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신생아 케이스 스터디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상신생아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본론
[1] 문헌 고찰
정상신생아 (A newborn baby = neonate)
고빌리루빈혈증 (Hyperbilirubinemia)
[2] 간호력
[3] 간호과정

Ⅲ. 결론

본문내용

이상 음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복수가 차거나 탈장이 있지는 않았다.
항문/직장
항문은 잘 개방되어 있었으며 괄약근 역시 건강하여 대변시 잘 조
여지고 벌어졌다. 대변은 거의 노란색으로 작은 양을 보았다.
생식기
음순과 음핵이 육안으로 잘 보이며, 질에서 분비물은 특별히 없었다. 정상적인 위치에 생식기가 존재하고 있었다.
하지
운동기능은 잘 되고 있었으며 특별히 이상 있는 부위는 없었다.
부종, 청색증, 기형, 상처도 없었다.
관절
관절의 이상은 없었다. 정상적인 운동기능을 하고 있었으며 기형이나 부족, 만곡등도 없었다.
임파절
부종이나 압통, 크기, 모양, 온도가 다음의 부위에서 다 정상으로
나타났다.( 경부, 쇄골상, 액와, 상박, 서혜, 슬와)
신경계
sucking reflex : 정상
rooting reflex :정상
graps reflex : 정상
pupil reflex : 정상
corneal reflex : 정상
babinski reflex : 정상
moro reflex : 정상
startle reflex : 정상
tonic neck reflex : 정상
dance, step reflex : 정상
crawling reflex : 정상
Dolls eye feflex : 정상
날짜
12/17
12/18
12/20
12/21
weight(kg)
3.6
3.65
3.6
3.7
AC
33.5
33.5
33
33
I
380
395
390
420
O(s의 수)
(6)
(7)
(6)
(8)
V/S
6.8/136/62
6.7/138/65
6.5/140/60
6.7/136/65
[3] 간호과정
3-1. 사정
객관적 자료 1) 회음부, 엉덩이 주위가 벌겋게 발적되어 있다.
2) 피부가 눅눅하고 짓물려 있다.
3) 신생아는 하루 대변 평균 6회, 소변 10회 정도 본다.
진단
기저귀발진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목표
장기목표 : 신생아는 피부 통합성을 유지한다.
단기목표 : 1) 신생아는 기저귀 발진이 사라진다.
2) 신생아의 피부는 자극이나 손상을 받지 않는다.
계획
1. 기저귀를 갈때마다 수시로 회음부 주위의 발적정도를 관찰하고 사정한다.
2. 기저귀 교환 전 후에 손을 깨끗이 씻는다.
3. 흡수성이 좋고 깨끗한 기저귀를 사용하여 기저귀로 인한 자극을 가능한한 적게 한다.
4. 엉덩이가 짓무르지 않도록 기저귀를 자주 갈아준다.
5. 깨끗한 물이나 안정된 클리너로 회음부위를 씻고(앞에서 뒤로) 완전하게 건조시킨다.
6. 1일에 한번씩 깨끗하게 목욕시킨다.
7. 발적이 심할 경우 연고나 크림등을 발라준다.
이론적 근거
1. 기저귀 발진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매일 주의깊게 관찰해야한다.
2. 미생물의 전이를 막기 위해 손을 씻는다.
3. 소변이나 대변의 암모니아는 피부에 자극적이므로 기저귀를 제때 갈아주지 않으면 아기 피부를 자극하게 된다.
4. 환부를 햇빛이나 공기중에 노출시켜 통풍이 잘 되도록 하여 건조하게 유지시켜주는것이 중요한다.
5. 피부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6.Travocort cream은 외용 항진균제로서 피부자극을 완화시킬수 있다.
수행
1. 매일 2시간마다 기저귀의 상태를 체크하였다.
2. 기저귀를 갈아주기 전에 꼭 손 씻었다.
3. 소변이나 대변을 보는 즉시 기저귀를 갈아주었다.
4. 기저귀를 갈아줄 때 약5~10분 동안 건조시켰다.
5. 환부를 깨끗이 씻기고 건조하게 유지시켰다.
평가
신생아는 기저귀 발진이 사라졌다.
3-2. 사정
객관적 자료 1) 신생아는 체온조절 능력이 미숙하다.
2) 여러가지 절차로 인해 주위 환경에 쉽게 노출된다.
진단
미성숙한 체온조절, 온도의 변화와 관련된 체온유지 능력 저하의 위험성
목표
장기목표 : 신생아는 안정된 체온을 유지할 것이다.(36.5~37.5℃)
단기목표 : 신생아는 체온이 정상이다.
계획
① 신생아실의 온도를 24~25℃로 유지되는지 확인한다.
② 신생아의 옷이 제대로 입혀져 있고 포가 잘 싸여 있는지 확인한다.
③ 활력징후 측정 시 기구를 미리 미지근하게 한다.
④ 모든 처치 시 몸의 노출을 최소화 한다.
⑤ 규칙적으로 체온을 측정한다.
⑥ 목욕 시 신속하게 수행한다.
이론적 근거
1. 신생아는 주위환경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2. 신생아는 몸이 노출되면 열을 잘 빼앗기기 때문이다.
3. 신생아가 갑작스럽게 찬 물건과 접촉 시 놀랄 수도 있기 때문이다.
4. 신생아는 열손실이 쉽기 때문이다.
5. 규칙적인 체온 측정으로 상태를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6. 열손실이 커 오한을 예방하기 위해서 이다.
수행
1. 신생아실에 붙어 있는 온도계 2시간에 한 번 씩를 확인하였다.
2. 자주 확인하고 어깨가 나오거나 하면 다시 싸주었다.
3. 청진기를 미리 손으로 따뜻하게 한 후 측정하였다.
4. 귀저기를 갈거나 활력징후 측정 시 필요부분만 노출하였다.
5. 목욕 시 씻기고 닦고 입히는 과정을 신속하게 하였다.
평가
아기는 사지가 분홍색으로 청색증을 보이지 않았다.
36.8도로 열을 보이지 않았고 체온이 정상범위 수준에 있다.
Ⅲ. 결론
본 연구를 잡은 환아는 정상신생아로서 여러 가지 발육이 정상적으로 되는 환아이다.
걱정하는 엄마에게 아기의 상태는 점점 좋아지고 있다는 것을 설명해 드리자 많이 편안해 하셨다.
기저귀로 인해 짓무른 엉덩이는 파우더로 인해 짓무름의 상태가 조금 좋아 졌으며, 이것으로 인해 우는 일도 약간 줄어들었다. 천 귀저기는 사용하지 못했으며, 기저귀를 자주 갈아줌으로써 짓무름의 완화에 도움이 되었다.
잠이 오면 수유를 거부하고 무시하고 계속 수유를 하면 구토를 하여 우유가 기도로 넘어가 캑캑 거리기도 하며 많이 보챘으나 트림을 잘 시키고 한꺼번에 많은 양의 우유를 먹지 않도록 조절했다. 수유를 거부할 시 억지로 수유를 하지 않으며 등을 쓰다듬거나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여 잠을 자는데 수월하게 해주었다.
구토 시 마다 흡입하여 질식되는 일은 없었으며 꺽꺽거리지 않으며 위 간호의 지속적 수행으로 보채는 행동 또한 줄었다.
이번 실습으로 인해 모성과 아동간호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게 되었고 그 중요성에 대해 다시 한번 몸소 느낄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8.12.29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05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