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복지론]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종류와 특성을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복지론]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종류와 특성을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노인복지론]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종류와 특성을 설명하시오
Ⅰ 서론
Ⅱ 본론
1.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종류
1) 노인복지주택
2) 양로시설
3) 노인공동생활가정
2. 노인주거복지시설의 특성
Ⅲ 결론 및 의견
참고문헌

본문내용

물 제거와 휠체어 등의 이동이 가능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공동 거주시설이므로 ‘소방시설법’에 근거한 안전기준에 저촉되어야 한다. 하지만 시설별 차이도 존재한다. 우선 양로시설과 노인공동생활가정은 입소정원 1명당 연면적 15.9m2이상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지만, 노인복지주택은 기준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세부 설비 기준 중 식당 및 조리실과 세면장 및 샤워실(목욕실)은 양로시서로가 노인공동생활가정에서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지만, 노인복지주택에서는 제외하고 있다. 이는 앞의 두 시설은 식당과 세면장 등을 공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기준이 더욱 강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경보장치는 노인복지주택에만 설치기준으로 제시되어 있다. 이는 개별 주택별로 공간이 나뉘어 있어, 노인의 직접적인 도움요청 없이는 갑작스런 위험에 시설관리자의 즉각적인 응대가 힘들기 때문일 것으로 풀이된다.
Ⅲ 결론 및 의견
노인에게 주거환경은 일상생활을 수행하고 가족 및 사회와의 관계를 연결하는 가장 기초적인 공간이다. 노년기에는 사회활동의 감소로 생활영역은 거주지 중심으로 축소되고 신체적, 생리적 기능의 쇠퇴로 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주택이 제공하는 편리성의 정도가 노인의 생활 적응정도에 미치는 효과는 매우 크다. 나아가 쾌적성과 편리성은 노인의 심리적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사회적 측면에서의 주거환경은 노년기의 역할 상실의 충격을 완화하고 노인을 지역사회와 통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곳이다. 현재 노인주거복지시설은 양로시설, 노인공동생활가정, 노인복지주택 3가지로 구분되고 있으며 그 중 양로시설을 제외하고는 입소정원과 시설의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현황이다. 이처럼 노인주거복지시설 입소 노인의 삶의 만족도, 생활만족도를 높이고 보다 유연하고 탄력적이며 자발적 참여를 통한 삶의 활력과 변화를 주기 위해서는 노인주거복지시설의 특성과 입소 노인의 욕구를 고려한 전문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그에 상응하는 근본적인 조처들의 개선, 즉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시설 및 운영관리 기준의 강화, 전문가들의 훈련과 연수 등을 통한 프로그램의 다양화, 입소노인의 개별적 특성 및 활동성에 기초한 프로그램과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할 것이다.
참고문헌
법제처 http://www.moleg.go.kr
보건복지부, 2016 노인복지시설현황, http://www.mohw.go.kr
박종팔(2014), 사회복지시설 운영론, 양서원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03.13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11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