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성분 분석,진통제 약물 조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약성분 분석,진통제 약물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처방전 약성분 분석
Ⅱ. 진통제 약물 조사

본문내용

석산졸피뎀 )
권장용량 : 1일 1회, 주석산졸피뎀 12.5mg을 취침 바로 직전에 투여
효능 : 잠들기 어렵거나 숙면유지가 어려운 불면증
기대효과 : 숙면
부작용 : 중추신경 억제, 환각/환시, 대사/영양장애, 감염
FDA 임부안정성 : 안전성 확립X,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
병요금기 약물 : 알콜, 중추신경 억제 약물
금기 : 수유부, 약 성분에 대해 과민증이 있는 환자, 18세 미만,
폐색성 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 중증근무력증 환자, 중증의 간부전 환자,
급성 또는 중증의 호흡부전 환자, 정신병 환자
약리작용 : 중추신경 억제효과
Ⅱ. 진통제 약물 조사
진통제는 크게 비마약성 진통제와 마약성 진통제로 나뉜다.
▶ 비마약성 진통제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진통제이다.
비마약성 진통제의 특성은 신체적*정신적 의존성 및 내성이 없다.
약물의 용량을 증가시켜도 일정 용량 이상에서는 진통 작용이 더 상승하지 않고 부작용만 증가하는 천정효과를 가지고 있다.
1, Acetaminophen (아세트아미노펜)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 비마약성 진통제로 임신 중에도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다.
다른 비마약성 진통제의 효과(해열, 진통, 소염) 중에서 소염 작용이 없기 때문에
위장장애가 적어서 두통 증상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명
상품명
기대효과
부작용
Acetaminophen(AAP)
Tyrenol,
게보린
두통, 치통, 관절통, 신경통, 근육통, 타박통, 골절통, 염좌통, (생리통), 발열시의 해열
발진·발열·발적(충혈되어 붉어짐), 식욕부진,변비,어지러움,부종
2, aspirin (아스피린)
해열진통제로 널리 사용 되어 진다.
일반명
상품명
기대효과
부작용
aspirin
바이엘 아스피린정 100g,
종근당아스피린정,
청계아스피린정
관절염,발열,동통, 치통,두통,
월경통, 신경통, 요통, 근육통
위나 복부의 통증,
변비, 오심, 구토
3, Ibuprofen (이부프로펜)
광범위하게 쓰이는 진통소염제이다.
일반명
상품명
기대효과
부작용
Ibuprofen
애드빌
류마티양 관절염
아스피린과 같이 약한 통증, 해열, 산후통증
위장관을 자극
( 미란성 위염 )
4) Naproxen (나프록센)
Prostaglandin의 합성을 저해하여 소염, 해열, 진통작용을 나타낸다.
일반명
상품명
기대효과
부작용
Naproxen
Aleve, Anaprox, Naprosyn, Naprelan
통증, 해열 , 골관절염 , 관절염(퇴행성 관절질환), 월경곤란증, 급성통풍
장기복용시 위장염,
신장장애, 혈소판 억제
5) Fenoprofen (페노프로펜)
페노프로펜의 효능은 아스피린보다 강하다.
일반명
상품명
기대효과
부작용
Fenoprofen
nalfon progesic, 신노팔, 유마텐, 노페란
류마티스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경증에서 중등도의 통증조
오심, 구토, 변비, 소화불량, 간질성 신염
▶ 마약성 진통제
마약성 진통제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내성과 신체적 의존성이 올 수 있다.
내성이나 신체적 의존성을 마약중독과 혼돈해서는 안되며, 마약성 진통제는 천정 효과가 없기 때문에 통증조절을 위해서 용량의 제한 없이 증량 할 수 있다. 이는 용량의 증량이 마약중독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약한 마약성진통제에는 codeine(코데인), tramadol(트라마돌)등이 있다.
1, codeine(코데인)
주로 아스피린이나 아세타미노펜과 함께 사용하며 경증이나 중등도 통증에 사용한다.
일반명
상품명
기대효과
부작용
Codein
codein
진통제
진정, 발한, 두통, 어지러움, 기면, 혼돈
2, tramadol(트라마돌)
통증 조절을 하는 중추성 진통제로 경구, 항문, 근육, 피하, 정맥 등 다양한 투여경로를 가지고 있다.
일반명
상품명
기대효과
부작용
tramadol
울트람
퇴행성관절염
(골절관절염)
다른 마약성 진통제와 비슷하나 동일한 용량에서는 변비나 호흡 감소 등은 거의 발생하지 않고, 다른 약에 비해 안전.
강한 마약성 진통제에는 morphine(모르핀), fentanyl(펜타닐), oxxycodone(옥시코돈) 등이 있다.
1, morphine(모르핀)
중추 신경계와 위장계에 주로 효과를 나타낸다.
마취제로 진통·진해 진정 ·최면에 효력이 있고, 중증동통에 유효,심한통증의 완화작용한다.
악성종양, 말기암 환자의 통증에 주로 사용이 되어진다.
일반명
상품명
기대효과
부작용
Morphine
MScontin
oramorphSR
진통제,
수술전
진정,마취보조제,폐부종으로
인한호흡곤란,
심근경색증관련통증
중추신경계작용)
거의모든동통에진통작용
-진정,졸음유발
전정기간의과민성을높여오심유발
진해작용,동공수축
호흡기계작용)호흡억제
소화기계작용)
소화관평활근긴장,위내용물
이동느리게-변비유발
비뇨기계작용)
ADH의유리증가-소변량감소
Kadian
Avinza
MSIR
MSIR
Roxanol
RMS
Astramorph
Duramorph
Infumorph
DepoDur
2, fentanyl(펜타닐)
Morphine보다 50배 이상 강하다.
호흡 억제 작용이 약해 마취 보조제나 진통제로 사용하며, 약효는 한 두 시간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붙여 사용할 수 있는 패치로도 많이 사용된다.
일반명
상품명
기대효과
부작용
Fentanyl
Sublimaze
진통제,
마취전에사용
진정,변비,어지러움,구역,구토,
호흡억제
Duragesic
만성 통증
Actiq
파탄성암통증
치료에만사용
Fentanyl
Oralet
마취전 투약으로만 사용
3, oxxycodone(옥시코돈)
codeine의 반합성적 유도체이며 codeine보다 치료 범위가 넓어 경미한 통증에서 심한 통증까지 조절이 가능하다
경구와 항문으로 투여가 가능하고 아스피린이나 아세타미노펜과 함께 사용할 때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일반명
상품명
기대효과
부작용
Oxy-
codone
oxyContin
진통제
진정,변비,어지러움,구역,구토,발한,
호흡억제
Roxicodone
Combunox
percodan
percocet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6.10.17
  • 저작시기201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18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