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익대학교 기계공학실험 역설계 실험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홍익대학교 기계공학실험 역설계 실험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관련 이론
3. 실험 장치
4. 실험 과정 및 순서
5. 실험 결과 및 토의
6. 고찰
7. 참고문헌

본문내용

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대상체와 동일한 하나의 면으로 구성 되어 대상체를 어느 3D 프로그램에서도 응용 가능하도록 한다. 대상체를 Web상에서 다각도로 관찰 가능하며, 확대나 축소가 가능하도록 용량의 차이를 두어 제작한다.
⑤ CAD Data Processing
surface data를 기준으로 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면을 만드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대상체의 크기와 부분치수를 1:1 실측으로 정밀한 수치가 나오도록 한다. 대상체의 굴곡이나 곡률반경 등을 각 입면에서 치수로 산출하고, 대상체의 특징을 알 수 있도록 단면도를 부가한다.
6) 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얇은 개별 레이어를 쌓아 복잡한 3차원 파트를 작성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선삭 또는 가공과 같은 감산 프로세스에 보다 형상 복잡성에 대한 자유도가 크게 향상된다. AMT는 주로 단기 프로토타입(Rapid Prototyping)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지만, 소규모 시리즈 생산 및 Rapid tooling에도 사용된다. 엔지니어링 분야의 애플리케이션 외에 RP는 환자별 형상이 필요한 의료 애플리캐이션에서 점차 보편화 되고 있다.
7) 3D 프린팅의 방식
3D 프린팅 기술유형
사용소재
특징
FDM
열가소성플라스틱, HDPE, 나일론
플라스틱 계열 중 재료
강도가 높고 고체
필라멘트 재료를 노즐에서 층층이 쌓아가는 방식
SLA
프로폴리머
레이저로 재료를 가열하여 응고시키는 방식
SLS
열가소성플라스틱분말, 금속분말, 세라믹 분말
SLA보다 강한 레이저 사용으로 금속계의 분말에서 소결 가능
DMT
모든 합금
고출력 레이저빔을 이용하여 금속의 분말을 녹여 붙이는 방식, 고가의 특수 금속제품을 제작하는데 적합
8) Selective Laser Sintering
파우더형 재료(미세한 플라스틱 분말, 모래, 금속 가루 등)를 사용한 3D 프린팅 방법이다. 파우더가 담겨있는 수조에 레이저를 쏴서 얇은 막(Layer)을 형성하는 것이 원리이다. 막이 형성된 뒤에 다시 파우더를 뿌리고, 다시 레이저를 쏘는 과정을 반복해서 물체를 조형한다. 레이저가 아니라 접착제를 사용하는 형태도 있다. 프린팅이 끝난 다음에 가루 더미에서 물체를 꺼내게 된다. 속도가 빠르고, 재료도 다양하며, 완제품도 정교하지만, 프린터 자체가 고가이며 부피가 크고, 사용을 위해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9) SLA(Setero Lithography Appartus)
액체형 재료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빛을 받으면 고체로 변하는 광경화성 수지(액체 플라스틱)가 들어있는 수조에 레이저 빔을 쏘아서 필요한 부분만 고체화시키는 방식이다. 레이저 광선을 이용해 속도가 빠르고 FDM 방식에 비해 제품 표면이 매끄럽지만 내구성은 떨어진다.
3. 실험 장치
① EzScan
EzScan의 3차원 스캐닝 기술은 자체 개발한 멀티 패턴을 사물에 투영하고, 이 때 얻은 3차원 이미지 정보를 CCD 카메라로 전송받은 후, 고유의 알고리즘을 거쳐 사물의 컬러와 텍스처 정보를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7.10.01
  • 저작시기201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54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