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사 례 연 구 목 적 ---------------------------------------------------- P. 2
2. 문 헌 고 찰 ------------------------------------------------------------ p. 2
정의
당뇨병의 분류
-1. 병태생리
-2. 인슐린 부족시 나타나는 대사 문제
당뇨병의 원인과 위험요인
임상증상
당뇨진단
합병증
관리 및 치료
Ⅱ. 본 론
1. 간 호 력 -------------------------------------------------------------- P. 11
성인 건강사정 도구 (일반정보)
통증사정
활력징후
낙상위험도 사정과 대상자 교육
2. 진 단 검 사 ----------------------------------------------------------- P. 19
일반화학검사
일반혈액검사
일반소변검사
혈당 및 당화혈색소 검사
Daily BST 측정
3. 약 물 정 보 ----------------------------------------------------------- P. 23
주사제
경구제
4. 간 호 과 정 ----------------------------------------------------------- P. 26
Ⅲ. 참 고 문 헌 --------------------------------------------------- P. 29
1. 사 례 연 구 목 적 ---------------------------------------------------- P. 2
2. 문 헌 고 찰 ------------------------------------------------------------ p. 2
정의
당뇨병의 분류
-1. 병태생리
-2. 인슐린 부족시 나타나는 대사 문제
당뇨병의 원인과 위험요인
임상증상
당뇨진단
합병증
관리 및 치료
Ⅱ. 본 론
1. 간 호 력 -------------------------------------------------------------- P. 11
성인 건강사정 도구 (일반정보)
통증사정
활력징후
낙상위험도 사정과 대상자 교육
2. 진 단 검 사 ----------------------------------------------------------- P. 19
일반화학검사
일반혈액검사
일반소변검사
혈당 및 당화혈색소 검사
Daily BST 측정
3. 약 물 정 보 ----------------------------------------------------------- P. 23
주사제
경구제
4. 간 호 과 정 ----------------------------------------------------------- P. 26
Ⅲ. 참 고 문 헌 --------------------------------------------------- P. 29
본문내용
발성알도스테론증, 저칼륨혈증, 심성부종(울혈성 심부전), 신성부종, 간성부종, 특발성부종
근경련, 다리경련, 전해질장애, 저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 발열, 식욕부진, 구역, 구토, 어지러움,
TANAMIN TAB. 40mg
1tab
(40mg) t.i.d)
말초동맥 순환장애(간헐성 파행증), 어지러움, 두통, 기억력감퇴, 집중력장애, 우울감
가벼운 위장관 불쾌감, 두통, 알레르기성 피부반응
4. 간호과정 (Nursing Process)
# 1 불안정한 혈당치 위험성(Risk for unstable blood glucose level)
자료
수집
주관적
자 료
1) “아까 밥을 먹었는데도 배고파 죽겠어.” 라고 말함.
2) “피곤해.... 한 것도 없는데 피곤하네.” 라고 말함.
객관적
자 료
1) BST 날짜
시간
18
19
21
02
07
10
12
BST
(mg/dl)
700
700
535
265
180
276
372
측정 결과 높은 수준의 혈당이 측정되었음.
2) 눈밑이 어둡고, 어깨가 축 처져있음.
관련요인 : 간호진단명
당뇨관리 이행 부족으로 인한 불안정한 혈당치 위험성
간호 목표
(1) 공복혈당 100mg/dl 미만, 식후 2시간 혈당 140mg/dl 이하를 유지 한다.
(2) 대상자는 공복감이 완화되었다고 말한다.
간호 계획
1) 당뇨에 대해 교육한다.
2) 당뇨합병증 (혈관병변, 신경병증, 감염증, 족부병변)에 대해 교육한 다.
3) 처방에 의해 약물투여(RI)를 한다.
4) 질병에 대한 지식 정도를 확인한다.
5) 매일 공복, 식전, 식후 혈당 검사를 시행한다.
6) 매일 규칙적으로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7) 영양 상담실에 의뢰하여 교육 받도록 권유한다.
8) 단 음식을 먹지 않도록 교육한다.
간호 수행
1) 당뇨에 대해 교육하였음.
2) 당뇨합병증 (혈관병변, 신경병증, 감염증, 족부병변)에 대해 교육하 였음.
3) 처방에 의해 약물투여(RI) 하였음.
4) 질병에 대한 지식 정도를 확인하였음.
5) 매일 공복, 식전, 식후 혈당 검사를 시행하였음.
6) 매일 규칙적으로 활력징후를 측정하였음.
7) 영양 상담실에 의뢰하여 교육 받도록 권유하였음.
8) 단 음식을 먹지 않도록 교육하였음.
간호 평가
목표 부분 달성 됨.
(1) 대상자가 적극적으로 혈당 관리에 참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3/20 일 공복 혈당 : 368mg/dl, 식후 2시간 혈당 : 141mg/dl으로 측정되 어 계속적인 간호와 혈당 관리가 필요함.
(2) 대상자는 공복감이 완화되었다고 말하였음.
# 2 낙상위험성 (Risk for falls)
자료
수집
주관적
자 료
1) “계속 어지럽고 머리가 아파 죽겠어.” 라고 말함.
2) “어지러워서 오래 걷지를 못해.” 라고 말함.
객관적
자 료
1) 식은땀을 흘리며 이마를 짚고 있음.
2) 걸음걸이에 힘이 없고 약간 비틀거리면서 걸음.
3) XXXX 까지 총 6회의 맥박 측정에서 모두 60회/min 이하의 맥 박수가 측정됨.
날짜
시간
18
22
06
12
18
22
P
59
57
52
59
55
55
4) Morse 낙상위험성 척도 점수 45점으로 낮은 낙상 위험군에 해당됨.
관련요인 : 간호진단명
맥박저하로 인한 어지러움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간호 목표
(1) 낙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2) 낙상 위험성 사정시 25점 미만으로 측정된다. (위험성 없음)
(3) 대상자는 어지러움이 완화되었다고 말한다.
(4) 대상자의 맥박이 60회/min이상으로 측정된다.
간호 계획
1) 낙상 위험성에 대해 설명한다.
2) 과도한 움직임은 삼가고 침상안정을 취하도록 교육한다.
3) 기립성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해 갑자기 일어나지 않도록 설명한다.
4) side rail을 항상 올려두고 있도록 교육한다.
5) 침상주변에 불필요한 물건은 두지 않고, 사용이 잦은 물건은 손이 잘 닿는 곳이 보관하도록 한다.
6) 처방에 의해 어지러움증 완화를 위한 약물투여를 한다.
간호 수행
1) 낙상 위험성에 대해 설명하였음.
2) 과도한 움직임은 삼가고 침상안정을 취하도록 교육하였음.
3) 기립성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해 갑자기 일어나지 않도록 설명하였 음.
4) side rail을 항상 올려두고 있도록 교육하였음.
5) 침상주변에 불필요한 물건은 두지 않고, 사용이 잦은 물건은 손이 잘 닿는 곳이 보관하도록 하였음.
6) 처방에 의해 어지러움증 완화를 위한 약물투여를 하였음.
간호 평가
목표 달성 됨.
(1) 대상자는 입원 기간 내에 안전하게 생활하였음.
(2) 낙상 위험성 사정 점수가 20점으로 측정되었음. (위험성 없음)
(3) 대상자는 어지러움이 완화되었다고 말했음.
(4) 3/20 오전 7시 맥박 측정 결과 95회/min으로 정상수치로 측정됨.
# 3 만성 비탄 (Chronic sorrow)
자료
수집
주관적
자 료
1) \"병이 잘 안 나으니까 그게 걱정이지...“ 라고 말함.
2) “당뇨 때문에 스트레스 받고... 우울하다고.” 라고 말함.
객관적
자 료
1) 표정이 어둡고 입꼬리가 축 처져 있음.
2) 한숨을 자주 쉼.
3) 당뇨 교실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부정하며 거절하는 모습을 보임.
관련요인 : 간호진단명
만성적 신체 질환과 관련된 만성 비탄
간호 목표
(1) 대상자는 우울감이 완화되었다고 말한다.
(2) 대상자는 긍정적인 행동을 보인다.
(3) 대상자는 퇴원 후 계획에 대한 질문에 긍정적으로 대답한다.
간호 계획
1) 근무시마다 적어도 15분을 대상자와 함께 보낸다.
2) 대상자가 질병으로 인한 건강상태의 변화를 현실적으로 받아들이도 록 돕는다.
3) 가족, 친구, 지인 등 지지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하도록 격 려한다.
4) 대상자가 건강관리 목표설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5) 대상자가 퇴원과 미래에 대한 현실적인 목표를 세우도록 돕는다.
간호 수행
1) 근무시마다 적어도 15분을 대상자와 함께 보냈음..
2) 대상자가 질병으로 인한 건강상태의 변화를 현실적으로 받아들이도 록 도왔음.
3) 가족, 친구, 지인 등 지지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하도록 격 려했음.
4) 대상자가 건강관리 목표설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
근경련, 다리경련, 전해질장애, 저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 발열, 식욕부진, 구역, 구토, 어지러움,
TANAMIN TAB. 40mg
1tab
(40mg) t.i.d)
말초동맥 순환장애(간헐성 파행증), 어지러움, 두통, 기억력감퇴, 집중력장애, 우울감
가벼운 위장관 불쾌감, 두통, 알레르기성 피부반응
4. 간호과정 (Nursing Process)
# 1 불안정한 혈당치 위험성(Risk for unstable blood glucose level)
자료
수집
주관적
자 료
1) “아까 밥을 먹었는데도 배고파 죽겠어.” 라고 말함.
2) “피곤해.... 한 것도 없는데 피곤하네.” 라고 말함.
객관적
자 료
1) BST 날짜
시간
18
19
21
02
07
10
12
BST
(mg/dl)
700
700
535
265
180
276
372
측정 결과 높은 수준의 혈당이 측정되었음.
2) 눈밑이 어둡고, 어깨가 축 처져있음.
관련요인 : 간호진단명
당뇨관리 이행 부족으로 인한 불안정한 혈당치 위험성
간호 목표
(1) 공복혈당 100mg/dl 미만, 식후 2시간 혈당 140mg/dl 이하를 유지 한다.
(2) 대상자는 공복감이 완화되었다고 말한다.
간호 계획
1) 당뇨에 대해 교육한다.
2) 당뇨합병증 (혈관병변, 신경병증, 감염증, 족부병변)에 대해 교육한 다.
3) 처방에 의해 약물투여(RI)를 한다.
4) 질병에 대한 지식 정도를 확인한다.
5) 매일 공복, 식전, 식후 혈당 검사를 시행한다.
6) 매일 규칙적으로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7) 영양 상담실에 의뢰하여 교육 받도록 권유한다.
8) 단 음식을 먹지 않도록 교육한다.
간호 수행
1) 당뇨에 대해 교육하였음.
2) 당뇨합병증 (혈관병변, 신경병증, 감염증, 족부병변)에 대해 교육하 였음.
3) 처방에 의해 약물투여(RI) 하였음.
4) 질병에 대한 지식 정도를 확인하였음.
5) 매일 공복, 식전, 식후 혈당 검사를 시행하였음.
6) 매일 규칙적으로 활력징후를 측정하였음.
7) 영양 상담실에 의뢰하여 교육 받도록 권유하였음.
8) 단 음식을 먹지 않도록 교육하였음.
간호 평가
목표 부분 달성 됨.
(1) 대상자가 적극적으로 혈당 관리에 참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3/20 일 공복 혈당 : 368mg/dl, 식후 2시간 혈당 : 141mg/dl으로 측정되 어 계속적인 간호와 혈당 관리가 필요함.
(2) 대상자는 공복감이 완화되었다고 말하였음.
# 2 낙상위험성 (Risk for falls)
자료
수집
주관적
자 료
1) “계속 어지럽고 머리가 아파 죽겠어.” 라고 말함.
2) “어지러워서 오래 걷지를 못해.” 라고 말함.
객관적
자 료
1) 식은땀을 흘리며 이마를 짚고 있음.
2) 걸음걸이에 힘이 없고 약간 비틀거리면서 걸음.
3) XXXX 까지 총 6회의 맥박 측정에서 모두 60회/min 이하의 맥 박수가 측정됨.
날짜
시간
18
22
06
12
18
22
P
59
57
52
59
55
55
4) Morse 낙상위험성 척도 점수 45점으로 낮은 낙상 위험군에 해당됨.
관련요인 : 간호진단명
맥박저하로 인한 어지러움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간호 목표
(1) 낙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2) 낙상 위험성 사정시 25점 미만으로 측정된다. (위험성 없음)
(3) 대상자는 어지러움이 완화되었다고 말한다.
(4) 대상자의 맥박이 60회/min이상으로 측정된다.
간호 계획
1) 낙상 위험성에 대해 설명한다.
2) 과도한 움직임은 삼가고 침상안정을 취하도록 교육한다.
3) 기립성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해 갑자기 일어나지 않도록 설명한다.
4) side rail을 항상 올려두고 있도록 교육한다.
5) 침상주변에 불필요한 물건은 두지 않고, 사용이 잦은 물건은 손이 잘 닿는 곳이 보관하도록 한다.
6) 처방에 의해 어지러움증 완화를 위한 약물투여를 한다.
간호 수행
1) 낙상 위험성에 대해 설명하였음.
2) 과도한 움직임은 삼가고 침상안정을 취하도록 교육하였음.
3) 기립성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해 갑자기 일어나지 않도록 설명하였 음.
4) side rail을 항상 올려두고 있도록 교육하였음.
5) 침상주변에 불필요한 물건은 두지 않고, 사용이 잦은 물건은 손이 잘 닿는 곳이 보관하도록 하였음.
6) 처방에 의해 어지러움증 완화를 위한 약물투여를 하였음.
간호 평가
목표 달성 됨.
(1) 대상자는 입원 기간 내에 안전하게 생활하였음.
(2) 낙상 위험성 사정 점수가 20점으로 측정되었음. (위험성 없음)
(3) 대상자는 어지러움이 완화되었다고 말했음.
(4) 3/20 오전 7시 맥박 측정 결과 95회/min으로 정상수치로 측정됨.
# 3 만성 비탄 (Chronic sorrow)
자료
수집
주관적
자 료
1) \"병이 잘 안 나으니까 그게 걱정이지...“ 라고 말함.
2) “당뇨 때문에 스트레스 받고... 우울하다고.” 라고 말함.
객관적
자 료
1) 표정이 어둡고 입꼬리가 축 처져 있음.
2) 한숨을 자주 쉼.
3) 당뇨 교실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부정하며 거절하는 모습을 보임.
관련요인 : 간호진단명
만성적 신체 질환과 관련된 만성 비탄
간호 목표
(1) 대상자는 우울감이 완화되었다고 말한다.
(2) 대상자는 긍정적인 행동을 보인다.
(3) 대상자는 퇴원 후 계획에 대한 질문에 긍정적으로 대답한다.
간호 계획
1) 근무시마다 적어도 15분을 대상자와 함께 보낸다.
2) 대상자가 질병으로 인한 건강상태의 변화를 현실적으로 받아들이도 록 돕는다.
3) 가족, 친구, 지인 등 지지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하도록 격 려한다.
4) 대상자가 건강관리 목표설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5) 대상자가 퇴원과 미래에 대한 현실적인 목표를 세우도록 돕는다.
간호 수행
1) 근무시마다 적어도 15분을 대상자와 함께 보냈음..
2) 대상자가 질병으로 인한 건강상태의 변화를 현실적으로 받아들이도 록 도왔음.
3) 가족, 친구, 지인 등 지지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하도록 격 려했음.
4) 대상자가 건강관리 목표설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
추천자료
재활간호(성인간호학)
[성인간호학]골수이식 환자간호
[성인간호학] 당뇨병의 분류, 당뇨환자 일반적인 치료 중재, 당뇨병 환자들에게 나타날 수 ...
방통대 성인간호학 당뇨병의 분류와 치료 및 중재, 합병증의 대한 간호와 교육내용
[자연과학] 성인간호학case study-뇌경색
성인간호학case study-DM 당뇨
성인간호학case study-뇌경색
성인간호학 case study) 골절
성인간호학실습 방광암 bladder cancer case study
성인간호학실습 심부전 heart failure case study
성인간호학실습 뇌교경색 minor pntine infarction case study
성인간호학실습 탈골 골절 dislocation & fracture case study
2017년 성인간호학 1. 암환자영양상태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 관찰할항목, 신체계측...
방통대 간호학과 성인간호학=1. 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