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취의 제한을 받으므로 장내영양이나 비 경구 영양을 제공함.
(4) 외과적 관리
외과적 중재는 신경학적 결손이 증가하고 골격견인이 효과가 없을 경우 적용됨.
척수 손상 시 척수의 압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감압적 추간판 절제술이나 금속판과 나사의 삽입 또는 뼈를 이식하는 외과적 융합술을 시행.
수술후 합병증을 예방해야 함.
→ 척수손상과 관련된 합병증 : 무기폐, 폐렴, 심부정맥혈전증, 위장출혈, 욕창, 요결석, 변비, 장폐색, 호흡곤란, 근육경련과 경축, 영양불량 등.
5. 치료
6. 간호(1) 호흡 간호
흉부 물리치료, 산소공급, 적당한 통증관리가 가스교환과 호흡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수적.
호흡관찰과 기도유지.
흉부물리요법 : 감염(폐렴)예방, 폐의 분비물 배출.
분비물이 묽어지도록 가습해주고 충분한 수분을 제공하며 필요시 흡인기로 객담 제거.
(2) 운동 간호
관절강직, 근육단축을 예방하기 위해 잦은 체위변경과 관절의 적당한 지지가 필요.
천천히 무리하지 않게 관절범위운동 시행.
근육 강직 시 근육 이완제 투여.
(3) 요실금 간호 (→ 배뇨 증진과 요정체 예방)
요로감염 예방, 방광용적과 근육긴장도 유지하기위해 계획.
도뇨관 삽입 : 무긴장 기간 동안 방광팽만을 예방하기 위해 삽입.
→ 방광의 과팽만 : 감염이 되기 쉬우며 긴장과 열구형성을 일으켜 방광이 파열됨.
요합병증 예방 : 방광팽만을 주기적으로 조사하고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하며 방광감염의 징후를 관찰하며 신결석을 예방하기 위해 매일 2,000cc이상의 수분섭취.
(4) 배변 간호 (→ 장 활동 증진과 변비 예방)
변비, 팽만, 분변매복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계획.
마비성 장폐색은 척수손상의 흔한 후유증으로 장의 수의적 배설이 없으므로 변비 유발.
관장을 시행하며 필요시 변 완화제 사용.
섭취량과 배설량 기록 : 수분을 제공하고 고 섬유식이 제공.
좌약과 함께 직장자극법 사용.
(5) 영양 관리
고열량, 고단백, 고섬유식이 제공.
(6) 피부 간호
피부손상을 예방하고 소변의 정체를 감소시키며 폐 환기를 증진시키기 위해 2시간마다 환 자의 체위 변경.(ex. 통나무 굴리기법)
피부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
딱딱한 침대에 환자를 눕히고 등과 목을 똑바로 유지.
참고문헌
이향련 외, 성인간호학 2, 수문사(2012) pp. 1304~1317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2011) pp. 576~590
(4) 외과적 관리
외과적 중재는 신경학적 결손이 증가하고 골격견인이 효과가 없을 경우 적용됨.
척수 손상 시 척수의 압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감압적 추간판 절제술이나 금속판과 나사의 삽입 또는 뼈를 이식하는 외과적 융합술을 시행.
수술후 합병증을 예방해야 함.
→ 척수손상과 관련된 합병증 : 무기폐, 폐렴, 심부정맥혈전증, 위장출혈, 욕창, 요결석, 변비, 장폐색, 호흡곤란, 근육경련과 경축, 영양불량 등.
5. 치료
6. 간호(1) 호흡 간호
흉부 물리치료, 산소공급, 적당한 통증관리가 가스교환과 호흡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수적.
호흡관찰과 기도유지.
흉부물리요법 : 감염(폐렴)예방, 폐의 분비물 배출.
분비물이 묽어지도록 가습해주고 충분한 수분을 제공하며 필요시 흡인기로 객담 제거.
(2) 운동 간호
관절강직, 근육단축을 예방하기 위해 잦은 체위변경과 관절의 적당한 지지가 필요.
천천히 무리하지 않게 관절범위운동 시행.
근육 강직 시 근육 이완제 투여.
(3) 요실금 간호 (→ 배뇨 증진과 요정체 예방)
요로감염 예방, 방광용적과 근육긴장도 유지하기위해 계획.
도뇨관 삽입 : 무긴장 기간 동안 방광팽만을 예방하기 위해 삽입.
→ 방광의 과팽만 : 감염이 되기 쉬우며 긴장과 열구형성을 일으켜 방광이 파열됨.
요합병증 예방 : 방광팽만을 주기적으로 조사하고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하며 방광감염의 징후를 관찰하며 신결석을 예방하기 위해 매일 2,000cc이상의 수분섭취.
(4) 배변 간호 (→ 장 활동 증진과 변비 예방)
변비, 팽만, 분변매복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계획.
마비성 장폐색은 척수손상의 흔한 후유증으로 장의 수의적 배설이 없으므로 변비 유발.
관장을 시행하며 필요시 변 완화제 사용.
섭취량과 배설량 기록 : 수분을 제공하고 고 섬유식이 제공.
좌약과 함께 직장자극법 사용.
(5) 영양 관리
고열량, 고단백, 고섬유식이 제공.
(6) 피부 간호
피부손상을 예방하고 소변의 정체를 감소시키며 폐 환기를 증진시키기 위해 2시간마다 환 자의 체위 변경.(ex. 통나무 굴리기법)
피부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
딱딱한 침대에 환자를 눕히고 등과 목을 똑바로 유지.
참고문헌
이향련 외, 성인간호학 2, 수문사(2012) pp. 1304~1317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2011) pp. 576~590
키워드
추천자료
암세포의 병태생리
통증의 병태생리
신부전(CRF) 병태생리, 치료 및 투석환자 간호
Kawasaki Disease - 병태생리, 임상증상, 진단, 심장 합병증의 진단, 치료, 간호
신경계의 병태생리
신부전(CRF) 병태생리, 치료 및 투석환자 간호
[간질][간질의 개념][간질의 병태생리][간질의 증상][간질의 치료][간질발작]간질의 개념과 ...
호흡기질환, 폐결핵, 폐결핵 병태생리,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다발성 경화증 (Multiple sclerosis) 간호과정 (병태생리와 증상, 간호과정 - 1.질병과 관련...
성인간호학 폐쇄 골절(Closed Fracture) 병태생리
[정신간호 ]조현병_병태생리 및 간호중재
[성인간호] 만성 신부전 Chronic Kidney Disease 병태생리+간호중재
[성인간호] 죽상동맥경화증 Atherosclerosis 병태생리 및 간호중재
[여성간호] 자궁경관염_병태생리 및 치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