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 병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Parkinson disease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파킨슨 병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Parkinson diseas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문헌고찰
Ⅰ. 파킨슨병
1) 파킨슨 병 정의
2) 원인
3) 빈도
4) 병태생리
5) 증상
6) 치료 및 간호
Ⅱ. 파킨슨신드롬
1) 원인과 병태생리
2) 임상증상
3) 진단검사
4) 치료
5) 간호

3. 본 론
1) 간호정보 조사지(간호력)
2) 임상 검사
3) 신경심리검사 (K-MMSE)
4) 약물
5)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0
언어능력
이름대기
1
명령 시행
0
따라말하기
0
읽기
1
쓰기
1
그리기
오각형
1
K-MMSE (0-30) total 19
comment : 검사에 협조적이며 대체로 지시에 대한 이해 적절함. 다소 청력저하 있음
상품명
(성분명)
용량/용법
효능/효과
부작용/금기
퍼킨 정
25/250mg
1일 2회 아침,점심 2BC
항 파킨슨 용제
파킨슨병, 파킨슨증후군
(약물로 인한 파킨슨 증후군 제외)
협우각형 녹내장, 본제 과민증자, MAO 저해제 투여자, 미진단성 피부질환, 피부병변 의심자 또는 흑색종 기왕력자, 갈락토오스 불내성,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증 또는 포도당 갈락토오스 흡수장애 등의 유전질환
미라펙스 서방정
0.25mg
1일 2회 아침,점심2BC
항 파킨슨 용제
특발성 파킨슨증
(초기 파킨슨병 환자 치료에 단독요법, 레보도파와 병용한 진행된 파킨슨 환자의 병용법)
본제 또는 본제 함유성분에 과민증자
렉사프로 정
10mg
1일 1회
2BC
항 우울제
주요 우울장애, 광장 공포증을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은 공황장애, 사회불안장애, 범불안장애, 강박장애 치료
에스시탈로프람 라세미체인 시탈로프람 본제 다른 성분 과민증, MAO 저해제 투여중, 피모자이드 투여중, 선천성 QP연장 증후군, 또는 QT간격 연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자, QT 간격 연장유발 약물 복용중
리보트릴 정
0.5mg
1일 1회
1HS
항전간제
간질 및 부분발작, 원발성 및 2차적으로 전신화된 강직간 대발작,
유소아의 간질, 공황장애
급성 협우각형 녹내장, 중증 근무력증, 약물이존성, 알코올 또는 약물 남용, 본제 성분에 과민자,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에 과민반응자, 중증간장애, 중증의 호흡 부진
쎄로켈 서방정
50mg
1일 1회
(3정)
1HS
항 정신용제
1. 정신분열병
2. 양극성장애
3. 주요 우울장애치료 부가요법
본제 및 본제 구성 성분 과민 반응, 혼수상태, 바르비투르산염 등 중추신경억제제의 강한 영향 아래있는자, 갈락토오스불내성,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증 또는 포도당 갈락토오스 흡수장애 등의 유전 질환자
쿠에타핀 정
25mg
1일 1회1HS
항정신용제
정신분열병, 양극성장애와 관련된 조울증 삽화, 우울삽화 치료
본제 및 본제 구성성분 과민반응, 혼수상태, 바르비투르산염 등 중추신경억제제의 강한 영향아래 있는자, 갈락토오스 불내성,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증 또는 포도당 갈락토오스 흡수 장애 등의 유전질환자, 에피내프린 투여중인자, 당뇨병, 당뇨병 기왕력자.
디멘셉트 정
10mg
1일 2회
점심,저녁
2BC
퇴행성질환용제
알츠하이머형 치매증상 치료,
혈관성 치매증상 개선
염산 도네피질, 피페리딘 유도체 또는 구성성분 과민증, 임부, 가임부, 수유부
4) 약물
5) 간호과정
간호진단
잦은 간식 섭취와 관련된 영양과다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밤에 자주 간식을 드셔요.’
객관적
자료
84세,
신장 156cm
체중 2014년 11월 63kg,
2015년 1월 62kg
BMI : 25.89
식사 시간 외에도 간식을 드시는 행동이 관찰되었다.
간호목표
(기대결과)
장기목표 : 3달 동안 체중이 3kg 감소한다.
단기목표 : 한 달 동안 체중이 1kg 증가하지 않는다.
간호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체중 조절 식이
(아침-요플레)
체중 감량을 위해 열량 높은 아침식사 대신
요플레를 제공하여 체중을 조절한다.
간식 섭취량 줄임
간식 섭취량을 줄이는 것으로
열량을 줄일 수 있다.
I/O 체크
I/O를 체크하여 섭취량과 배설량을 비교하여 영양과다를 확인한다.
체중변화 확인
체중 변화를 확인하여 체중이 감소되었는지 증가하였는지 알 수 있다.
간호 평가
2014년 11월 체중 63kg에서 2015년 1월 체중 62kg으로 감소하였으며
몸무게가 11월, 12월, 1월 모두 증가하지 않았다.
Maslow의 욕구 단계 이론 유*순 환자의 욕구 문제 상황
자아실현의 욕구 - - - - - - -> 꿈이 없었기 때문에 자아실현 못함
자존감의 욕구 - - - - - - -> 예전엔 높았지만 병상으로 낮아짐
사랑, 소속감의 욕구 - - - - - - -> 장기간 입원으로 인한 사회적 고립
안전에 대한 욕구 - - - - - - -> 낙상고위험군, 욕창고위험군
생리적 욕구 - - - - - - -> 간식을 원하나, 체중 조절 식이 중
간호진단
잦은 움직임과 어지러움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혼자 있을래.”, “어지러워.”, “화장실에 가고 싶어.”, “일으켜 줘.”
객관적
자료
낙상 위험 사정도구 16점 = 고위험군.
침상 위에서 가만히 계시지 않고 누웠다, 앉았다 반복.
잦은 배변활동으로 계속 움직이려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간호목표
(기대결과)
장기목표 : 입원 기간 동안 낙상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 일주일 동안 낙상하지 않는다.
간호 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환자의 낙상 위험성에 대해 조사한다.
- 가드레일은 항상 올라와 있는지
- 환자가 몸을 한쪽으로 쏠려 있지않은지
- 팔과 다리가 침대밖으로 빠져 있지않은지
낙상의 위험성을 조사함으로써 위험성이 될 요소를 미리 제거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어 낙상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낙상 예방 교육 실시
낙상 예방 교육을 함으로써 낙상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호흡상태, 활력징후, 소변량 등을 주의 깊게 자주 사정한다.
활력징후 등을 자주 사정함으로써 기본적인 신체기능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휠체어 사용 시 거치대를 사용한다.
휠체어를 탔을 때 거치대를 사용하여 대상자가 체중을 거치대에 실을 수 있도록 하여 낙상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간호 평가
재원부터 현재까지 낙상하지 않으셨다.
낙상의 위험성이 줄어들었다.
References
-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Ⅱ(2014), 수문사 p1329~1348
- 대한민국의약정보센터 킴스온라인 (http://www.kimsonline.co.kr/)
서울대학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한국심리학회 심리학용어사전 (http://www.koreanpsychology.or.kr/)
- 성미혜 외,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2013), 수문사
  • 가격2,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6.12.04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42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