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적정주, 투여속도 성인시간당300-500ml(분당80-130적), 소아시간당50-100ml,신생아,미숙아 급속주입(시간당100ml 이상)금지.
신질환에 기인하는 신부전 환자, 심부전 환자, 고장성 탈수증 환자, 폐쇄성 요로질환으로 인해 요량이 감소하고 있는 환자, 당뇨병
Kcl
저칼륨혈증 ,이뇨제투여후 저칼륨혈증
염화칼륨으로서 0.5~3g을0.3%용액이나 링겔 또는 포도당용액에 넣어분당 8~12ml속도로 주입
신장부전
신기능 장애환자.소화성 궤양의기왕력자
(5)질병에대한 문헌 고찰
1.질병의 원인
▶ 미숙아의 유발요인
유 발 요 인
내 용
모체측 요인
자궁경관 무력증,자궁기형,산모의 심한 질병(급성 신우신염,급성폐렴으로 인한 저산소증),습관성 미숙아 분만등
신생아측 요인
선천성 기형,태아 적아구증,염색체이상, 감염 등
태반측 요인
양막조기파열,태반조기박리 및 전치태반,태반기능부전 등
사회경제적 요인
저사회경제계층(나쁜 영양상태,부적절한 출생전 간호,환경에서 오는 스트레스 등)
2.증상
▶ 미숙아의 신체적 특징
매우 작고 여윈 외양
피부 말초정맥이 비쳐보이는 붉거나 분홍색
가늘고 솜털같은 머리카락: 등과 얼굴의 솜털(lanugo)
몸체에 비해 커보이는 머리
흡지방체(sucting pad)가 현저하게 두드러짐
축늘어진 모습으로 누워있음
사지가 펴진 모습
귀의 연골이 덜 발달됨
손바닥,발바닥에 거의 주름이 없음
여아인 경우 음핵이 두드려져 보임
남아인 경우 음낭이 덜 발달되어 있고 주름도 거의 없으며 고환이 아직 하강되 지 않음
이완되기 쉽고 조작하기 쉬운 관절
미약한 악수반사, 빠는 반사, 연하반사
기타 신경학적 반사가 없거나 미약함
체온유지가 어려움
농도가 옅은 소변
유연한 흉곽
주기적 호흡장애 및 환기부족
무호흡이 잦음
3.미숙아의 치료 및 간호
① 호흡지지
: 공기흐름을 극대화시키는 체위 즉 작은 타올을 말아 영아의 어깨아래에 받쳐주 어 기도가 최대한으로 확보되도록 한다
극소저체중아의 출생이 예측될 때에는 분만실에서 100%농도의 산소를 공급
(단 동맥 산소분압이 80mmHg이상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아프가점수에 따른 호흡지지
0~2점: 기관삽입 및 심장마사지를 통한 소생술 실시
호전되지 않으면 산혈증을 예방하기 위해 HCO3를 투여한다.
② 체온조절
영아는 출생직후 체온이 안정될 때 까지 즉각적으로 보온이 된 환경에 두도록 한다. 피부가 아주 얇은 조산아들은 열소실이 촉진되기 때문이다.
미숙아는 피하지방층이 얇기 때문에 극히 제한된 범위 내의 환경온도에서만 열 소실과 열생산을 조절 할 수 있다. 특히 복부 피부온도가 증가하거나 하강할 때 산소소모량이 증가한다. 중간온도환경을 유발할 수 있는 복부체온범위는 섭씨 36.1도~36.8도이다. 옷을 입히고 담요를 잘 싸면 환경온도의 변화가 심하더라 도 체온을 잘 유지할 수 있다.
옷을 벗고 있는 영아를 위해 바람직한 체온 유지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자동적으로 온도조절이 가능한 열판이나 보육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런 기구 들은 영아의 복부피부에 부착시킨 온도감지기를 통한 신호에 맞추어 자동적으로 온도가 조절된다. 기계적 온도장치들은 상례적인 사정을 하는 동안 주기적으로 확인되어야 한다.
▷ 신생아실의 온도는 섭씨 24~27도가 적당
영아의 온도가 항상 섭씨 36~37도를 유지
습도는 30~60%가 적당
③ 감염예방
: 자주 손을 씻고 신생아실로 들어가기 전에 손, 팔, 팔꿈치까지 솔로 비벼 잘 닦은 후 그후에는 일단 한 영아를 만지고 나서는 반드시 손을 씻은 후 다른 영 아를 다루어야 한다.
체온계나 기구들이 개별적으로 사용하고 마스크나 가운과 같은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④ 수분공급
: 미숙아는 세포외액의 비율이 높고 체표면적이 크며 미성숙한 신장으로 인한 삼투성 이뇨능력이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하게 측정해 야하며 특별히 매우 작고 연약한 혈관은 파열되기 쉽고 따라서 침윤되기 쉽다 는 점을 알아야 한다.
미숙아의 경우 초기체중감소가 15%까지 나타날 수 있다.
⑤ 영양공급
: 출생전 빠는 반사와 연하반사가 이미 존재하지만 이들 기전의 협동은 재태연 령 32~34주 정도되어야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미숙아는 흡인의 위험이 항상 존 재한다.
미숙아의 첫 수유시기는 현재 조기수유, 즉 생후 3~6시간 이내에 수유를 권장 하고 있다. 이것은 저혈당증이나 탈수 또는 고빌리루빈혈증과 같은 합병증 요 인의 발생을 감소시킨다. 조기수유를 목표로 하지만 무호흡발작을 되풀이하거 나 위의 내용물이 십이지장으로 이행하지 않는 일도 있어 젖먹이는 일이 어려 울때가 있다. 그러나 미숙아라고 해서 기아 시간을 길게 할 필요가 없으며, 상 태가 허용되면 생후 12시간부터 경구포유를 시작한다. 그러나 보통은 체중이 2~2.5 kg 이상 일 때 모유를 먹인다.
▷젖병수유: 첫 수유시 끊인 물을 먹이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끊인물은 흡인이 되더라도젖이나 포도당처럼 폐렴과 같은 문제를 야기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첫 수유량은 영아의 크기,연령 그리고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중요한 것은 영아가 지치지 않고 감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수유시간은 대략 15~20분정도가 적당하고 수유도중에 잠깐동 안의 휴식과 트림을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모유수유: 저체중아라고 할지라도 빠는 반사와 연하반사의 협동이 잘 되고 안 면기형이나 호흡계 합병증과 같은 금기증만 없다면 모유수유가 가능
▷위관영양: 간헐적 위관영양은 재태연령이 32주미만이거나 체중이 1650gm미만 인 영아의 영양필요량을 충족시키기 위해 가장 안전한 방법이다. 위관의 크기 는 대개 길이 약 37.5cm정도의 5~8번 Fr.를 사용한다. 열량은 성장에 필요한 120~140Cal/kg/일 정도로 공급한다.
⑥ 피부간호
: 미숙아의 피부는 쉽게 벗겨지고 헐게 된다. 따라서 중성비누를 사용하고 크림 이나 로션등 피부도포제는 독성이 있는지 여부를 미리 확인한 후 사용한다. 반 창고 사용할 때 투명반창고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반창고를 사용하기 전에 미 리 피부 보호제를 바르거나 폴리오레탄 필름과 같은 보호막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신질환에 기인하는 신부전 환자, 심부전 환자, 고장성 탈수증 환자, 폐쇄성 요로질환으로 인해 요량이 감소하고 있는 환자, 당뇨병
Kcl
저칼륨혈증 ,이뇨제투여후 저칼륨혈증
염화칼륨으로서 0.5~3g을0.3%용액이나 링겔 또는 포도당용액에 넣어분당 8~12ml속도로 주입
신장부전
신기능 장애환자.소화성 궤양의기왕력자
(5)질병에대한 문헌 고찰
1.질병의 원인
▶ 미숙아의 유발요인
유 발 요 인
내 용
모체측 요인
자궁경관 무력증,자궁기형,산모의 심한 질병(급성 신우신염,급성폐렴으로 인한 저산소증),습관성 미숙아 분만등
신생아측 요인
선천성 기형,태아 적아구증,염색체이상, 감염 등
태반측 요인
양막조기파열,태반조기박리 및 전치태반,태반기능부전 등
사회경제적 요인
저사회경제계층(나쁜 영양상태,부적절한 출생전 간호,환경에서 오는 스트레스 등)
2.증상
▶ 미숙아의 신체적 특징
매우 작고 여윈 외양
피부 말초정맥이 비쳐보이는 붉거나 분홍색
가늘고 솜털같은 머리카락: 등과 얼굴의 솜털(lanugo)
몸체에 비해 커보이는 머리
흡지방체(sucting pad)가 현저하게 두드러짐
축늘어진 모습으로 누워있음
사지가 펴진 모습
귀의 연골이 덜 발달됨
손바닥,발바닥에 거의 주름이 없음
여아인 경우 음핵이 두드려져 보임
남아인 경우 음낭이 덜 발달되어 있고 주름도 거의 없으며 고환이 아직 하강되 지 않음
이완되기 쉽고 조작하기 쉬운 관절
미약한 악수반사, 빠는 반사, 연하반사
기타 신경학적 반사가 없거나 미약함
체온유지가 어려움
농도가 옅은 소변
유연한 흉곽
주기적 호흡장애 및 환기부족
무호흡이 잦음
3.미숙아의 치료 및 간호
① 호흡지지
: 공기흐름을 극대화시키는 체위 즉 작은 타올을 말아 영아의 어깨아래에 받쳐주 어 기도가 최대한으로 확보되도록 한다
극소저체중아의 출생이 예측될 때에는 분만실에서 100%농도의 산소를 공급
(단 동맥 산소분압이 80mmHg이상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아프가점수에 따른 호흡지지
0~2점: 기관삽입 및 심장마사지를 통한 소생술 실시
호전되지 않으면 산혈증을 예방하기 위해 HCO3를 투여한다.
② 체온조절
영아는 출생직후 체온이 안정될 때 까지 즉각적으로 보온이 된 환경에 두도록 한다. 피부가 아주 얇은 조산아들은 열소실이 촉진되기 때문이다.
미숙아는 피하지방층이 얇기 때문에 극히 제한된 범위 내의 환경온도에서만 열 소실과 열생산을 조절 할 수 있다. 특히 복부 피부온도가 증가하거나 하강할 때 산소소모량이 증가한다. 중간온도환경을 유발할 수 있는 복부체온범위는 섭씨 36.1도~36.8도이다. 옷을 입히고 담요를 잘 싸면 환경온도의 변화가 심하더라 도 체온을 잘 유지할 수 있다.
옷을 벗고 있는 영아를 위해 바람직한 체온 유지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자동적으로 온도조절이 가능한 열판이나 보육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런 기구 들은 영아의 복부피부에 부착시킨 온도감지기를 통한 신호에 맞추어 자동적으로 온도가 조절된다. 기계적 온도장치들은 상례적인 사정을 하는 동안 주기적으로 확인되어야 한다.
▷ 신생아실의 온도는 섭씨 24~27도가 적당
영아의 온도가 항상 섭씨 36~37도를 유지
습도는 30~60%가 적당
③ 감염예방
: 자주 손을 씻고 신생아실로 들어가기 전에 손, 팔, 팔꿈치까지 솔로 비벼 잘 닦은 후 그후에는 일단 한 영아를 만지고 나서는 반드시 손을 씻은 후 다른 영 아를 다루어야 한다.
체온계나 기구들이 개별적으로 사용하고 마스크나 가운과 같은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④ 수분공급
: 미숙아는 세포외액의 비율이 높고 체표면적이 크며 미성숙한 신장으로 인한 삼투성 이뇨능력이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하게 측정해 야하며 특별히 매우 작고 연약한 혈관은 파열되기 쉽고 따라서 침윤되기 쉽다 는 점을 알아야 한다.
미숙아의 경우 초기체중감소가 15%까지 나타날 수 있다.
⑤ 영양공급
: 출생전 빠는 반사와 연하반사가 이미 존재하지만 이들 기전의 협동은 재태연 령 32~34주 정도되어야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미숙아는 흡인의 위험이 항상 존 재한다.
미숙아의 첫 수유시기는 현재 조기수유, 즉 생후 3~6시간 이내에 수유를 권장 하고 있다. 이것은 저혈당증이나 탈수 또는 고빌리루빈혈증과 같은 합병증 요 인의 발생을 감소시킨다. 조기수유를 목표로 하지만 무호흡발작을 되풀이하거 나 위의 내용물이 십이지장으로 이행하지 않는 일도 있어 젖먹이는 일이 어려 울때가 있다. 그러나 미숙아라고 해서 기아 시간을 길게 할 필요가 없으며, 상 태가 허용되면 생후 12시간부터 경구포유를 시작한다. 그러나 보통은 체중이 2~2.5 kg 이상 일 때 모유를 먹인다.
▷젖병수유: 첫 수유시 끊인 물을 먹이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끊인물은 흡인이 되더라도젖이나 포도당처럼 폐렴과 같은 문제를 야기시키지 않기 때문이다. 첫 수유량은 영아의 크기,연령 그리고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중요한 것은 영아가 지치지 않고 감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수유시간은 대략 15~20분정도가 적당하고 수유도중에 잠깐동 안의 휴식과 트림을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모유수유: 저체중아라고 할지라도 빠는 반사와 연하반사의 협동이 잘 되고 안 면기형이나 호흡계 합병증과 같은 금기증만 없다면 모유수유가 가능
▷위관영양: 간헐적 위관영양은 재태연령이 32주미만이거나 체중이 1650gm미만 인 영아의 영양필요량을 충족시키기 위해 가장 안전한 방법이다. 위관의 크기 는 대개 길이 약 37.5cm정도의 5~8번 Fr.를 사용한다. 열량은 성장에 필요한 120~140Cal/kg/일 정도로 공급한다.
⑥ 피부간호
: 미숙아의 피부는 쉽게 벗겨지고 헐게 된다. 따라서 중성비누를 사용하고 크림 이나 로션등 피부도포제는 독성이 있는지 여부를 미리 확인한 후 사용한다. 반 창고 사용할 때 투명반창고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반창고를 사용하기 전에 미 리 피부 보호제를 바르거나 폴리오레탄 필름과 같은 보호막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