이 뚜렷해지며, 요의는 천추신경으로 전달되어 배뇨반사가 시작된다.
요도(Urethra)는 점막으로 된 근육성 관으로, 소변을 체외로 운반하는 통로이다. 남성의 경우 길이가 약 20cm, 여성의 경우 길이 약 4cm인데, 여성의 경우 항문과 질이 요도 가까이 위치하고 있어 이 부위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미생물들이 요도를 통해 방광 쪽으로 쉽게 옮겨갈 수 있기 때문에 여성이 남성보다 방광감염의 발생률이 더 높다.
이러한 배뇨기능은 노화의 영향에 따라 변하게 되는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조직성장의 저하, 네프론 수의 감소와 혈관의 경화로 인해 신질량이 감소하게 되며 신장의 위축이 촉진되며, 피질의 감소로 신장혈류가 감소하게 되고, 사구체여과율 또한 감소한다. 또한, 방광근육이 비대해지고 방광벽은 두꺼워져 방광의 확장 능력을 방해하여 방광용적의 감소와 배뇨반사가 지연되면서 빈뇨, 절박뇨, 야뇨가 발생하고, 잔뇨량이 증가한다.
우리는 시나리오에서 000(69/F)님의 U/A 검사결과 비뇨기계 감염이 의심된다고 생각하였다. 000님의 나이가 69세인만큼 노화에 따라 배뇨기능에도 영향을 미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000님처럼 노인들의 비뇨기계 신체적 변화에 대해서 간호사는 야뇨가 증가하기 때문에 잠들기 전 과도한 수분섭취를 제한하고, 방광용적이 감소하기 때문에 적어도 2시간마다 배뇨할 수 있도록 격려해야 한다. 또한 배뇨 후 회음부 간호에 신경을 써야 하며, 소변 정체 시에는 잔뇨량을 확인하고, 요로계 감염증상이 있는지 잘 사정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Ⅳ. 용어정리
용어
정의
소신배
대신배
한쪽의 신장에는 8~12개의 소신배(작은 콩팥잔)가 있고, 이 소신배들이 모여 2~3개의 대신배(큰 콩팥잔)를 이루며 대신배는 다시 합쳐져 신우가 됨.
보우만 주머니
(보먼 주머니)
Bowman\'s capsule
보먼 주머니는 신장의 관 형태의 기관인 네프론의 시작점에 위치함으로써 혈액으로부터 오줌을 걸러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모세혈관의 덩어리인 사구체는 보먼주머니로 둘러싸여 있다.
헨레고리
loop of Henle
세뇨관이 신소체를 나와서 근위우곡부(近位迂曲部)를 거쳐서 수방선에서 수질로 향하고 신추체(臂錐體)내에서 구부러져 다시 원래의 쪽으로 직행하는 부분으로 근위직부
구심성 소동맥
원심성 소동맥
- 구심성 : 심장에서 가까워지는
- 원심성 : 심장에서 멀어지는
carbonic anhydrase
탄산무수화효소
- 이산화탄소와 물을 탄산수소이온과 수소이온으로 바꾸는 것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효소의 활성부위에 아연이온을 가지고 있어 금속 효소(metalloenzyme)로 분류된다.
파골작용
* 파골세포(osteoclast) : 골조직의 파괴, 흡수의 기능을 가지는 다핵(多核) 대형 세포
Ⅴ. 참고문헌
1. 김금순 외(2013). 성인간호학 하권. 수문사. pp. 1479~1487
2. 유해영 외(2012).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pp. 113~124
3. 윤숙희 외(2010). 노인간호학. 수문사. pp. 142~143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6.10.17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17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