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생활 공통)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사하여 분석해 보시오(통신언어 자료는 2016년 5월 1일 이후) [통신언어]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어와생활 공통)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사하여 분석해 보시오(통신언어 자료는 2016년 5월 1일 이후) [통신언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통신 언어란

2. 통신 언어가 일상언어에 미치는 영향

3. 통신 언어의 특징
1) 언어적 특징
(1) 줄여서 쓰기
(2) 덧붙여 쓰기
2) 문법적 특징
3) 어휘적 특징
(1) 비속어
(2) 줄임말
(3) 의미 확대
(4) 새말의 생성
4) 표기상의 특징
(1) 소리나는 대로 적기
(2) 초성만 표기
(3) 이모티콘

4.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 직접 수집ㆍ조사 분석
1) 언어적 특징
(1) 줄여서 쓰기 수집ㆍ조사 분석(2017.02.28.)
(2) 덧붙여 쓰기 수집ㆍ조사 분석(2017.01.05.)
2) 문법적 특징 수집ㆍ조사 분석(2017.02.19.)
3) 어휘적 특징
(1) 비속어 수집ㆍ조사 분석(2016.12.01.)
(2) 줄임말 수집ㆍ조사 분석(2017.01.05.)
(3) 의미 확대 수집ㆍ조사 분석(2017.03.03.)
(4) 새말의 생성 수집ㆍ조사 분석(2017.02.09.)
4) 표기상의 특징
(1) 소리나는 대로 적기 수집ㆍ조사 분석(2017.02.10.)
(2) 초성만 표기 수집ㆍ조사 분석(2017.02.27.)
(3) 이모티콘 수집ㆍ조사 분석(2017.02.18.)

5. 통신 언어의 개선 방안
1) 통신 언어사용자의 인식 개선
2) 통신 언어 교육을 통한 개선
3) 사회적 개선

6.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현상으로 존댓말을 사용하지 않는 현상, 냉소적으로 표현하는 현상, 은어비속어를 남용하는 현상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일상언어 생활에서는 통신 공간과는 달리직접 얼굴을 마주하고 대화를 하거나 자신의 이름을 밝히고 편지를 하거나 글을 쓰는 데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셋째, 통신 공간에서 경제성과 편의성을 생각하여 사용하던 소리나는 대로 쓰는 현상, 음절을 줄여 쓰는 현상 등을 일상 언어에서도 사용하고 있다.
넷째, 학생들은 딱딱하고 규범적인 현실 공간에서 일탈하여 자신들만의 통신 공간에서 마음껏 재미와 즐거움을 맛보려는 욕구로 일상 언어를 여러 가지 형태로 변화시켜 사용하고 있다. 문 말에 불필요한 자음을 붙여 쓴다던가 음운을 바꾸어 쓰는 현상, 신조어 등을 사용하는 현상들이 그 예이다.
3. 통신 언어의 특징
인터넷으로 인해 인간은 3차원의 한정된 공간에서 벗어나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사라지는 사이버스페이스(Cyberspace)를 창조해 내었다. 더불어 스마트폰의 파급으로 과거 컴퓨터만이 보급되던 시기보다 더욱 빨라지고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인터넷 공간은 말 그대로 가상의 공간이기 때문에 현실공간에서 이루지 못하는 내재된 감정을 표출시키는 경우도 생긴다. 이러한 가상공간의 특성은 현실공간에서 가상공간에 접속하는 접속자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통신에서도 현실공간과 괴리된 환경을 만들어 낸다. 인터넷 통신의 특성은 신속성, 정확성 그리고 익명성이다. 접속과 동시에 쏟아져 들어오는 정보는 그 신속성이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는 정보의 전달은 전자의 속도로 세계의 어느 곳이라도 연결이 가능하게 해 준다. Click 또는 Touch로 행해지는 인간의 명령에 작동하는 인터넷 기계(컴퓨터, 태블릿, 스마트폰 등)는 스스로 잘못된 정보를 생산하지는 못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워드프로세스 프로그램으로 작업을 하는 경우 나타나는 오탈자는 인간의 잘못이지 기계의 오류는 아닌 것이다. 기계는 입력된 명령에 의해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기 때문에 정확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터넷 통신에의 접속은 나(我)를 대신하는 아이디(ID: IDentifier)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나를 숨기고 가상의 자신을 나타낼 수 있는 익명성을 보장한다.
인터넷 통신은 풍부한 정보를 원하는 상황에서는 단연 면대면 접촉과 전화를 대체하는 대안적 채널로서, 그리고 참여감과 접근성이 중시되는 상황에서는 면대면 접촉을 능가하는 채널로 자리매김하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통신공간의 특성을 살펴보았을 때 탈일상과 탈억제, 그리고 탈대중화 즉 ‘일탈’이 인터넷 통신의 특성임을 알 수 있다. 인터넷 통신은 남과 다른 자신만의 일탈이라는 점에서 개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인터넷 통신언어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할 수 있다. 표준적인 표기에서의 일탈이라는 공통점을 가지며 일탈의 형태는 사용자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개성을 보여준다.
1) 언어적 특징
(1) 줄여서 쓰기
음소의 생략은 모음을 생략하거나 합치며 생겨난다. 마지막 음절이 모음으로 시작되고 앞 음절에 종성이 없는 경우 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국어에는 모음이 연이어 오는 것을 기피하는 특징이 있다. 모음이 연이어 오는 경우 그 사이에 자음을 개입시켜 모음의 충돌을 피하게 한다. 그러나 통신언어에서는 자음을 첨가하지 않고 충돌되는 모음을 하나로 합하거나 후행하는 모음을 생략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가. 드뎌(드디어), 셤(시험), 욜(요일), 쟈철(지하철), 모(토요일, 일요일)
나. 설(서울), 울(우리), 첨(처음)
다. 잼(재미)
(2) 덧붙여 쓰기
덧붙여 쓰기는 원래의 단어에 음운을 덧붙이는 현상인데, 이것은 줄여 쓰기의 목적인 쉽고 빠른 특징과 반대되는 현상이다. 덧붙여 쓰기는 일상언어에 대한 지루함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속성을 가지며 통신상에서 친근함이나 귀여움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사용된다. 특히 받침이 되는 종성의 자리에 특정한 느낌과 분위기를 전달하기 위해 자음을 더하는 경우가 많다.
- 오빠양 보고십당
- 예전에도 사기당햇던 경험이있어성..무섭네용...
- 넵! 대학생이에욥
- 좋아욥! 낼까지 준비해서갈께욥!
- 잘자욧~^^
- 그러지마세욧!!!!!!!!
- 아니얌
- 괜찮아염~ 저도그런적 있는걸욤
2) 문법적 특징
통신언어에서는 서술어나 종결어미를 줄여서 문장의 전체 길이를 줄이는 통사 현상이 자주 나타난다. 문장을 줄이는 것은 경제성의 관점에서 문장의 서술어나 종결어미를 줄이는 현상이다. 문장을 줄이는 현상은 문장의 성분을 명사화하여 표기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로 인해 인터넷 통신언어에서는 ‘음슴체’라는 새로운 문체가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음슴체’는 문장을 종결할 때 기존 문법에서 정하고 있는 어말어미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변이형을 사용하여 문장을 종결하는 문체를 말한다. 다음 글은 통신상에서 음슴체로 쓴 글의 예시이다.
존나 우울해서 음슴체로 쓰겠음. 눈구녕 뚫고 잘 읽으셈.
사건은 어제 저녁 6시부터였음. 청소를 끝내고 간만에 대항해시대4가 하고싶어서 다운을 받았츰. 하 ㅆ발 이제 해볼까ㅋ 하는 찰나에 오빠가 컴퓨터를 하겠다고 했음. 우리집은 절대적으로 나이많은 사람이 이기는거라 나는 컴퓨터를 비켯슴.
(…중략…)
오빠는 새벽2시에 비켰음. 그리고 난 ㅎㅎ 라테일을 켰음. 120을 찍었는데 왠지 지겨웠음. 그래서 마비노기를 켠 다음에 이 글을 씀. 내 속눈썹때문에 우울함.
3) 어휘적 특징
(1) 비속어
비속어는 통신언어의 발달로 새롭게 생겨난 어휘의 범주는 아니며 본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통신상에서는 일상의 언어생활에서보다 훨씬 자유롭고 무분별 하게 사용된다. 비속어는 격식을 차리지 않은 분방한 통신언어 환경에서 보다 더 다양한 형태로 확대되고 있다. 특이한 점은 기존의 비속어의 사용 목적인 상대방을 비난하고 욕하기 위한 수단 외에 친밀감이나 웃음을 유발하기 위해서도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기존의 비속어의 형태가 다양해진 경우와 새로 생겨난 비속어를 구분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개새끼: 개객끼/개새/개색히/개생키/개시키/ㄱㅅ/ㄱㅆㄲ/ILLHVHL
꺼져: 거져/겆여/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7.03.07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05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