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2학기 도시행정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3장 도시정부의 구조와 인사
제4장 도시재정
제5장 도시공공서비스
제7장 도시개발정책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해설포함) *

본문내용

제3장 도시정부의 구조와 인사

1. 도시정부의 계층구조와 구역
(1) 계층구조와 구역의 개념
① 계층: 지방자치단체 간 혹은 지방행정기간의 상 ․ 하 수직적 관계
- 자치계층: 지방자치단체간의 계층구조 혹은 자치단체간의 상하관계
- 행정계층: 지방행정기관간의 피라미드적 · 수직적인 상하관계
② 구역: 일정한 공공단체의 관할권이 미치는 지역적 범위 혹은 각 자치단체가 관할하는 공간적 범위
- 자치구역: 지방자치단체의 자치권이 미치는 지역저거 범위
- 행정구역: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행정상의 편의를 위하여 내부에 설정해 놓은 지역적 단위
⇒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인 특별시, 도, 시, 군, 자치구는 동시에 국가의 지방기관인 지위를 겸하므로 그 관학구역은 자치구역과 행정구역의 의미를 동시에 가짐

(2) 도시정부의 계층구조와 구역설정기준
① 외국 도시정부의 계층구조
㉠ 영국: 2층제 채택. 대도시지역에서는 기초자치단체인 도서권구가 런던지역에서는 런던 시(City of London) 와 런던 시구(London Borough)가, 광역 행정기능과 자치행정기능을 동시에 수행
㉡ 미국: ‘county’ - ‘city, village, town, township, special district의 2층제
㉢ 프랑스: 광역자치단체 - 도 - 시 · 읍 · 면의 3계층제 채택
㉣ 일본: 자치계층구조는 도(都) ․ 도(道) ․ 부(府) ․ 현(懸) - 시(市) ․ 정(町) ․ 촌(村)의 2층제
② 우리나라 도시정부의 계층구조
㉠ 자치계층
- 특별시: 특별시 - 자치구의 2계층
- 광역시: 광역시 - 자치구 ․ 군의 2계층
- 도의 경우: 도 - 시 ․ 군의2계층
㉡ 행정계층
- 특별시: 특별시-자치구-동의 3계층
- 광역시: 광역시-자치구 ․ 군-동 ․ 읍 ․ 면의 3계층
- 대도시(인구 50만명 이상): 도-시-구(행정구)-동 ․ 읍 ․ 면의 4계층
- 통합시: 도-시-동 ․ 읍 ․ 면의 3계층
- 일반시: 도-시-동의 3계층



- 중략 -
  • 가격6,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학년/학기3학년/2학기
  • 해당자료학과행정학과
  • 자료출간일2016.11.15
  • 파일형식아크로뱃 뷰어(pdf)
  • 자료번호#10129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