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1. 자폐성 장애의 특성
3. 자폐성 장애의 원인
3. 자폐성 장애의 진단기준
4. 자폐성 장애의 감별진단
5. 자폐성 장애의 경과 및 예후
6. 자폐성 장애의 치료
Ⅲ. 자폐성 장애인 가족의 문제와 능력고취
1. 장애인 가족의 일반적 문제와 현황
2. 자폐성 장애인 가족의 능력고취의 필요성
3 .장애인 가족의 능력고취를 위한 단계 및 방법
4. 장애인 가족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5. 외국의 발달장애인 복지정책
IV. 자폐성 장애가족을 위한 사회복지 해결방안
1. 자폐성 장애가족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방안
2. 자폐성 장애가족을 위한 사회복지 정책방안
V. 결론
<참고문헌>
II. 이론적 고찰
1. 자폐성 장애의 특성
3. 자폐성 장애의 원인
3. 자폐성 장애의 진단기준
4. 자폐성 장애의 감별진단
5. 자폐성 장애의 경과 및 예후
6. 자폐성 장애의 치료
Ⅲ. 자폐성 장애인 가족의 문제와 능력고취
1. 장애인 가족의 일반적 문제와 현황
2. 자폐성 장애인 가족의 능력고취의 필요성
3 .장애인 가족의 능력고취를 위한 단계 및 방법
4. 장애인 가족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5. 외국의 발달장애인 복지정책
IV. 자폐성 장애가족을 위한 사회복지 해결방안
1. 자폐성 장애가족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방안
2. 자폐성 장애가족을 위한 사회복지 정책방안
V.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키는 부가적 이점이 있으며, 가족문제의 맥락을 확인하도록 돕고, 가족성원이 서로의 관심사를 이해하고 대처행동을 향상시키도록 도우며, 보다 구체적인 문제를 정의하도록 도울 수 있다.
4) 행동계획 수립
가족성원의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을 통해 가족의 자원을 확인하고 가족성원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노력을 하도록 촉진시킨다. 가족의 대처행동은 인지적 대처, 적극적인 행동적 대처, 정서적 대처로 나눌 수 있으며 가족이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가족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목록을 개발하여 각 대안이 장점과 단점을 고려하도록 도와 가족이 스스로 계획을 수행하려는 의지와 주인의식(ownership)을 갖도록 돕는다. 이 단계에서는 문제해결의 장애요인 및 대처방안을 고려할 수 있도록 돕는 것도 중요하다.
5) 미래에 대한 대처기술 향상
가족이 새로운 대처기술을 수행하고 유지하며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위한 계획에 대한 논의하도록 촉진시킨다. 사회복지사는 가족성원이 서로의 노력을 인식하도록 돕고 새롭게 습득한 대처행동을 다른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도록 격려한다.
4. 장애인 가족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장애인 가족을 위한 기존의 집단 프로그램은 주로 장애아동 가족, 그 중에서도 장애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들이 대부분이다. 이런 프로그램들의 주요 초점은 크게 다음과 같이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교육적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둘째는, 부모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정서 중심의 프로그램, 셋째는, 장애가족의 성장과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둔 집단 프로그램이다.
1) 부모의 능력고취를 위한 프로그램
(1) 부모교육 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은 교육의 보조참여자로서 부모를 활용하는 기능을 강조하며, 장애아동의 교육과 치료, 훈련에 필요한 정보제공 및 아동과의 관계형성 방법 등에 대한 교육 등이 주 내용이다.
이런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이 세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 장애아동의 문제행동 수정을 위한 교육(Dreikuurs의 연구)에서 부모의 역할을 강조하는 접근, 둘째, 부모자녀의 정서적 감정교환을 다루는 정서중심의 부모교육(Haim, Ginotte & Gordon의 연구),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를 다루는 부모교육(Gordon & Briggs의 연구)이다. 김숙자, [부모참여 교육론] 1996년
이런 프로그램들은 장애를 이해하고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적 태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며, 장애아동의 교육효과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바가 있지만, 부모의 긍정적 행동이나 태도형성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자들은 그동안 부모의 역할을 자신들의 자식부족, 전문가들의 편견 지속으로 제한을 받아서 의사결정과정에 소극적으로 참여해왔으나(Kieman & Schalock eds, 1989; Morrison, 1984), 근래에는 참여가족의 상호협동성과 기능적 안정성을 회복하기 위한 가족참여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추세에 따라 초기 아동교육의 전달자와 보조교사로서의 부모역활을 강조하는 경향에서 근래에는 가족구성원들간의 합리적 역할분담이나 가족전체를 포함하는 가족교육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Hunt, N., & Marshall, K. (1994). Exceptional Children. York: New Jersey: Houghton Co.
는 주장도 나와 기존의 부모교육의 한계에 대한 자체적인 검토도 일어나고 있다.
(2) 부모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정서중심의 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은 장애아동 부모의 심리적 갈등과 스트레스 완화 및 적응력 강화에 목적을 두고, 상호 심리적 지지와 정보교환을 위한 지지집단의 형태로 운영되면, 주요 프로그램 내용들은 부모들의 자신감과 능력회복 등에 초점을 둔다. 이런 프로그램을 시도한 연구자들은 최은정(1991), 오승환(1996), 김희순(1988) 등이 있다.
이런 프로그램들은 사회적 지지를 많이 가진 어머니의 스트레스 감소 정도가 높으며, 장애자녀 양육에 따른 스트레스 완화, 자녀양육 방법의 학습, 그리고 각종 정보 제공 등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부모 성장 및 문제해결 능력증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은 장애아동 부모들로 하여금 현재의 삶을 정확히 인식하고, 문제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돕는 데 목적을 둔다. 주로 강의와 토론으로 이루어지며, 자신의 삶에 대한 통찰과 비합리적 인지의 재구조화를 통해서 문제해결 능력을 증진시키는 내용들을 다룬다. 이런 프로그램을 시도한 연구자들은 심재경(1991), 우애령(1995), 오세란(1997) 등이 있다. 이런 프로그램들은 부모들의 자아존중감, 문제에 대한 통제능력 및 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자폐아 형제를 능력고취를 위한 프로그램
(1) 개별상담 또는 집단상담
상담을 통해 장애형제의 장애유형, 정도, 특성 등 장애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학습시킨다. 또한 장애형제와 관련된 긍정적, 부정적인 감정등을 인식하고, 형제자매와 동료의 행동에 대한 반응과 관련된 대처능력을 향상시킨다.
(2) 장애인 형제의 발달단계별 지원사항
학령전기에는 장애인형제가 장애를 갖지 않았을 때 취할 수 있는 가족패턴과 유사한 가족패턴을 유지하도록 돕고, 형제자매간에 전형적으로 표현하는 분노, 공격성을 포함한 정상적인 범주의 감정표현을 격려한다. 그래서 장애가 없었을 때 사용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형제갈등을 해소하도록 도와야 한다.
학령기에는 장애의 원인, 종류, 특성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주고, 동료와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갈등에 적절히 대처하고 반응할 수 있는 방법과 기회를 제공한다. 장애형제에 대한 교사로서의 역할수행과 상호작용도 촉진시킨다.
청소년 후기와 성인기에는 부모사후의 장애인 형제의 재정적, 심리사회적으로 돌보는 것과 관련된 미래계획을 수립하는데 비장애형제를 포함시키도록 촉진한다.
(3) 가족내의 의사소통 촉진훈련
가족의 응집성과 통합을 향상시키는 의사소통 유형을 활용하도록 돕는다.
(4) 형제들을 위한 워크
4) 행동계획 수립
가족성원의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을 통해 가족의 자원을 확인하고 가족성원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노력을 하도록 촉진시킨다. 가족의 대처행동은 인지적 대처, 적극적인 행동적 대처, 정서적 대처로 나눌 수 있으며 가족이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가족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목록을 개발하여 각 대안이 장점과 단점을 고려하도록 도와 가족이 스스로 계획을 수행하려는 의지와 주인의식(ownership)을 갖도록 돕는다. 이 단계에서는 문제해결의 장애요인 및 대처방안을 고려할 수 있도록 돕는 것도 중요하다.
5) 미래에 대한 대처기술 향상
가족이 새로운 대처기술을 수행하고 유지하며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위한 계획에 대한 논의하도록 촉진시킨다. 사회복지사는 가족성원이 서로의 노력을 인식하도록 돕고 새롭게 습득한 대처행동을 다른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도록 격려한다.
4. 장애인 가족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장애인 가족을 위한 기존의 집단 프로그램은 주로 장애아동 가족, 그 중에서도 장애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들이 대부분이다. 이런 프로그램들의 주요 초점은 크게 다음과 같이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교육적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둘째는, 부모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정서 중심의 프로그램, 셋째는, 장애가족의 성장과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둔 집단 프로그램이다.
1) 부모의 능력고취를 위한 프로그램
(1) 부모교육 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은 교육의 보조참여자로서 부모를 활용하는 기능을 강조하며, 장애아동의 교육과 치료, 훈련에 필요한 정보제공 및 아동과의 관계형성 방법 등에 대한 교육 등이 주 내용이다.
이런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이 세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 장애아동의 문제행동 수정을 위한 교육(Dreikuurs의 연구)에서 부모의 역할을 강조하는 접근, 둘째, 부모자녀의 정서적 감정교환을 다루는 정서중심의 부모교육(Haim, Ginotte & Gordon의 연구),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를 다루는 부모교육(Gordon & Briggs의 연구)이다. 김숙자, [부모참여 교육론] 1996년
이런 프로그램들은 장애를 이해하고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적 태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며, 장애아동의 교육효과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바가 있지만, 부모의 긍정적 행동이나 태도형성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자들은 그동안 부모의 역할을 자신들의 자식부족, 전문가들의 편견 지속으로 제한을 받아서 의사결정과정에 소극적으로 참여해왔으나(Kieman & Schalock eds, 1989; Morrison, 1984), 근래에는 참여가족의 상호협동성과 기능적 안정성을 회복하기 위한 가족참여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추세에 따라 초기 아동교육의 전달자와 보조교사로서의 부모역활을 강조하는 경향에서 근래에는 가족구성원들간의 합리적 역할분담이나 가족전체를 포함하는 가족교육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Hunt, N., & Marshall, K. (1994). Exceptional Children. York: New Jersey: Houghton Co.
는 주장도 나와 기존의 부모교육의 한계에 대한 자체적인 검토도 일어나고 있다.
(2) 부모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정서중심의 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은 장애아동 부모의 심리적 갈등과 스트레스 완화 및 적응력 강화에 목적을 두고, 상호 심리적 지지와 정보교환을 위한 지지집단의 형태로 운영되면, 주요 프로그램 내용들은 부모들의 자신감과 능력회복 등에 초점을 둔다. 이런 프로그램을 시도한 연구자들은 최은정(1991), 오승환(1996), 김희순(1988) 등이 있다.
이런 프로그램들은 사회적 지지를 많이 가진 어머니의 스트레스 감소 정도가 높으며, 장애자녀 양육에 따른 스트레스 완화, 자녀양육 방법의 학습, 그리고 각종 정보 제공 등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부모 성장 및 문제해결 능력증진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은 장애아동 부모들로 하여금 현재의 삶을 정확히 인식하고, 문제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돕는 데 목적을 둔다. 주로 강의와 토론으로 이루어지며, 자신의 삶에 대한 통찰과 비합리적 인지의 재구조화를 통해서 문제해결 능력을 증진시키는 내용들을 다룬다. 이런 프로그램을 시도한 연구자들은 심재경(1991), 우애령(1995), 오세란(1997) 등이 있다. 이런 프로그램들은 부모들의 자아존중감, 문제에 대한 통제능력 및 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자폐아 형제를 능력고취를 위한 프로그램
(1) 개별상담 또는 집단상담
상담을 통해 장애형제의 장애유형, 정도, 특성 등 장애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학습시킨다. 또한 장애형제와 관련된 긍정적, 부정적인 감정등을 인식하고, 형제자매와 동료의 행동에 대한 반응과 관련된 대처능력을 향상시킨다.
(2) 장애인 형제의 발달단계별 지원사항
학령전기에는 장애인형제가 장애를 갖지 않았을 때 취할 수 있는 가족패턴과 유사한 가족패턴을 유지하도록 돕고, 형제자매간에 전형적으로 표현하는 분노, 공격성을 포함한 정상적인 범주의 감정표현을 격려한다. 그래서 장애가 없었을 때 사용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형제갈등을 해소하도록 도와야 한다.
학령기에는 장애의 원인, 종류, 특성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주고, 동료와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갈등에 적절히 대처하고 반응할 수 있는 방법과 기회를 제공한다. 장애형제에 대한 교사로서의 역할수행과 상호작용도 촉진시킨다.
청소년 후기와 성인기에는 부모사후의 장애인 형제의 재정적, 심리사회적으로 돌보는 것과 관련된 미래계획을 수립하는데 비장애형제를 포함시키도록 촉진한다.
(3) 가족내의 의사소통 촉진훈련
가족의 응집성과 통합을 향상시키는 의사소통 유형을 활용하도록 돕는다.
(4) 형제들을 위한 워크
추천자료
장애인가족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부모교육과 부모역할] 장애가족(장애 아동가족/장애 부모가족)과 혼혈가족의 부모 역할
장애인가족복지에 대해
정신장애인가족교육과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
장애인의 생애주기별 서비스와 장애인복지발전계획 및 장애인가족 지원서비스
장애인가족복지 - 장애인 가족의 문제, 복지대책
장애아가족의 양육 스트레스와 적응 요인
장애가족지원의 목적, 생애주기에 따른 장애인 가족의 욕구, 정신장애인 재활프로그램, 장애...
장애인가족(장애인지원, 장애인빈곤, 빈곤장애인가족, 장애인복지, 장애인지원서비스) 요약정...
장애인 가족 (장애인가족지원, 중도장애인, 성인중도장애인가족).PPT자료
장애인가족(개념, 신체장애인, 장애인가족현황, 대책, 정신장애인가족)
[가족복지론-가족 복지 실천 분야] Chapter 12.장애인 가족 {장애의 개념, 장애인 가족 현황,...
장애는 누구에게나 발생될 수 있으며 우리 모두는 잠재적 장애가족이 될 수 있다 장애인과 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