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경영-국가 보고서 작성, 모로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제경영-국가 보고서 작성, 모로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적 고찰

Ⅱ. 국가소개
1. 개요
2. 경제 발전수준
(1) 농업
(2) 제조업
(3) 수산업
3. 주요산업
4. 인구구조
(1)노동연령
(2)행정 구역별 인구와 그에 따른 주요산업

Ⅲ. 문화적 특성

Ⅳ. 소비자 트랜드
1. 대형유통매장의 등장
2. 스마트폰 사용의 급격한 증가

Ⅴ. 대표적 국제경영 성공 기업 사례 조사
1. 기업소개
2. SWOT 분석
3. 글로벌 브랜드의 마케팅화
4. 감성 마케팅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따라 시멘트, 철강, 중장비 등 건설 소재 산업의 동반 성장이 예상된다.
한편 대표적 서비스산업인 관광산업은 GDP에서 9%를 차지하고 있으며 작년에는 세계은행, IMF와 신용평가기관들이 모로코의 불황을 예견했으나 관광산업부흥, 경상수지적자완화, 세계경기 불황완화 등의 이유로 신용평가기관 Fitch는 2016년 모로코 경제 성장률을 각각4,3%와 4,8%으로 전망하고 있다.
경제지표 DB
구분
지표
단위
2015
국가
일반
인구
(명)
3,350만명
면적

710,850 ㎢
한반도 대비면적

3.2배
지표
단위
2010
2011
2012
2013
2014*
대내
경제
경제성장률
%
3.6
5.0
2.7
4.4
2.7
1인당 GDP
US$
6,439
6,803
7,010
7,325
7,525
명목 GDP
백만
US$
91,000
99,510
96,192
104,148
106,598
정부부채/GDP
%
47.96
51.3
54.39
60.45
61.7
소비자물가상승률
%
1.0
0.9
1.3
1.9
0.4
민간소비변동율
%
5.5
5.38
실업률
%
9.1
8.9
9.0
9.2
9.9
대외
경제
수출실적
백만
US$
12,309
15,946
16,992
18,262
19,959
수입실적
백만
US$
29,627
37,333
38,877
39,854
39,891
무역수지
백만
US$
-17,318
-21,387
-21,885
-21,592
-19,932
외국인투자금액(당해분)

US$
46.8
34.4
23.9
28.1
30
총외채
백만
US$
26,303
29,096
33,816
34,947
35,485
외환보유고
백만
US$
23,613
20,642
17,535
19,256
20,406
시중금리
%
3.3
3.3
3.2
3.1
2.9
환율
Dh/
US$
8.40
8.07
8.60
8.38
8.38
주:2015.4 확인기준정보
자료: 모로코통계청, 외환청, EIU
3. 주요산업
(1) 농업
모로코에서 농업은 전체 노동인구의 44% 이상이 종사하는 전통적 산업이며, GDP에서 15%~20%의 비중을 차지함에 따라 경제성장 및 연관 산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강우량 등 기후조건에 따라 생산량 변동폭이 결정된다.
연간 GDP와 농업 성장률 추이(단위 : %)
2010
2011
2012
2013
2014
GDP 성장률
3.8
4.3
3.7
4.5
2.7
농업성장률
-1.6
6.0
6.1
14.0
2.2
자료 : 모로코 통계청
920만 헥타르의 경작이 가능한 농지 면적 중 약 500만 헥타르의 농지가 곡물 생산에 이용된다. 2000년에 관개 이용이 가능한 농지가 120만 헥타르에서 2008년 150만 헥타르로 증가하였다.
80만 톤~100만 톤의 올리브와 7만 톤의 올리브유가 73만 헥타르의 농지에서 계절별로 생산되고 있으며 25만 헥타르의 경작지에서 사과, 배, 복숭아 등 80만 톤의 과일이 수확되고 있다.
(위) 모로코 마라케시의 한 오렌지쥬스 가게. 농업이 유명한 나라답게 오렌지 또한 과즙이 풍부하며 그 맛이 달다.
(2) 제조업
제조업은 모로코 GDP의 약 31%, 고용의 20%를 차지하고 있다. 의류, 직물, 피혁, 식품가공, 화학 부문이 주력 산업으로 최근에는 전기, 전자산업이 매년 평균 4%의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정부는 카사블랑카를 중심의 식품가공, 석유화학, 목재가공, 전자부품 등 일부 분야의 포화를 우려 및 경제성장 촉진 및 고용 창출을 위하여 국내외 제조업 투자유치 및 제반 개방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마침 동남아시아와 중국의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전세계 기업들은 인건비가 비교적 저렴한 북아프리카 지역으로 공장을 이전하는 추세이다. 2014년부터 이미 다수의 기업들이 북아프리카에 상주해 있으며 향후 더 많은 기업들이 이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모로코는 지리적으로 북아프리카, 유럽과의 접근성이 높기 때문에 글로벌 기업 공장 입주에 큰 지리적 이점도 작용하고 있다. 탕제 항만과 유럽대륙과의 불과 16KM의 거리는 유럽시장을 겨냥한 기업들의 모로코 공장 설립 증가를 도모했다. 탕제항만은 북아프리카에서 제일 많은 교역량을 기록하고 있으며 2017년까지 800만개의 컨테이너를 수용할 수 있도록 시설 확대 공사 중에 있다.
또한 모로코의 정치적 안정과 지속적인 경제성장도 해외기업을 모로코로 끌어들인다. 모로코 제조업은 현재 항공, 자동차, 가전제품을 비롯한 자동차부품, 의약제품 등 다양한 분야의 공장들이 들어서있다. 자동차의 경우카사블랑카 Somaca 공장과 탕제르노 자동차공장이 설립되어 있으며 항공기의 경우 캐나다기업인 Bombardier가 입점해있다. 모로코에 주요공장을 설립한 유럽기업들 중엔 프랑스, 스페인, 독일국적의 기업들이 다수를 차지한다.
(3) 수산업
모로코는 지브롤터 해협을 끼고 있는 나라답게 지중해에서 대서양에 이르는 3,500Km의 긴 해안선을 가지고 있다. 나이지리아 다음으로 아프리카 대륙에서 수산 자원이 풍족하며, 수산업의 대표도시는 사피, 에싸웨라, 카사블랑카 등이 있으며 주요 어종은 정어리, 멸치, 고등어, 대구, 도미, 오징어 등으로 대부분 냉동이나 통조림 재품으로 가공되어 유럽으로 수출되고 있다. 특히 모로코는 정어리로 유명하며 수출국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수산업과 농업은 GDP의 점유비중이 낮으나, 인구의 약 40%가 종사하고 있으며, 수산업 수출액은 2012년 6억 달러를 기록하였고 이는 전체 식품 수출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2013년 3분기까지 성장세를 보이던 어업은 4분기에 들어 13.2% 하락하였다. 이러한 부진은 어획량 감소로 인한 것으로, 특히 연체류와 원양류 어획량이 각각 44.2%, 2.1%로 크게 감소하였다. 반면 갑각류와 흰살생선의 하선은 각각22.5%, 6.5% 증가하였다. 거의 모든 해안의 하선이 감소로 2014년 1분기 어업부가가치는 9.2% 하락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7.01.07
  • 저작시기201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64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