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예비 보고서 >
실험목적 :
1.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일어나는 중화반응에 대해 알아본다.
2. 강염기인 NaOH를 약산과 강산으로 중화시켜보고, 그때 발생하는 중화열을 각각 측정해본다.
이 론 :
- 중화열 : 중화열이란 산과 염기가 만나 중화되면서 방출되는 열을 의미한다.
통상 수소이온()과 수산화이온() 1mol씩 중화되어 1mol이 생성될 때 이때의 반응열이
중화열이며 이는 곧 엔탈피변화량()으로 봐도 무관하다. 통상적으로 중화열은 -57.7 kJ/mol 이다.
- 열용량(Heat capacity)
일정한 양의 물질을 온도 1℃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으로 정의된다.
- 열량이란 열의 많고 적음을 나타내는 양인데, 계가 주위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계가 방출 또는
흡수한 에너지를 의미한다. 1cal는 물 1g을 1℃만큼 올리는데 필요한 열의 양이다(1cal=4.186J)
열량(Q) = 열용량(C) * 온도변화(△T)
- 비열
비열이란 어떤 물질 1g의 온도를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이다.
즉 비열 = 열량(Q) / 질량(g) * 온도변화(△T) 이다.
- 노르말농도
노르말농도는 용액 1L 속에 녹아있는 용질의 g 당량수를 의미한다.
주로 산, 염기 중화반응 또는 산화 환원반응의 계산 등에 이용된다.
노르말 농도(N) =
- 당량수(equivalent)
화학반응에 있어서 물질의 양적 관계를 기초하여, 각 원소 혹은 화합물마다 할당된 일정량이다.
화학당량이라고도 한다. 수소나 수산화이온을 가지고 있는 개수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 헤스의법칙(Hess\'s law) : 총 열량 불변의 법칙
일정 압력 하에서 화학반응의 전체 열량은 반응에 포함된 중간단계에 무관하고 물질의 처음과 마지막
상태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법칙이다. 이는 엔탈피(△H)가 경로함수가 아닌 상태함수라는 사실의 결론이
기도 하며, 반응 전 후의 각 물질의 상태가 동일해야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 Flow Chart of this Experimentation >
1. 단열통에 솜을 채워 시험관을 넣고, 0.2N NaOH 500ml, 1.0N HCl, , 100ml를 만든다.
(만든 용액은 para film을 이용하여 입구를 봉하여 증발 등으로 인한 질량손실이 없도록 한다.)
※ 0.2N NaOH 500ml 만드는 방법
※ 1.0N 100ml 만드는 방법
2. 사각수조에 얼음물을 채우고, 위에서 만든 용액을 얼음물에 넣어 얼음물과 온도가 비슷하게 만든다.
3. 0.2N NaOH와 1.0N HCl를 취하여 동시에 단열통의 시험관에 넣는다.
4. 온도가 일정해질때까지 시험관의 온도를 5초마다 측정하여 기록한다.
5. 1.0N 황산()과 아세트산()으로 위의 실험을 반복한다.
6. 기록한 데이터를 토대로 중화열을 계산한다.
예상결과 :
산의 와 염기의 가 만나 서로 중화되어 물()이 생성됨과 함께 중화열이 생성될 때 그 중화열을 측정하는 실험이다. 실험을 하는 시약들의 당량수가 1가로 모두 같기
실험목적 :
1.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일어나는 중화반응에 대해 알아본다.
2. 강염기인 NaOH를 약산과 강산으로 중화시켜보고, 그때 발생하는 중화열을 각각 측정해본다.
이 론 :
- 중화열 : 중화열이란 산과 염기가 만나 중화되면서 방출되는 열을 의미한다.
통상 수소이온()과 수산화이온() 1mol씩 중화되어 1mol이 생성될 때 이때의 반응열이
중화열이며 이는 곧 엔탈피변화량()으로 봐도 무관하다. 통상적으로 중화열은 -57.7 kJ/mol 이다.
- 열용량(Heat capacity)
일정한 양의 물질을 온도 1℃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으로 정의된다.
- 열량이란 열의 많고 적음을 나타내는 양인데, 계가 주위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계가 방출 또는
흡수한 에너지를 의미한다. 1cal는 물 1g을 1℃만큼 올리는데 필요한 열의 양이다(1cal=4.186J)
열량(Q) = 열용량(C) * 온도변화(△T)
- 비열
비열이란 어떤 물질 1g의 온도를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이다.
즉 비열 = 열량(Q) / 질량(g) * 온도변화(△T) 이다.
- 노르말농도
노르말농도는 용액 1L 속에 녹아있는 용질의 g 당량수를 의미한다.
주로 산, 염기 중화반응 또는 산화 환원반응의 계산 등에 이용된다.
노르말 농도(N) =
- 당량수(equivalent)
화학반응에 있어서 물질의 양적 관계를 기초하여, 각 원소 혹은 화합물마다 할당된 일정량이다.
화학당량이라고도 한다. 수소나 수산화이온을 가지고 있는 개수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 헤스의법칙(Hess\'s law) : 총 열량 불변의 법칙
일정 압력 하에서 화학반응의 전체 열량은 반응에 포함된 중간단계에 무관하고 물질의 처음과 마지막
상태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법칙이다. 이는 엔탈피(△H)가 경로함수가 아닌 상태함수라는 사실의 결론이
기도 하며, 반응 전 후의 각 물질의 상태가 동일해야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 Flow Chart of this Experimentation >
1. 단열통에 솜을 채워 시험관을 넣고, 0.2N NaOH 500ml, 1.0N HCl, , 100ml를 만든다.
(만든 용액은 para film을 이용하여 입구를 봉하여 증발 등으로 인한 질량손실이 없도록 한다.)
※ 0.2N NaOH 500ml 만드는 방법
※ 1.0N 100ml 만드는 방법
2. 사각수조에 얼음물을 채우고, 위에서 만든 용액을 얼음물에 넣어 얼음물과 온도가 비슷하게 만든다.
3. 0.2N NaOH와 1.0N HCl를 취하여 동시에 단열통의 시험관에 넣는다.
4. 온도가 일정해질때까지 시험관의 온도를 5초마다 측정하여 기록한다.
5. 1.0N 황산()과 아세트산()으로 위의 실험을 반복한다.
6. 기록한 데이터를 토대로 중화열을 계산한다.
예상결과 :
산의 와 염기의 가 만나 서로 중화되어 물()이 생성됨과 함께 중화열이 생성될 때 그 중화열을 측정하는 실험이다. 실험을 하는 시약들의 당량수가 1가로 모두 같기
추천자료
절삭력 측정 실험-기계공학 응용실험
[기계공학실험] 충격실험
전자공학실험- Diode 응용회로
[부산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제트 유동장 실험
[부산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열전달 실험
[부산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인장 실험
[부산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스트레인 게이지 응용 실험
[부산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기계시스템운동의 가시화 & 기초진동실험
홍익대학교 기계공학실험 PSD센서 실험보고서
홍익대학교 기계공학실험 마찰계수측정 실험보고서
홍익대학교 기계공학실험 역설계 실험보고서
홍익대학교 기계공학실험 이중열교환기 실험보고서
홍익대학교 기계공학실험 증기압축식 열펌프 실험보고서
기계공학응용실험 - 기계시스템 운동의 가시화 결과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