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리더십의 정의
2. Katz의 조직계층별 리더십 / 경영자에게 필요한 기술
가. 전문적 기술
나. 대인적 기술
다. 개념적 기술
3. 이슈리더십
가. 이슈의 종류
나. 이슈리더십이란?
다. 이슈리더십의 3요소
4. 조사를 마치며
2. Katz의 조직계층별 리더십 / 경영자에게 필요한 기술
가. 전문적 기술
나. 대인적 기술
다. 개념적 기술
3. 이슈리더십
가. 이슈의 종류
나. 이슈리더십이란?
다. 이슈리더십의 3요소
4. 조사를 마치며
본문내용
어지도록 행동하며 이슈를 창조하는 긍정적 행동이다.
② Audience Push
청취자간의 인식의 차이를 중요점으로 생각하고 근본 개념의 이해와 인식 공유를 통한 자발적 분위기와 동기 부여가 필요하다. 인식차가 크게 발생하면 System Power의 실행자가 실행력을 잃게 된다.
오디언스의 유형
- 수혜자 : 많은 사람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이슈여야 한다.
- 피해자 : 방해자와 동일인인 경우가 많다.
- 실행자 : 이슈의 성공률을 높여주며 가장 중요하다.
- 후원자 : 리더가 최선을 다해서 이끌어 낸 결과이다.
- 방해자 : 이슈의 혜택을 못 받는 경우가 많다.
③ System Power
조직을 전체로 보며 자신의 계획 및 사고를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훌륭한 개념적 기술을 가진 리더는 조직의 여러 부서와 기능이 어떻게 상호 연결되어 있는지 그리고 한 부서에서의 변화가 다른 부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System Power 진단 항목 6가지
- 어떤 일까지 할 수 있는가?
- 어떤 자원을 동원해 낼 수 있는가?
- 기획, 조직화 그리고 설계 능력은?
- 적극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들의 숫자와 Pull의 성격은?
- 과정 효율화와 역량은?
- 이슈실천의 방해요인들은?
◇ 조사를 마치며 ◇
경영자계층에 따라 관리기술의 상대적 중요성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문적 기술은 기업의 하위수준에서 중요시되며 상위로 올라갈수록 그 중요성이 낮아지는 반면에 개념적 기술은 상위수준일수록 중요시 된다.
최고경영자일수록 기업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포괄적이고 장기적인 의사 결정에 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인적 기술은 어느 계층에서나 거의 비슷한 비중으로 중요시되는데, 그 이유는 경영이란 본래 다른 사람을 통해 목표를 달성시키는 과정이기 때문에 아무리 전문적인 기술과 개념적 기술을 충분히 지니고 있다 해도 대인관계가 원만치 못하면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결국 우리는 전문적 기술과 개념적 기술이 직급이나 나이에 따라 한계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많이 만들어 내는 사람이 리더의 역할을 수행하여 조직의 상·하부계층과 무관하게 조직에 적응하는 이슈 리더십의 등장은 기존 리더십 이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기존 리더십의 단점을 해결 할수 있다고 생각하면서 조사를 마친다.
② Audience Push
청취자간의 인식의 차이를 중요점으로 생각하고 근본 개념의 이해와 인식 공유를 통한 자발적 분위기와 동기 부여가 필요하다. 인식차가 크게 발생하면 System Power의 실행자가 실행력을 잃게 된다.
오디언스의 유형
- 수혜자 : 많은 사람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이슈여야 한다.
- 피해자 : 방해자와 동일인인 경우가 많다.
- 실행자 : 이슈의 성공률을 높여주며 가장 중요하다.
- 후원자 : 리더가 최선을 다해서 이끌어 낸 결과이다.
- 방해자 : 이슈의 혜택을 못 받는 경우가 많다.
③ System Power
조직을 전체로 보며 자신의 계획 및 사고를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훌륭한 개념적 기술을 가진 리더는 조직의 여러 부서와 기능이 어떻게 상호 연결되어 있는지 그리고 한 부서에서의 변화가 다른 부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System Power 진단 항목 6가지
- 어떤 일까지 할 수 있는가?
- 어떤 자원을 동원해 낼 수 있는가?
- 기획, 조직화 그리고 설계 능력은?
- 적극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들의 숫자와 Pull의 성격은?
- 과정 효율화와 역량은?
- 이슈실천의 방해요인들은?
◇ 조사를 마치며 ◇
경영자계층에 따라 관리기술의 상대적 중요성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문적 기술은 기업의 하위수준에서 중요시되며 상위로 올라갈수록 그 중요성이 낮아지는 반면에 개념적 기술은 상위수준일수록 중요시 된다.
최고경영자일수록 기업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포괄적이고 장기적인 의사 결정에 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인적 기술은 어느 계층에서나 거의 비슷한 비중으로 중요시되는데, 그 이유는 경영이란 본래 다른 사람을 통해 목표를 달성시키는 과정이기 때문에 아무리 전문적인 기술과 개념적 기술을 충분히 지니고 있다 해도 대인관계가 원만치 못하면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결국 우리는 전문적 기술과 개념적 기술이 직급이나 나이에 따라 한계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많이 만들어 내는 사람이 리더의 역할을 수행하여 조직의 상·하부계층과 무관하게 조직에 적응하는 이슈 리더십의 등장은 기존 리더십 이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기존 리더십의 단점을 해결 할수 있다고 생각하면서 조사를 마친다.
추천자료
히딩크의 리더십(경영,경제)
리더십과 임파워먼트로 인한 경영혁신
국내외 주요 방송사 (국내 2개, 해외 2개) 최고경영자의 핵심적인 리더십 전략에 대해 설명하...
[최고경영자][CEO][리더쉽][리더십][기업경영]최고경영자(CEO)를 통해본 리더쉽 사례 연구(변...
미래경영자에게 필요한 바람직한 리더십
[미시경영]리더십과 조직성과의 상관관계 분석
스타벅스경영마케팅사례,하워드 슐츠의 리더십,커피시장분석,스타벅스커피산업,브랜드마케팅,...
잭 웰치의 경영전략 - 잭웰치의리더십,GE의전략,젝웰치분석.PPT자료
로버트 레버링의 훌륭한 일터 적용사례연구 (신뢰경영 이론, 헤르만 헤세 리더십 사상, 켄 블...
[메리케이의 경영철학]메리케이의 리더십,메리케이의 성공전략,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
공학경영(에릭슈미트의 리더십)
리더십]] 기업의 최고경영자(CEO)에게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자질의 구성요소를 소개하고 이러...
(경영학개론 공통) 1 교재의 리더십 연구의 흐름을 간략히 정리하시오(2쪽 이내) (10점) 2 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