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하수체 (뇌하수체 구조와 기능, 뇌하수체 전엽의 장애, 뇌하수체 후엽의 장애, 뇌하수체 절제술 환자의 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뇌하수체 (뇌하수체 구조와 기능, 뇌하수체 전엽의 장애, 뇌하수체 후엽의 장애, 뇌하수체 절제술 환자의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ACTH의 합성이 감소되어 그 결과 부신피질에서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
(3) 점액 수종
- 뇌하수체샘의 절제나 병리적 파괴로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TSH의 결핍이 원인
(4) 성장애
- 성샘자극 호르몬의 부족으로 불임이 초래 성욕 및 2차성징이 감소
- 여성 : 불임증과 무월경. / 남성 : 정자형성감소, 고환 위축
3. 후엽의 장애
후엽은 파괴되거나 제거된다 하더라도 후엽호르몬(oxytocin, ADH)의 결핍증은 나타나지 않음. 반면에 시상하부가 손상되면 뇌하수체 후엽이 건강해도 후엽호르몬 결핍증이 나 타남.
1) 요붕증(Diabetes Insipidus)
신경성 혹은
중추성 요붕증
시상하부에 문제가 있어 뇌하수체 후엽에서 ADH 합성이나 운반 및 유리를 방해.
신성 요붕증
ADH에 대한 세뇨관의 반응이 없어 수분의 재흡수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
정신성 요붕중
다량의 수분 섭취에 의해 다뇨가 나타나는 상태.
요붕증은 항이뇨 호르몬(ADH)의 결핍으로 신장 세뇨관에서 수분이 재흡수 되지 않아 희석된 다량의 소변을 배설함.
(1) 병태생리
불충분한 ADH의 분비는 희석된 수변을 다량 분비하여 혈장 삼투성의 증가를 초래하며, 환자는 심한 갈증을 느끼게 되어 다량의 수분을 섭취하게 됨.
소변을 농축할 수 없고, 소변 배설량은 1일 8-12ℓ 정도이고 심한 ADH 결핍 시에는 하루 12ℓ이상이 됨. 소변 비중은 낮으며 보통 1.001-1.005의 수준.
(2) 증상과 징후
다뇨와 야뇨 및 지속적인 갈증이 있고 수분을 과다하게 섭취함. 요붕증이 오래 된 사 람은 방광의 용량이 커지며 신수종 상태로 진전.
(3) 진단
요붕증을 다른 다뇨 상태와 구별하기 위해 수분 섭취를 금지시키고 소변의 농축 능력을 측정함. (수분제한검사).
이때 당뇨의 경우 소변 용량이 급히 저하되며 농축도가 높아지나
요붕증은 소변 용량도 감소되지 않고 소변삼투질 농도 100mOsm/kg 정도를 유지하여 농축 능력에도 거의 변화가 없이 희석된 소변을 보게됨.
(4) 간호
신경성 요붕증의 치료는 ADH의 부족 정도와 연령, 내분비 및 심혈관계 상태 등에 따라 다름. 1일 소변 배설량이 9ℓ이상이거나 소변 삼투성이 100mOsm/kg 이하이면 ADH보 충요법이 필요.
증상적 호르몬 보충요법은 합성 vasopressin 유사물인 DDAVP(Desmopressin)를 줄 수 있 음. 이 약물은 부작용이 적고 작용시간이 길기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03.05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04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