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문헌고찰
간경화증(Liver cirrhosis)
1. 병태생리
2. 원인
3. 임상증상
4. 합병증
5. 진단검사
6. 치료와 간호
III.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 간호계획 - 간호중재 - 간호평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문헌고찰
간경화증(Liver cirrhosis)
1. 병태생리
2. 원인
3. 임상증상
4. 합병증
5. 진단검사
6. 치료와 간호
III.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 간호계획 - 간호중재 - 간호평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 : 유( )
/일 또는
/주 무( V ) - Quet 1달이상
(12) 투 약 : indenol tab.40m
baraclude tab. 0.5mg
ascite gran 4.1g
mucosta tab. 100mg
(13) 활력증상
체온 : 37.8°C
맥박 : 68 회/분
호흡 : 16 회/분
혈압 : 123/62 mmHg
2) 건강력
① 현병력(present illness)
2007년부터 B-viral LC(child C)로 F/U중이고 2011년 7월에는 GB sludge에 의한 반복되는 pancreatitis 있어 Lapachelocystectomy한 적 있으며 2012년 12월 HCC진단되어 2013년 5월 TACE#1한 뒤 F/U중이고, 2013년 8월, 9월에 E.coli sepsis있어 입원치료 했었고, 내운 1주전에 하루 15회정도 설사했고(현재는 호전) 입원 전일부터 갑작스러운 오한, 발열있고 Rt. leg redness 보여 ER 경유 내원함
② 과거력(past history)
2007년, 2009년, 2011년 B-viral LC, melena, pancreatitis로 본원 소화기내과 입원 치료
2011년 본원에서 cholecystectomy 수술
2012년 11월 본원에서 RF시행
2년전 hemetemesis로 입원치료(성빈센트병원)
5년전 요로결석 치료(선병원)
③ 가족력(Family history)
고혈압(부,모) 간염(큰형) 심근경색(부)
④ 진단을 위한 검사 (이상치만 기입)
· 화학검사
항목
참고치
결과치
의의
11/5
11/6
11/7
11/8
11/9
11/10
11/11
Mg
[1.8-2.8]mg/dL
1.3▽
-
-
1.5▽
-
-
-
증가 : 급성신부전, uremia, 선천성 거대결장증, 당뇨병 등
감소 : 신우염, 만성간염, 간경변 등
K
[3.5-5.5]mMol/L
-
-
-
-
-
-
3.0▽
증가 : 급성 및 만성 신부전, 용혈성 질환 등
감소 : 소화액 상실, 원발성 알도스테노증, 다뇨증, 기아 등
Na
[135-145]mMol/L
129▽
133▽
133▽
133▽
133▽
-
-
증가 : 수분부족, 식염의 과인, 요세관의 Na재흡수 증가, 간경변 등
감소 : 심한 탈수
Cl
[98-107]mMol/L
97▽
-
-
97▽
-
-
-
증가 : 부종시 Na 저류를 수반하는 고Cl acidosis, 신우염, 빈혈 등
감소 : 탈수시 Na상실을 수반하는 저Cl성 Alkalosis, 화상, 설사 등
T.Protein
[6.0-8.5]g/dL
5.4▽
-
-
-
-
-
-
혈액의 응고 능력을 조사하는 검사로 지혈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
증가 : 급성백혈병, 산재성혈관내응고증, 다발성골수종, 원발성다혈구철증
감소 : 부종, 영양실조증
Albumin
[3.5-5.3]g/dL
2.2▽
2.3▽
-
-
2.2▽
2.4▽
2.6▽
증가 : 탈수증, 영양과다 등
감소 : 중증 간질환, 신증후군, 영양실조, 흡수불량 등
T.Bilirubin
[0.2-1.2]mg/dL
6.9△
-
-
6.4△
8.1△
11.3△
10.3△
증가 : 황달, 용혈, 간세포 대사장애, 담즙배설장애 등
AST(GOT)
[5-40]U/L
71△
153△
48△
45△
42△
50△
46△
간세포내 존재 효소
증가 : 만성 간세포 손상, 알코올성 간질환, 뇌,심장, 신장 등의 손상 등
CRP
[0.0-0.3]mg/dL
4.0△
7.61△
-
7.8△
-
5.86△
7.05△
염증이나 조직의 변성 및 괴저성 질환이 진행되고 있는 동안 혈액 내에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특이한 단백
증가 : 금성 심근 경색, 세균감염증, 바이러스 감염증, 패혈증, 담석증 등이 의심
· 혈액검사
항목
참고치
결과치
의의
11/5
11/6
11/7
11/8
11/9
11/10
11/11
RBC
[4-5.4] x 10^6/uL
2.95▽
-
-
-
-
-
-
증가 : 폐섬유종, 폐조직의 경화, 탈수, 체액의 부족 등
감소 : 출혈 등의 혈액 손실, 적혈구의 파괴, 백혈병, 혈액과 골수의 암, 영양실조, 과탈수, 체액의 과흡수
Hb
[12.5-17.5]g/dL
11.2▽
10.3▽
9.6▽
8.4▽
6.7▽
8.6▽
8.3▽
증가 : COPD, 다혈구혈증, 울혈성 심부전
감소 : 빈혈, 임신, 간경화, 심한 출혈, 갑상선기능항진증
Hct
[37.0-51.6]%
33.7▽
29.7▽
28.0▽
25.2▽
19.7▽
25.1▽
24.2▽
증가 : 적혈구 증가증, 다혈구혈증, 탈수 등
감소 : 빈혈, 백혈병, 갑상선기능항진증, 임신에 의한 용혈성 빈혈, 급성 중증출혈, cirrhosis
PLT
[134-387]x 10^3/uL
73▽
64▽
61▽
71▽
78▽
-
62▽
증가 : 적혈구 증가증, 철분 결핍, 생리적인 혈소판의 증가, 결핵, 만성골수성 백혈병
감소 : 감염, 급성백혈병, 빈혈, 항암요법, 큰수술 후
WBC DIFF
Lympho
[16.0-49.0]%
8.1▽
14.6▽
13.4▽
-
-
-
-
증가 : 만성염증성 장애, 바이러스성 감염, 결핵, 만성 궤양성 장염
감소 : 약물요법, 부신피질호르몬제
Monocyte
-
11.2△
15.0△
-
-
-
-
증가 : 결핵, 매독, 활동성결핵, 리켓치아
감소 : 약물치료, 스테로이드
· 혈액응고검사
항목
참고치
검사값
의의
11/5
11/6
11/7
11/8
11/9
11/10
11/11
PT
[9.1-12.0]sec
25.3△
31.0△
27.5△
29.0△
25.8△
23.7△
26.2△
출혈에서부터 간에서 프로트롭빈이 형성될 때까지의 시간
⑤ 약물
상품명
성분명
분류
투여시작일
종료일
투여경로
1회 투여량
1일 투여 회수
투여 이유
부작용
간호내용
tylenol-ER tab. 650mg
Acetaminophen
해열, 진통, 소염제
11.9
계속 투여 중
po
1
1
해열 및 통증 완화
쇽, 호흡곤란, 천식발작, 청색증, 과민증, 구역, 구토, 식욕부진, 위장관계 이상반응, 발진, 알레르기 반응 등
-권장량을 초과 하지 않으며 아세트아미노펜을 포함하는 다른 제품과 함께 복용하면 X
- 정제를 으깨거나 TLqrj나 녹이지 말고 그대로
/일 또는
/주 무( V ) - Quet 1달이상
(12) 투 약 : indenol tab.40m
baraclude tab. 0.5mg
ascite gran 4.1g
mucosta tab. 100mg
(13) 활력증상
체온 : 37.8°C
맥박 : 68 회/분
호흡 : 16 회/분
혈압 : 123/62 mmHg
2) 건강력
① 현병력(present illness)
2007년부터 B-viral LC(child C)로 F/U중이고 2011년 7월에는 GB sludge에 의한 반복되는 pancreatitis 있어 Lapachelocystectomy한 적 있으며 2012년 12월 HCC진단되어 2013년 5월 TACE#1한 뒤 F/U중이고, 2013년 8월, 9월에 E.coli sepsis있어 입원치료 했었고, 내운 1주전에 하루 15회정도 설사했고(현재는 호전) 입원 전일부터 갑작스러운 오한, 발열있고 Rt. leg redness 보여 ER 경유 내원함
② 과거력(past history)
2007년, 2009년, 2011년 B-viral LC, melena, pancreatitis로 본원 소화기내과 입원 치료
2011년 본원에서 cholecystectomy 수술
2012년 11월 본원에서 RF시행
2년전 hemetemesis로 입원치료(성빈센트병원)
5년전 요로결석 치료(선병원)
③ 가족력(Family history)
고혈압(부,모) 간염(큰형) 심근경색(부)
④ 진단을 위한 검사 (이상치만 기입)
· 화학검사
항목
참고치
결과치
의의
11/5
11/6
11/7
11/8
11/9
11/10
11/11
Mg
[1.8-2.8]mg/dL
1.3▽
-
-
1.5▽
-
-
-
증가 : 급성신부전, uremia, 선천성 거대결장증, 당뇨병 등
감소 : 신우염, 만성간염, 간경변 등
K
[3.5-5.5]mMol/L
-
-
-
-
-
-
3.0▽
증가 : 급성 및 만성 신부전, 용혈성 질환 등
감소 : 소화액 상실, 원발성 알도스테노증, 다뇨증, 기아 등
Na
[135-145]mMol/L
129▽
133▽
133▽
133▽
133▽
-
-
증가 : 수분부족, 식염의 과인, 요세관의 Na재흡수 증가, 간경변 등
감소 : 심한 탈수
Cl
[98-107]mMol/L
97▽
-
-
97▽
-
-
-
증가 : 부종시 Na 저류를 수반하는 고Cl acidosis, 신우염, 빈혈 등
감소 : 탈수시 Na상실을 수반하는 저Cl성 Alkalosis, 화상, 설사 등
T.Protein
[6.0-8.5]g/dL
5.4▽
-
-
-
-
-
-
혈액의 응고 능력을 조사하는 검사로 지혈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
증가 : 급성백혈병, 산재성혈관내응고증, 다발성골수종, 원발성다혈구철증
감소 : 부종, 영양실조증
Albumin
[3.5-5.3]g/dL
2.2▽
2.3▽
-
-
2.2▽
2.4▽
2.6▽
증가 : 탈수증, 영양과다 등
감소 : 중증 간질환, 신증후군, 영양실조, 흡수불량 등
T.Bilirubin
[0.2-1.2]mg/dL
6.9△
-
-
6.4△
8.1△
11.3△
10.3△
증가 : 황달, 용혈, 간세포 대사장애, 담즙배설장애 등
AST(GOT)
[5-40]U/L
71△
153△
48△
45△
42△
50△
46△
간세포내 존재 효소
증가 : 만성 간세포 손상, 알코올성 간질환, 뇌,심장, 신장 등의 손상 등
CRP
[0.0-0.3]mg/dL
4.0△
7.61△
-
7.8△
-
5.86△
7.05△
염증이나 조직의 변성 및 괴저성 질환이 진행되고 있는 동안 혈액 내에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특이한 단백
증가 : 금성 심근 경색, 세균감염증, 바이러스 감염증, 패혈증, 담석증 등이 의심
· 혈액검사
항목
참고치
결과치
의의
11/5
11/6
11/7
11/8
11/9
11/10
11/11
RBC
[4-5.4] x 10^6/uL
2.95▽
-
-
-
-
-
-
증가 : 폐섬유종, 폐조직의 경화, 탈수, 체액의 부족 등
감소 : 출혈 등의 혈액 손실, 적혈구의 파괴, 백혈병, 혈액과 골수의 암, 영양실조, 과탈수, 체액의 과흡수
Hb
[12.5-17.5]g/dL
11.2▽
10.3▽
9.6▽
8.4▽
6.7▽
8.6▽
8.3▽
증가 : COPD, 다혈구혈증, 울혈성 심부전
감소 : 빈혈, 임신, 간경화, 심한 출혈, 갑상선기능항진증
Hct
[37.0-51.6]%
33.7▽
29.7▽
28.0▽
25.2▽
19.7▽
25.1▽
24.2▽
증가 : 적혈구 증가증, 다혈구혈증, 탈수 등
감소 : 빈혈, 백혈병, 갑상선기능항진증, 임신에 의한 용혈성 빈혈, 급성 중증출혈, cirrhosis
PLT
[134-387]x 10^3/uL
73▽
64▽
61▽
71▽
78▽
-
62▽
증가 : 적혈구 증가증, 철분 결핍, 생리적인 혈소판의 증가, 결핵, 만성골수성 백혈병
감소 : 감염, 급성백혈병, 빈혈, 항암요법, 큰수술 후
WBC DIFF
Lympho
[16.0-49.0]%
8.1▽
14.6▽
13.4▽
-
-
-
-
증가 : 만성염증성 장애, 바이러스성 감염, 결핵, 만성 궤양성 장염
감소 : 약물요법, 부신피질호르몬제
Monocyte
-
11.2△
15.0△
-
-
-
-
증가 : 결핵, 매독, 활동성결핵, 리켓치아
감소 : 약물치료, 스테로이드
· 혈액응고검사
항목
참고치
검사값
의의
11/5
11/6
11/7
11/8
11/9
11/10
11/11
PT
[9.1-12.0]sec
25.3△
31.0△
27.5△
29.0△
25.8△
23.7△
26.2△
출혈에서부터 간에서 프로트롭빈이 형성될 때까지의 시간
⑤ 약물
상품명
성분명
분류
투여시작일
종료일
투여경로
1회 투여량
1일 투여 회수
투여 이유
부작용
간호내용
tylenol-ER tab. 650mg
Acetaminophen
해열, 진통, 소염제
11.9
계속 투여 중
po
1
1
해열 및 통증 완화
쇽, 호흡곤란, 천식발작, 청색증, 과민증, 구역, 구토, 식욕부진, 위장관계 이상반응, 발진, 알레르기 반응 등
-권장량을 초과 하지 않으며 아세트아미노펜을 포함하는 다른 제품과 함께 복용하면 X
- 정제를 으깨거나 TLqrj나 녹이지 말고 그대로
키워드
추천자료
성인간호학실습 checklist
성인간호학-통증
성인간호학 - 심장의 구조와 기능
성인간호학 - 고혈압
성인간호학 - 대장암[결장직장암, Colorectal Cancer]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4학년1학기 과제물
<성인간호학 실습> 일반외과 케이스 스터디 : Intestinal Obstruction
성인간호학_1. 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관찰할...
성인간호학 2017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관찰...
성인간호학_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관찰할 항...
성인간호학케이스 척추관협착증(Spinal stenosis) - 통증, 피부손상위험성, 낙상위험성
성인간호학 실습 sepsis(패혈증) 문헌고찰 및 간호진단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골절(흉추,천추)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신경계(뇌경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