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elly
- 오일 관장 시 : 관장용 주사기, 얇은 직장용 튜브
과정
* 글리세린 관장
① 먼저 환자에게 과정을 설명한다. (용액이 주입될 때 가득 찬 느낌 있을 수 있음)
② 방수포를 깔고, 대상자는 Sim\'s 체위를 취하게 하고 목욕담요로 싸준다.
③ 1회용 장갑을 착용하여 관장통에 비눗물을 붓고, 직장튜브를 관장통에 연결하여 Kelly 로 잠근다.
④ 관장통을 높이 든 상태에서 Kelly를 잠깐 풀었다 잠궈서 공기를 뺀다.
⑤ 튜브에 약 10cm정도 윤활제를 바르고 “배꼽방향”으로 부드럽게 삽입한다. 이 때 보조 1명이 관 장통을 높이 들어준다.
⑥ 5~15분 정도 보유 후 휴지를 대고 뽑는다.
* 오일관장 (위 사항과 유사 - 단 관장용 주사기가 다름)
① 오일관장은 주사기와 튜브 끝을 빠지지 않게 연결한다.
② 튜브 끝에 윤활제를 바른다.
③ 엄지와 검지로 엉덩이를 벌려서 항문에 튜브를 삽입하여 주사기를 천천히 밀어 넣어 오일을 주입한다.
실습일
날짜
관찰내용
수행내용
대상자간호
7일
06.17
Nebulizer 간호
팀별 간호사가 행하는 Nebulizer 시행 및 보호자 교육 관찰
미수행
학습 내용
1.목적
공기압축기(air compressor) 등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수분 내지 수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약제를 하부호흡기로 직접 투입하기 위함이다
2. 적응증
상.하기도 감염증, 폐색성폐질환, 기도협착과 경련, 기도부종, 기도내 진한 분비물이 있을 때
3. 합병증
오염된 네블라이저 세트의 사용으로 인한 하부호흡기 감염
4. 준비물품
네블라이저 본체, 네브라이저 세트, 약물(거담제, 기관제확장제, 베타2 작동제등), 약물희석용 생리식염액, 마우스피스 또는 마스크
5. 과정 및 환자 간호
1) 환자와 보호자에게 네블라이저 사용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2) 네블라이저를 사용하기 전에 객담을 배출시킨다
3) 소독된 분무기의 윗부분을 열고 처방된 약을 drug reservoir내의 용기에 넣는다
4) 분무기의 윗부분을 잘 잠그고 마스크 또는 마우스피스를 끼운다
5) 본체를 전원에 연결하고 연결호스로 본체와 약물을 담은 분무기를 연결한다
6) 환자에게 상체를 편안하게 눕힌 자세나 앉은 자세를 취해준다
7) 스위치를 켠 후, 마우스피스 가까이에 입술을 대고 흡입할 수 있을 때까지 분무를 들이마시고 잠깐 유지한 후 천천히 숨을 내쉰다
8) 마우스피스를 입에서 떼고 천천히 숨을 내쉰다
9) 7과 8의 과정을 계속 반복하여 분무가 나오지 않을 때까지 계속한다. 가래는 삼키지 말고 기침을 해서 뱉어낸다
10) 환자의 호흡양상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11) 흡입이 끝나면 스위치를 끄고 마스크와 분무기를 분리하여 따뜻한 물로 잘 닦고 흐르는 수돗물에 헹군다
12) 분무기의 내부에 있는 노즐의 분사구를 공급되는 철사로 뚫어주거나 분무기에 증류수를 조금 넣은 후 2~3회 분사시킨다
13) 깨끗이 씻어 말린 후 소독한다
실습일
날짜
관찰내용
수행내용
대상자간호
8일
06.18
IV 주사
수 간호사의 관리하에 IV catheter 동료와 시행
미수행
학습 내용
1. 정맥 주사 목적
1) 피하조직이나 근육주사 시 조직에 자극이 심한 약물을 투여하기 위함이다.
2) 구강 섭취가 불가능할때 수액과 영양제를 투여하기 위함이다.
3) 진단을 위한 검사 시 시약을 투여하기 위함이다.
4) 체액의 수분, 전해질 농도를 맞추기 위해 약물의 신속한 효과를 내기 위하여 정맥내 약물을 투여하기 위함이다.
2. 준비물품
처방된 수액, 주사기, 주사바믈, 수액세트, 소독솜, 반창고, 수액걸이, 투약기록지
3. 방법
1) 손을 씻는다.
2)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수액세트는 수액 용기에 알맞은 것을 선택한다.
3) 수액병이나 수액백의 유효일자와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4) 수액병의 경우 마개를 따고 고무마개를 소독솜으로 3회 반복하여 소독하며, 수액백의 경우 약물 주입구를 소독한다.
5) 처방된 전해질을 주사기에 정확시 재어 무균적으로 혼합한 후 용기를 가볍게 흔들어 준다. 혼합한 수액은 24시간내에 주입하도록 한다. (지질제는 12시간 이내 주입)
6) 수액 용기에 병실 및 침상번호, 환자이름, 등록번호, 혼합약제, 주입속도 등을 기록한 투약라벨을 부착한다.
7) 수액세트의 클램프를 잠그고 무균적으로 수액 용기에 삽입한다.
8) IV chamber 를 squeeze 하여 수액을 1/2~2/3 정도 채우고, 클램프를 열어 수액세트에 수액을 채운다. 이때 공기방울을 완전히 제거한다.
9) 자를 확인 한 후 정맥주사 시행목적 과 방법 및 부작용을 설명한다.
10) 수액병을 수액걸이에 걸고 수액세트에 공기가 없도록 확인한다.
11) 주사 부위를 선정한 다음 지혈대를 주사 부위보다 10~12cm 위로 묶는다.
12) 정맥주사 부위는 삽입 전에 반드시 소독제를 이용하여 피부를 3~4회 마찰하며 소독한다.
13) 주사 바늘을 30~45도 각도로 삽입한다.
14) 혈액이 나오는 지 확인 후 지혈대를 풀고 수액세트를 연결한다.
15) 클램프를 서서히 풀어 수액을 주입하면서 부종여부를 확인하고 주입속도에 맞추어 조절한다.
16) 반창고로 고정하고 삽입날짜와 시간, 바늘의 크기, start 한 간호사의 이름을 반창고 위에 기록한다. 정맥주사 삽입부위는 멸균 드레싱을 해 주어야 하며 IV cannula 는 48~72시간 마다 수액세트와 3-way는 같이 교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수액의 종류에 따라 교환시기를 확인한다.
17) 수액이나 혈액이 묻었을 경우 소독솜으로 닦는다.
18) 환자에게 편안한 자세를 취해주고 반응을 관찰한다.
* 주의 사항
주사 부위는 매 2~4시간 마다 관찰하여 붓거나 발적, 동통 등의 혈관염 증상이 있으면 즉시 제거하고 소독솜으로 눌러 지혈시킨다. 염증 정도에 따라 냉 또는 열요법을 적용한다.
혈액 및 혈액 제제, 지질제의 경우 수액세트는 1회 사용하면 바로 교환한다.
정맥주사와 관련된 감염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IV cannula 와 수액세트, 주입용액, 모두를 교환해야 한다.
한번 제거된 바늘은 다시 카테터 안으로 삽입하지 않는다.
- 오일 관장 시 : 관장용 주사기, 얇은 직장용 튜브
과정
* 글리세린 관장
① 먼저 환자에게 과정을 설명한다. (용액이 주입될 때 가득 찬 느낌 있을 수 있음)
② 방수포를 깔고, 대상자는 Sim\'s 체위를 취하게 하고 목욕담요로 싸준다.
③ 1회용 장갑을 착용하여 관장통에 비눗물을 붓고, 직장튜브를 관장통에 연결하여 Kelly 로 잠근다.
④ 관장통을 높이 든 상태에서 Kelly를 잠깐 풀었다 잠궈서 공기를 뺀다.
⑤ 튜브에 약 10cm정도 윤활제를 바르고 “배꼽방향”으로 부드럽게 삽입한다. 이 때 보조 1명이 관 장통을 높이 들어준다.
⑥ 5~15분 정도 보유 후 휴지를 대고 뽑는다.
* 오일관장 (위 사항과 유사 - 단 관장용 주사기가 다름)
① 오일관장은 주사기와 튜브 끝을 빠지지 않게 연결한다.
② 튜브 끝에 윤활제를 바른다.
③ 엄지와 검지로 엉덩이를 벌려서 항문에 튜브를 삽입하여 주사기를 천천히 밀어 넣어 오일을 주입한다.
실습일
날짜
관찰내용
수행내용
대상자간호
7일
06.17
Nebulizer 간호
팀별 간호사가 행하는 Nebulizer 시행 및 보호자 교육 관찰
미수행
학습 내용
1.목적
공기압축기(air compressor) 등의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수분 내지 수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약제를 하부호흡기로 직접 투입하기 위함이다
2. 적응증
상.하기도 감염증, 폐색성폐질환, 기도협착과 경련, 기도부종, 기도내 진한 분비물이 있을 때
3. 합병증
오염된 네블라이저 세트의 사용으로 인한 하부호흡기 감염
4. 준비물품
네블라이저 본체, 네브라이저 세트, 약물(거담제, 기관제확장제, 베타2 작동제등), 약물희석용 생리식염액, 마우스피스 또는 마스크
5. 과정 및 환자 간호
1) 환자와 보호자에게 네블라이저 사용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2) 네블라이저를 사용하기 전에 객담을 배출시킨다
3) 소독된 분무기의 윗부분을 열고 처방된 약을 drug reservoir내의 용기에 넣는다
4) 분무기의 윗부분을 잘 잠그고 마스크 또는 마우스피스를 끼운다
5) 본체를 전원에 연결하고 연결호스로 본체와 약물을 담은 분무기를 연결한다
6) 환자에게 상체를 편안하게 눕힌 자세나 앉은 자세를 취해준다
7) 스위치를 켠 후, 마우스피스 가까이에 입술을 대고 흡입할 수 있을 때까지 분무를 들이마시고 잠깐 유지한 후 천천히 숨을 내쉰다
8) 마우스피스를 입에서 떼고 천천히 숨을 내쉰다
9) 7과 8의 과정을 계속 반복하여 분무가 나오지 않을 때까지 계속한다. 가래는 삼키지 말고 기침을 해서 뱉어낸다
10) 환자의 호흡양상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11) 흡입이 끝나면 스위치를 끄고 마스크와 분무기를 분리하여 따뜻한 물로 잘 닦고 흐르는 수돗물에 헹군다
12) 분무기의 내부에 있는 노즐의 분사구를 공급되는 철사로 뚫어주거나 분무기에 증류수를 조금 넣은 후 2~3회 분사시킨다
13) 깨끗이 씻어 말린 후 소독한다
실습일
날짜
관찰내용
수행내용
대상자간호
8일
06.18
IV 주사
수 간호사의 관리하에 IV catheter 동료와 시행
미수행
학습 내용
1. 정맥 주사 목적
1) 피하조직이나 근육주사 시 조직에 자극이 심한 약물을 투여하기 위함이다.
2) 구강 섭취가 불가능할때 수액과 영양제를 투여하기 위함이다.
3) 진단을 위한 검사 시 시약을 투여하기 위함이다.
4) 체액의 수분, 전해질 농도를 맞추기 위해 약물의 신속한 효과를 내기 위하여 정맥내 약물을 투여하기 위함이다.
2. 준비물품
처방된 수액, 주사기, 주사바믈, 수액세트, 소독솜, 반창고, 수액걸이, 투약기록지
3. 방법
1) 손을 씻는다.
2)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수액세트는 수액 용기에 알맞은 것을 선택한다.
3) 수액병이나 수액백의 유효일자와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4) 수액병의 경우 마개를 따고 고무마개를 소독솜으로 3회 반복하여 소독하며, 수액백의 경우 약물 주입구를 소독한다.
5) 처방된 전해질을 주사기에 정확시 재어 무균적으로 혼합한 후 용기를 가볍게 흔들어 준다. 혼합한 수액은 24시간내에 주입하도록 한다. (지질제는 12시간 이내 주입)
6) 수액 용기에 병실 및 침상번호, 환자이름, 등록번호, 혼합약제, 주입속도 등을 기록한 투약라벨을 부착한다.
7) 수액세트의 클램프를 잠그고 무균적으로 수액 용기에 삽입한다.
8) IV chamber 를 squeeze 하여 수액을 1/2~2/3 정도 채우고, 클램프를 열어 수액세트에 수액을 채운다. 이때 공기방울을 완전히 제거한다.
9) 자를 확인 한 후 정맥주사 시행목적 과 방법 및 부작용을 설명한다.
10) 수액병을 수액걸이에 걸고 수액세트에 공기가 없도록 확인한다.
11) 주사 부위를 선정한 다음 지혈대를 주사 부위보다 10~12cm 위로 묶는다.
12) 정맥주사 부위는 삽입 전에 반드시 소독제를 이용하여 피부를 3~4회 마찰하며 소독한다.
13) 주사 바늘을 30~45도 각도로 삽입한다.
14) 혈액이 나오는 지 확인 후 지혈대를 풀고 수액세트를 연결한다.
15) 클램프를 서서히 풀어 수액을 주입하면서 부종여부를 확인하고 주입속도에 맞추어 조절한다.
16) 반창고로 고정하고 삽입날짜와 시간, 바늘의 크기, start 한 간호사의 이름을 반창고 위에 기록한다. 정맥주사 삽입부위는 멸균 드레싱을 해 주어야 하며 IV cannula 는 48~72시간 마다 수액세트와 3-way는 같이 교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수액의 종류에 따라 교환시기를 확인한다.
17) 수액이나 혈액이 묻었을 경우 소독솜으로 닦는다.
18) 환자에게 편안한 자세를 취해주고 반응을 관찰한다.
* 주의 사항
주사 부위는 매 2~4시간 마다 관찰하여 붓거나 발적, 동통 등의 혈관염 증상이 있으면 즉시 제거하고 소독솜으로 눌러 지혈시킨다. 염증 정도에 따라 냉 또는 열요법을 적용한다.
혈액 및 혈액 제제, 지질제의 경우 수액세트는 1회 사용하면 바로 교환한다.
정맥주사와 관련된 감염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IV cannula 와 수액세트, 주입용액, 모두를 교환해야 한다.
한번 제거된 바늘은 다시 카테터 안으로 삽입하지 않는다.
추천자료
위암환자 케이스 스터디 (외과성인실습)
(성인간호학) 성인간호학 내분비계, 근골격계, 신경계, 호흡기계 사정요약
[성인간호;성인2] 신부전사례 간호과정 {신부전 사례, 간호 과정}
성인간호학 - 아동 학대 및 방임에 대한 간호사의 역할 ( 아동학대, 방임, 정의 및 유형, 원...
[의약학] 성인간호학 - 당뇨병 ( 당뇨병의 병태생리,당뇨병의 원인, 당뇨병의 종류, 당뇨병의...
★ 성인간호학 - 당뇨병 ( 당뇨병의 병태생리,당뇨병의 원인, 당뇨병의 종류, 당뇨병의 진단기...
Pneumonia case, 성인 case, 폐렴 case, Pneumonia 케이스, 폐렴 케이스, 성인간호학 실습 케...
<성인간호학 실습> 편도선염 간호문제 간호과정.
문헌고찰/ CASE/ 간호과정/성인 골절/fracture/성인간호 골절/ 성인간호 골절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1.영양지원방법의 유형, 적응증 및 장단점(장점 단점) 비교 설명, 영양지원방법 ...
성인간호학] 1영양지원 방법의 유형 적응증 및 장단점 비교 각각의 주요 간호중재방법-성인간...
성인간호학]1 영양지원 방법의 유형 적응증 및 장단점 간호중재방법-영양지원 영양지원방법 2...
성인간호학 1영양지원 방법의 유형 적응증 장단점 영양지원방법 간호중재방법 2당뇨병 환자 ...
성인간호학 A+ 알콜성 간경화 alcoholic liver cirrhosis 대상자에 맞게끔 간호과정을 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