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역사,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말의역사,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우리말의역사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분량은 A4용지 10매 내외)

목차

서론

본론
1, 고대 국어
1)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의 고유 명사 표기
2) 향가
2, 중세 국어: 훈민정음
1) 훈민정음의 의미
2)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
3) 성조와 방점
3, 용비어천가
4, 언간편지(한글편지)
5, 소학언해
6, 근대 국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다. 언해본 『삼강행실도』는 이를 훈민정음 창제 후 그 대상을 각각 35명씩으로 늘이고 난상(欄上)에 언해를 붙여 성종 21년(1490)에 3권 1책으로 간행한 책이다(김유범 2006ㄱ:148).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는 광해군 9년(1617) 유근(柳根)이 왕명에 따라 편찬한 『삼강행실도』의 속편으로 임진왜란 중에 목숨을 바친 사람을 포함하여 신라, 고려, 조선의 충신, 효자, 열녀의 사적(事蹟)을 수록하고 그 덕행을 찬양하였다. 시기적으로 보았을 때 언해본 『삼강행실도』는 중세 국어 자료에, 『동국신속삼강행실도』근대국어 자료에 포함될 것이다. 『동국신속삼강행실도』가 등장하는 단원의 학습 목표는 ‘언어와 사고, 문화, 사회의 관계를 안다’, ‘문학 작품에 드러난사회적문화적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을 수용할 때 사회적문화적 상황을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태도를 가진다’ 이어서 첫 번째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한 제재로 보인다. 실제로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 원본 사진까지 제시를 했지만 그 시기 국어에 대해 알아보는 학습 내용은 찾아볼 수 없다.
김유범(2006ㄱ)은 기존의 중세 국어 교육의 교재로 사용된 교재들이나 중세 국어 강독 자료들은 교육 대상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자료에서 문법으로’, 즉 중세 국어의 언어 현실을 보여 주는 1차 자료로부터 중세 국어의 이해를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전체 내용의 이해가 가능한 텍스트를 사용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대상으로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를 제안하였다.
본고에서도 삼강행실도류의 제재를 중세 국어나 근대국어 교육의 제재로 사용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본다. 우선 텍스트의 길이가 짧아서 일정시간에 학습하기 용이하며, 완결성 있게 전체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내용도 교훈적인 내용이 많으므로 제재로서의 가치도 뛰어나다. 삼강행실도류에서 충, 효, 열에 관련된 이야깃거리는 무궁무진하다. 우리나라의 유명한 인물 이야기를 선정해도 되고, 줄거리가 재미있거나 특색이 있는 이야기를 설정하는 것도 좋겠다.
삼강행실도류의 큰 특징은 매 편마다 그림을 넣어 사실의 내용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백성을 교화하고자하는 취지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삼강행실도류를 교과서에 수록할 때에는 원문만 수록하지 말고 각 편의 그림을 함께 실어주는 것이 좋을 것이다.
2) 두시언해
두시언해(杜詩諺解)(25권)는 성종 12년에 완성되었는데, 현재 초간본은 모두 합해도 완질이 되기 어려울 듯하다. 두시언해는 당나라 시인 두보의 시를 언해한 것으로 언해 문학의 백미(白眉)일 뿐만 아니라 국어 자료로도 양으로 보나 질로 보나 매우 소중한 것이다(이기문 1998:125). 두시언해의 중간본은 인조 때 이루어졌으며(1632), 이 책은 영남 지방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곳 方言의 영향을 받고 있다(이기문 1998:198).
두시언해 중간본은 초간본을 기본으로 하여 개각(改刻)하였으므로, ㅿ,ㆁ, 방점, 구개음화 등 150년 시대 흐름에 따른 언어의 변천 모습을 비교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박병채 1989:133). 교과서에서도 이러한 점에 중점을 두어서 두시언해를 국어사 교육의 제재로 활용하면 과 같이 두시언해의 자료적 가치를 학습하는 활동을 구안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여기서 유의해야 할 점은, ‘국어사’ 학습을 위한 ‘문법’ 단원이라고 해서 텍스트 자체에 대한 이해를 등한시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문학사적 가치가 매우 높은 ‘두시언해’의 작품들을 놓고 작품 감상은 뒷전으로 하고 국어사적 지식만 분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런 의미에서 문법(국어사) 단원과 문학(고전문학) 단원을 통합하여 한 단원으로구성한 교과서(김병권 외 2011)는 매우 높게 평가할 수 있겠다. 이 교과
서에서는 ‘두시언해’ 중간본 권 14:13에 실려 있는 ‘등악양루(登岳陽樓)’를 주요 제재로 삼아 작품 감상을 하고, 연관된 다른 작품을 소개해 주며, 국어사적 내용까지 학습할 수 있도록 활동을 구안하였다.
3) 역학서류
한반도에서는 오래 전부터 주변 민족의 언어를 관리들에게 학습시켜 그들과의 접촉에서 언어의 장애를 극복하게 하였다. 조선 시대의 외국어 학습 기관은 사역원이며, 사역원의 외국어 학습교재를 전통적으로 ‘역학서(譯學書)’, 또는 ‘역서(譯書)’라고 불렀다. 역학서는 다른 언해자료나 언문표기 자료에서 볼 수 없는 당시 생생한 우리말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이유로 조선 사역원의 역학서 자료들은 국어의 연구에서도 귀중한
자료이며 해당 외국어의 역사적 연구에도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된다(정광2002:8-9).
역학서류는 같은 내용을 두고 시대에 따라 여러 번 개정되어 간행되었으므로 시대별로 국어가 변천하는 모습을 살펴보기에 용이하여 국어사적 가치가 높은 작품이다. 또한 국어생활사적인 입장에서 볼 때 역학서류를 통해 당시의 생활 문화를 살펴볼 수 있으며, 당시의 구어를 어느 정도 반영한 언어 자료라는 점에서 중요하다.『노걸대』는 그동안 국어생활사의 자료로서 소개된 바가 있으나 국어사적 관점이나 외국어 교수학습사의 관점에서 제시가 되었다(정승혜 2004, 구본관 2009:28-32). 『노걸대』에 대해서
문화사나 생활문화사적 가치를 부여한 논의도 많으나(장윤희 2005ㄴ, 양오진 2003)
현행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는 역학서류 중 ‘번역박통사’와 ‘번역노걸대’, ‘노걸대언해’ 등이 수록되어 있는데,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는 제재는 ‘노걸대언해’이며, ‘노걸대언해’를 다루고 있는 교과서는 예외 없이 다음 장면을 교과서에 싣고 있다.
(47) ‘노걸대언해’에서 교과서에 인용된 부분
너 高麗ㅅ사이어니 엇디 漢語 니을 잘 뇨
내 漢ㅅ사의손 글 호니 이런 젼로 져기 漢ㅅ말을 아노라
네 뉘손 글 혼다
내 漢 당의셔 글 호라
네 므슴 글을 혼다
論語 孟子 小學을 닐그롸
네 每日 므슴 공부다
每日 이른 새배 니러 學堂의 가 스승님 글 호고 學堂의셔 노하든 집의 와 밥
먹기 고 당의 가 셔품쓰기 고 셔품쓰기 고 년구기 고 년구기
고 글
  • 가격2,9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7.03.31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26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