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목차
제육십일회 정비모원구제흉 절주병강번항명
당사통속연의 61회 비밀 모의를 결정해 흉함을 제거하고 군주 권력을 훔치고 강한 번진이 어명에 항거하다
제육십이회 폄충주유안원사 수임명장비득원
당사통속연의 62회 충주로 좌천된 유안이 원통해 사망하니 임명 태수인 장비는 구원을 얻다.
제육십삼회 삼진연병장가복사 사왕참호주씨주맹
당사통속연의 63회 3진이 병사를 연합하여 장가는 제사가 엎어지고 4왕이 호칭을 참람하게 하여 주도는 동맹주인이 되다
당사통속연의 61회 비밀 모의를 결정해 흉함을 제거하고 군주 권력을 훔치고 강한 번진이 어명에 항거하다
제육십이회 폄충주유안원사 수임명장비득원
당사통속연의 62회 충주로 좌천된 유안이 원통해 사망하니 임명 태수인 장비는 구원을 얻다.
제육십삼회 삼진연병장가복사 사왕참호주씨주맹
당사통속연의 63회 3진이 병사를 연합하여 장가는 제사가 엎어지고 4왕이 호칭을 참람하게 하여 주도는 동맹주인이 되다
본문내용
一體赦免, 且賜還承嗣官爵, 令他不必入朝。
대종우하칙조병 나승사부표진회죄 저위유약무강적대종 경준착기왕불구적고훈 일체사면 차사환승사관작 령타불필입죠
당대종이 곧 칙령으로 병사를 조달하게 하니 전승사는 다시 표로 올려 죄를 후회하니 이 유약하고 강함이 없는 당대종이 마침내 기왕일을 탓하지 않는 고대 훈령에 따라 일체를 사면해 또 전승사의 관작을 하사받아 그는 반드시 입조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
看官!想可歎不可歎?
간관 니상가탄불가탄니
여러분 보시오! 당신 생각에 한탄할만 하오? 하지 않소?
(縱容如此, 能致治。)
종용여차 즘능치치
容 [zongrong]①방임하다 ②제멋대로다 ③내버려 두다 ④용인하다
이처럼 놔주니 어찌 치세에 이르겠는가?
李忠臣, 李寶臣, 李正己等, 見承嗣悖逆不臣, 尙且遇赦, 何況爲國立功, 理應坐享富貴。
이충신 이보신 이정기등 견승사패역불신 상차우사 하황위국입공 이응좌향부귀
이충신, 이보신, 이정기등은 전승사가 패역 무도해 신하되지 않고 게다가 사면을 받는데 하물며 나라를 위해서 공로를 세움에 이치가 응당 앉아서 부귀를 누릴것이다.
凡從前李靈曜所轄屬地, 多由各鎭分派, 據爲己有, 李正己得地最多, 占得曹, , 徐, , 五州, 自己徙治城, 留子納守州。
범종전이영요소할속지 다유각진분파 거위기유 이정기득지최다 점득조 박 서 연 운 오주 자기사치운성 유자납수청주
앞서 이영요가 다스리는 땅은 많이 각 진의 분파에 유래하여 자기 소유가 있고 이정기가 땅을 가장 많이 얻어 조주, 박주, 서주, 연주, 운주의 5주를 점거해 자기는 운성을 옮겨 다스리고 아들 이납을 남겨 청주를 지키게 했다.
代宗事事依從, 卽授納爲州刺史。
대종사사의종 즉수납위청주자사
당대종은 일마다 따르니 이납을 청주자사에 제수했다.
李寶臣就是張忠志, 賜姓爲李, (見前文。) 至是仍請復姓爲張, 亦邀允。
이보신취시장충지 사성위리 현전문 지시잉청복성위장 역료유윤
允 [yuyn] ① 허락(하다) ② 윤허(允許)(하다)
이보신은 장충지였는데 이씨 성을 하사받아(전 문장에 나타난다) 이에 이르러서 다시 성을 장으로 하며 또 허락했다.
田承嗣反復無常, 自兩次赦罪, 總算平靜了兩年, 到代宗末年. (卽大曆十四年。)
전승사반복무상 자양차사죄 총산평정료양년 도대종말년 즉대력십사년
大曆: 연간766~779
전승사는 두번 죄를 사면받아 뒤집어 일정하지 않아 두차례 죄를 사면하고 모두 2년 평정해 대종 말년에 도달했다. 대종 14년이다.
正月, 老病侵尋, 因致斃命。
정월 노병침심 인치폐명
侵 [qnxun]①침심하다 ②차츰 …에 이르다
정월에 노화와 질병에 이르러서 사망하게 되었다.
他有子十一人, 皆不及悅, 承嗣臨危時, 特令悅知軍事, 諸子爲副。
타유자십일인 개불급열 승사임위시 특령열지군사 제자위부
그는 11아들이 있어서 모두 즐겁지 않아서 전승사가 위태로움에 임할때 전열에게 특별히 군사를 맡게 하여 여러 아들을 부사로 삼았다.
悅奏述詳情, 代宗卽命悅爲留後, 且追贈承嗣爲太保。
열주술상정 대종즉명열위유후 차추증승사위태보
전열은 상세한 정황을 서술해 대종은 전열을 유후로 임명해 전승사를 태보로 추증했다.
(升木。)
교유승목
升木 [jio nao shng mu] ① 원숭이에게 나무 오르는 법을 가르치다 ② 악인에게 나쁜 짓을 하도록 부추기다
원숭이에게 나무 오르게 하여 나쁜짓 시키다.
李忠臣討平靈曜, 自恃功高, 貪暴恣肆, 更有一種極端的壞處, 他見將士妻女, 稍有姿色, 必誘令入內, 逼受淫汚。
이충신토평영요 자시고공 탐포자사 경유일종극단적괴처 타견장사처녀 초유자색 필유령입내 핍수음오
[huaichu]①나쁜 점 ②결점 ③해로운 점
淫汚:음오한. 외설스러운
이충신은 영요를 토벌해 스스로 공로가 높음을 믿고 탐욕과 포악을 마음대로 하고 다시 일종 극단적인 나쁜점이 있어서 그는 장사의 처와 딸이 조금 자색이 있으면 반드시 꼬셔 안에 들어오게 하여 음란모욕을 받게 핍박했다.
妹夫張惠光由忠臣授爲副使, 更加暴橫, 惠光子亦得爲裨貳, 父子狼狽爲奸, 大失士心。
매부장혜광유충신수위부사 경가포횡 혜광자역득위비이 부자낭패위간 대실사심
매부인 장혜광은 이충신으로부터 부사를 받아 더욱 횡포함을 더해 혜광아들도 또한 비이가 되어 부자가 낭패해 간사해 크게 군사 마음을 잃었다.
忠臣族子李希烈, 從戰河北, 所向有功, 平時又略行小惠, 籠絡士卒, 士卒遂相率悅服。
충신족자이희열 종전하북 소향유공 평시우략행소혜 농락사졸 사졸수상솔열복
族子 [zuz] 족형제의 아들
이충신 족형제 아들인 이희열은 하북에서 종전을 하다 향하는 곳마다 공로가 있어 평상시 또 대략 작은 은혜를 베풀어 사졸을 농락해 사졸들이 곧 서로 즐겁게 복종했다.
牙將丁暠, 賈子華等, 乘隙發難, 殺死惠光父子, 又欲害忠臣。
아장정호 가자화등 승극발난 살사혜광부자 우욕병해충신
暠(흴 고{호}; -총14획; gao,hao)
아장인 정호와 가자화등은 틈을 타고 난리를 일으켜 장혜광 부자를 죽이고 또 이충신을 해치려고 했다.
希烈本與同謀, 因顧念族誼, 乞全忠臣性命。
희열본여동모 인고념족의 걸전충신성명
族誼:일가 사이에 서로 사이좋게 지냄
이희열은 본래 같이 음모를 꾸미나 일가 우의를 돌아보고 이충신 생명을 온전하게 하길 애걸했다.
忠臣得單騎走脫, 奔入京都。
충신득단기주탈 분입경도
이충신은 홀로 말타고 탈주해 수도로 들어갔다.
暠與子華, 遂擁戴希烈, 上表請命。
호여자화 수옹대희열 상표청명
정호와 가자화는 곧 의희열을 옹위추대하여 표를 올러 어명을 청했다.
代宗尙寵遇忠臣, 命他留京, 授爲檢校司空, 同平章事, 一面任希烈爲留後。
대종상총우충신 명타유경 수위검교사공 동평장사 일면임희열위유후
당대종은 여전히 이충신을 총애하여 그를 수도에 머물게 하며 곧 검교사공과 동평장사에 제수하고 한편으로 이희열을 유후에 임명했다.
總計唐室藩鎭, 日盛一日, 禍端統起自肅, 代二宗。
총계당실번진 일성일일 화단통기자숙 대이종
禍端:禍根, 재앙이나 화가 일어날 조짐이나 실마리
모두 당나라 황실 번진이 날마다 성대해져 화근이 온통 당숙종, 당대종 두명에서 시작된다.
平盧節度使侯希逸, 由軍士擁立, 肅宗未能討伐, 反從所請, 作了第一次的規例。
평로절도사후희일 유군사옹립 숙종미능토벌 반종소청 작료제일차적규례
規例:지켜야 할 규칙과 정해진 관례
평로절도사인 후희일은 군사로
대종우하칙조병 나승사부표진회죄 저위유약무강적대종 경준착기왕불구적고훈 일체사면 차사환승사관작 령타불필입죠
당대종이 곧 칙령으로 병사를 조달하게 하니 전승사는 다시 표로 올려 죄를 후회하니 이 유약하고 강함이 없는 당대종이 마침내 기왕일을 탓하지 않는 고대 훈령에 따라 일체를 사면해 또 전승사의 관작을 하사받아 그는 반드시 입조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
看官!想可歎不可歎?
간관 니상가탄불가탄니
여러분 보시오! 당신 생각에 한탄할만 하오? 하지 않소?
(縱容如此, 能致治。)
종용여차 즘능치치
容 [zongrong]①방임하다 ②제멋대로다 ③내버려 두다 ④용인하다
이처럼 놔주니 어찌 치세에 이르겠는가?
李忠臣, 李寶臣, 李正己等, 見承嗣悖逆不臣, 尙且遇赦, 何況爲國立功, 理應坐享富貴。
이충신 이보신 이정기등 견승사패역불신 상차우사 하황위국입공 이응좌향부귀
이충신, 이보신, 이정기등은 전승사가 패역 무도해 신하되지 않고 게다가 사면을 받는데 하물며 나라를 위해서 공로를 세움에 이치가 응당 앉아서 부귀를 누릴것이다.
凡從前李靈曜所轄屬地, 多由各鎭分派, 據爲己有, 李正己得地最多, 占得曹, , 徐, , 五州, 自己徙治城, 留子納守州。
범종전이영요소할속지 다유각진분파 거위기유 이정기득지최다 점득조 박 서 연 운 오주 자기사치운성 유자납수청주
앞서 이영요가 다스리는 땅은 많이 각 진의 분파에 유래하여 자기 소유가 있고 이정기가 땅을 가장 많이 얻어 조주, 박주, 서주, 연주, 운주의 5주를 점거해 자기는 운성을 옮겨 다스리고 아들 이납을 남겨 청주를 지키게 했다.
代宗事事依從, 卽授納爲州刺史。
대종사사의종 즉수납위청주자사
당대종은 일마다 따르니 이납을 청주자사에 제수했다.
李寶臣就是張忠志, 賜姓爲李, (見前文。) 至是仍請復姓爲張, 亦邀允。
이보신취시장충지 사성위리 현전문 지시잉청복성위장 역료유윤
允 [yuyn] ① 허락(하다) ② 윤허(允許)(하다)
이보신은 장충지였는데 이씨 성을 하사받아(전 문장에 나타난다) 이에 이르러서 다시 성을 장으로 하며 또 허락했다.
田承嗣反復無常, 自兩次赦罪, 總算平靜了兩年, 到代宗末年. (卽大曆十四年。)
전승사반복무상 자양차사죄 총산평정료양년 도대종말년 즉대력십사년
大曆: 연간766~779
전승사는 두번 죄를 사면받아 뒤집어 일정하지 않아 두차례 죄를 사면하고 모두 2년 평정해 대종 말년에 도달했다. 대종 14년이다.
正月, 老病侵尋, 因致斃命。
정월 노병침심 인치폐명
侵 [qnxun]①침심하다 ②차츰 …에 이르다
정월에 노화와 질병에 이르러서 사망하게 되었다.
他有子十一人, 皆不及悅, 承嗣臨危時, 特令悅知軍事, 諸子爲副。
타유자십일인 개불급열 승사임위시 특령열지군사 제자위부
그는 11아들이 있어서 모두 즐겁지 않아서 전승사가 위태로움에 임할때 전열에게 특별히 군사를 맡게 하여 여러 아들을 부사로 삼았다.
悅奏述詳情, 代宗卽命悅爲留後, 且追贈承嗣爲太保。
열주술상정 대종즉명열위유후 차추증승사위태보
전열은 상세한 정황을 서술해 대종은 전열을 유후로 임명해 전승사를 태보로 추증했다.
(升木。)
교유승목
升木 [jio nao shng mu] ① 원숭이에게 나무 오르는 법을 가르치다 ② 악인에게 나쁜 짓을 하도록 부추기다
원숭이에게 나무 오르게 하여 나쁜짓 시키다.
李忠臣討平靈曜, 自恃功高, 貪暴恣肆, 更有一種極端的壞處, 他見將士妻女, 稍有姿色, 必誘令入內, 逼受淫汚。
이충신토평영요 자시고공 탐포자사 경유일종극단적괴처 타견장사처녀 초유자색 필유령입내 핍수음오
[huaichu]①나쁜 점 ②결점 ③해로운 점
淫汚:음오한. 외설스러운
이충신은 영요를 토벌해 스스로 공로가 높음을 믿고 탐욕과 포악을 마음대로 하고 다시 일종 극단적인 나쁜점이 있어서 그는 장사의 처와 딸이 조금 자색이 있으면 반드시 꼬셔 안에 들어오게 하여 음란모욕을 받게 핍박했다.
妹夫張惠光由忠臣授爲副使, 更加暴橫, 惠光子亦得爲裨貳, 父子狼狽爲奸, 大失士心。
매부장혜광유충신수위부사 경가포횡 혜광자역득위비이 부자낭패위간 대실사심
매부인 장혜광은 이충신으로부터 부사를 받아 더욱 횡포함을 더해 혜광아들도 또한 비이가 되어 부자가 낭패해 간사해 크게 군사 마음을 잃었다.
忠臣族子李希烈, 從戰河北, 所向有功, 平時又略行小惠, 籠絡士卒, 士卒遂相率悅服。
충신족자이희열 종전하북 소향유공 평시우략행소혜 농락사졸 사졸수상솔열복
族子 [zuz] 족형제의 아들
이충신 족형제 아들인 이희열은 하북에서 종전을 하다 향하는 곳마다 공로가 있어 평상시 또 대략 작은 은혜를 베풀어 사졸을 농락해 사졸들이 곧 서로 즐겁게 복종했다.
牙將丁暠, 賈子華等, 乘隙發難, 殺死惠光父子, 又欲害忠臣。
아장정호 가자화등 승극발난 살사혜광부자 우욕병해충신
暠(흴 고{호}; -총14획; gao,hao)
아장인 정호와 가자화등은 틈을 타고 난리를 일으켜 장혜광 부자를 죽이고 또 이충신을 해치려고 했다.
希烈本與同謀, 因顧念族誼, 乞全忠臣性命。
희열본여동모 인고념족의 걸전충신성명
族誼:일가 사이에 서로 사이좋게 지냄
이희열은 본래 같이 음모를 꾸미나 일가 우의를 돌아보고 이충신 생명을 온전하게 하길 애걸했다.
忠臣得單騎走脫, 奔入京都。
충신득단기주탈 분입경도
이충신은 홀로 말타고 탈주해 수도로 들어갔다.
暠與子華, 遂擁戴希烈, 上表請命。
호여자화 수옹대희열 상표청명
정호와 가자화는 곧 의희열을 옹위추대하여 표를 올러 어명을 청했다.
代宗尙寵遇忠臣, 命他留京, 授爲檢校司空, 同平章事, 一面任希烈爲留後。
대종상총우충신 명타유경 수위검교사공 동평장사 일면임희열위유후
당대종은 여전히 이충신을 총애하여 그를 수도에 머물게 하며 곧 검교사공과 동평장사에 제수하고 한편으로 이희열을 유후에 임명했다.
總計唐室藩鎭, 日盛一日, 禍端統起自肅, 代二宗。
총계당실번진 일성일일 화단통기자숙 대이종
禍端:禍根, 재앙이나 화가 일어날 조짐이나 실마리
모두 당나라 황실 번진이 날마다 성대해져 화근이 온통 당숙종, 당대종 두명에서 시작된다.
平盧節度使侯希逸, 由軍士擁立, 肅宗未能討伐, 反從所請, 作了第一次的規例。
평로절도사후희일 유군사옹립 숙종미능토벌 반종소청 작료제일차적규례
規例:지켜야 할 규칙과 정해진 관례
평로절도사인 후희일은 군사로
추천자료
마음- 김광섭 시
[인문대]-명절에 따른 민속놀이의 종류
영화
을 통해 알아본 정신 분열증 “시골의 향기” (사법개혁의 여울을 돌아 나오며)를 읽고
『공산당선언』- 그 실현 가능성에 대한 연구
송강가사 (관동별곡, 속미인곡의 내용, 특징, 성격을 중심으로)
DNA, RNA 구조 및 차이점 분석 - DNA 디옥시리보핵산, 리보핵산, RNA의 구조, DNA와 RNA관계
다산 정약용, 유배지에서 만나다
[북한 문학예술][북한 문학예술의 이론][문학중심문예]북한 문학예술의 개념, 북한 문학예술...
탄수화물과지질검출
성공적인 대화기법 조사보고서 - 대화의3원칙, 대화자의20훈, 대화기법자기진단, 연설테크닉,...
수전 손택의 <타인의고통>을 읽고
제4장 의미의 계열 관계 {동의 관계, 상하관계, 대립관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