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diac Cirrhosis - (심장성간경화증 케이스, 심장성간경화증 간호과정, 심장성간경화증 간호진단, Cardiac Cirrhosis 케이스, Cardiac Cirrhosis case study, Cardiac Cirrhosis 간호과정)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ardiac Cirrhosis - (심장성간경화증 케이스, 심장성간경화증 간호과정, 심장성간경화증 간호진단, Cardiac Cirrhosis 케이스, Cardiac Cirrhosis case study, Cardiac Cirrhosis 간호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문헌고찰 ············································································· 1) 간경화증의 정의 2) 간경화증의 병태생리 3) 간경화증의 원인 4) 간경화증의 증상 5) 간경화증의 합병증 6) 간경화증의 진단검사 7) 간경화증의 치료와 간호 8) 심성 간경화증과 관련된 우심부전


Ⅲ. 임상사례연구
1. 간호사정 1)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 사정 2) 진단적 검사결과 3) 약물
4) 간호과정


Ⅳ. 결론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부터
특성 간헐적
촉진요인 X
완화요인 X
통증관리 행위 및 정서변화
2. 정서상태
안정 불안 ○ 슬픔 분노 우울 기타
2) 진단적 검사 결과
검사명
정상치
검사결과치
임상적 의의




RBC
3.80~5.40 10/mm³
2.94▼
- 빈혈유무 파악
증가 - 선천성 심장질환, 다혈구혈증
감소 출혈, 용혈, 빈혈, 혈색소병, 아급성심내막염, 식이결핍, 만성질환
Hb
12~16g/dL
9.0▼
검사 결과는 산소와 결합할 때 이용 가능한 Hb수치를 반영
증가 다혈구혈증, 혈액농축, 만성폐쇄성폐질환
감소 빈혈, 심한출혈, 용혈, 신장질활, 만성출혈, 혈색소병증
Hct
33~51%
27.8▼
혈장에 대한 적혈구의 비율을 알려줌
증가 선천성 심장질환, 진성 다혈구혈증, 심한탈수, 자간증
감소 빈혈, 갑상선기능저하증, 간경변, 용혈성반응, 출혈, 식이부족, 골수기능부전
PLT
150~400 10³/mm³
86▼
증가 악성장애, 원발성 다혈구혈증, 철분결핍성빈혈
감소 비장기능항진증, 출혈, 악성빈혈, 감염
pH
7.35~7.45pH
7.311▼
증가 호기성 염기증, 대사성 염기증, 암모니아 형성
감소 대사성 산증, 당뇨병, 설사, 기아
PaO2
75~100mmol/L
56.6▼
증가 다혈구 혈증, 산소흡입 증가, 과다환기
감소 빈혈, 점액마개, 기관지 경련, 무기폐
HCO3
21~29mmol/L
18.8▼
증가 만성 구토, 지속적 대량 위 흡인, 수은 이뇨제
감소 만성 및 심한 설사, 만성적인 loop 이뇨제 사용
Na
135~145mmol/L
130.8▼
증가 수분결핍, 염분과잉, 신질환
감소 탈수, 전해질상실, 구토, 만성신부전증
K
3.5~5.5mmol/L
4.7
증가 신질환, 외상칼륨배설저하, 백혈병
감소 칼륨섭취저하, 구토,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Cl
98~110mmol/L
101.4
증가 설사
감소 구토, 위액상실
PT(sec)
10.2~12.5sec
18.2▲
증가 간경화, 간염, 담도폐쇄
PT(%)
76.0~146.0%
39.9▼
PT(INR)
0.80~1.10INR
1.60▲
aPTT
24.5~34.7sec
49.7▲
증가 후천적 또는 선천적 응고인자 부족, 간경화증, 비타민 K 결핍
감소 DIC 초기단계
BUN
8.0~22.0mg/dL
76▲
증가 저혈량증,쇼크,화상,탈수,심근경색
감소 간부전, 수분축적, 수분과다, 임신
creatinine
0.80~1.50mg/dL
2.76▲
증가 사구체신염, 급성세뇨관 괴사
감소 쇠약, 근육량 감소
eGFR
60~100ml/min/1.73㎡
18▼
Total Bilirubin
0.2~1.40mg/dL
3.38▲
증가 황달, 췌장두부암
3) 약물
약품명
효능
부작용
(주의할점)
투여방법
(용량, 방법, 횟수)
① 10% Dextrose
탈수증, 수술전후 등 수분전해질 보급, 에너지 보급
치아민(vit B₁) 소모율이 높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치명적인 치아민 결핍 초래
20~1000ml 정맥주사
(IV infusion 속도 : 당으로서 0.5g/kg/hr 이하)
② Dopamine Premix
급성 순환 부전(심기능 대사부전증, 수술 후 및 신부전으로 인한 쇼크)
갈색세포종, 빈맥성 부정맥, 심실세동, Na염 함유 주사약과의 혼합
2~5ug/kg/min IVF
중증시 : 20~50ug/kg/min 까지 증량
③ Gaster 20mg inj.
위십이지장 궤양, 문합부궤양, 상부소화관출혈(소화성궤양, 급성스트레스궤양, 출혈성위염으로 인한), 역류성식도염, 졸링거-엘리슨증후군, 위점막 병변(미란, 출혈, 발적, 부종)의 개선
두통, 변비, 설사, 간기능장애, 황달, 쇼크, 스티븐슨-존슨 증후군, 범혈구 감소, 용혈성 빈혈
상부소화관출혈 억제 : 1회 20mg 생리식염주사약이나 포도당주사액 20ml에 녹여 1일 2회 IV
마취전 투약 : 1회 20mg 주사용 수 1~1.5ml에 녹여 마취도입 1시 간 전 근주 또는 포도당 주사액 20ml에 녹여 마취도입 1시간 전 천천히 정주
④ Heparine 25000iu/5ml
혈전증의 예방, 색전성 심방세동의 예방, 급성 및 만성 응고이상증 치료, 혈관 및 심장수술 시 혈액응고 예방, 뇌혈전증의 예방, 관상동맥폐색증, 말초혈관색전증
소화관출혈, 뇌출혈, 혈소판감소증, 혈전증, 비출혈, 혈소판혈병, 가려움증, 두드러기, 오한, 발열, 탈모, 백반, 출혈성 괴사, 골다공증, 혈종
체외순환 - 인공신장
전신헤파린화법 : 1000~5000IU
국소헤파린화법 : 1500~2500IU
체외순환 인공심폐에 의한 혈액 관류 : 150-300IU/kg
정맥내 점적주사 : 1000~3000IU 를 링겔액 1000mL에 용해하여 분당 30방울 전후의 속도로 주사
⑤ Multibic Soln
급성 신부전 환자의 연속혈액 여과 및 혈액투석 여과시 체액대용액, 급성 신부전 환자의 연속 혈액 투석, 특히 고칼륨혈증 환자에게 적용
구역, 구토, 근경련, 저혈압, 고혈압, 전해질 불균형, 고혈당증, 대사성 알칼리증, 저칼륨혈증, 울혈성 심부전, 숩참, 발목 및 다리부종, 탈수증, 혈액이상
성인 : 800~1400ml/h
최대유속 75L/일
⑥ Normal Saline
수분 및 전해질 결핍시의 보급(나트륨 결핍, 염소 결핍), 주사제의 용해 희석제
대량급속 투여에 의해 울혈성심부전, 부종, 산증, 혈청전해질 이상
보통 20~1000mL를 피하, 정맥, 점적 정맥주사, 직장에 주입
투여량, 투여속도는 연령, 체중,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
주사제의 용해 희석에는 적정량 사용
⑦ Multibic 4 Potassium Soln
급성 신부전 환자의 연속 혈액여과 및 혈액투석여과시 체액대용액, 급성 신부전 환자의 연속혈액투석시 투석액, 특히 혈중 칼륨치 정상인 환자에게 적용
구역, 구토, 근경련, 저혈압, 저혈당, 고칼슘혈증, 칼슘대사이상, 투석 불균형 증후군
혈액여과 및 혈액투석 여과 : 성인 500~1500ml/h
연속 혈액투석시 투석액 : 성인 500~2000ml/h
⑧ Calcium Cholride inj.
Ca 보급제(Mg 중독의 해독, 저칼
  • 가격1,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7.03.03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01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