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CRF의 개념
2. 진단법
3. 증상과 징후
4. 치료
<<혈액투석-Hemodialysis>>
1. 혈액투석의 개념
2. 혈액투석의 원리
3. 투석장치 요소
4. 혈액 투석 방법
5. 혈액 투석의 합병증
6. 혈액 투석 환자의 간호
<<CASE STUDY>>
∈실습소감∋
∈참고문헌∋
2. 진단법
3. 증상과 징후
4. 치료
<<혈액투석-Hemodialysis>>
1. 혈액투석의 개념
2. 혈액투석의 원리
3. 투석장치 요소
4. 혈액 투석 방법
5. 혈액 투석의 합병증
6. 혈액 투석 환자의 간호
<<CASE STUDY>>
∈실습소감∋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으나 색깔 변화나 다른 피부 질환은 가지고 있지 않으며, 개인위생은 보통 임.
(2) 신체계측 : 신장 - 156cm, 체중 - 41.3kg
(3) 두부 : 변형이나 손상 없이 정상임.
(4) 눈 : 양측 안구는 손상 없이 위치가 정상정이며 분비물은 없음.
(5) 귀 : 양측 외이는 대칭적이며 위치가 정상적이며 분비물은 없음.
(6) 코 : 형태와 위치 모두 정상적이며 분비물은 없음.
(7) 구강 : 구강점막과 입술 모두 형태상 이상은 없지만 약간 건조하시다고 말함.
(8) 호흡기계 : 호흡수는 20회/분으로 리듬은 비교적 규칙적이며, 호흡시 흉곽의 움직임은 양측이 대칭적임.
3. 임상검사
° 자동화학검사(S)
정상치
검사결과
해석
임상적 의의
BUN
10-20mg/dl
111.06
H
신장질환, 요로폐쇄, 만성통풍,
악성종양, 갑상선기능항진증
CRE
0.5-1.5mg/dl
10.53
H
Nephritis, Chronic renal disease
ALT
0-35u/l
15
정상
증가→급성간염, 간질환,
심근경색, 폐쇄성 황달
AST
7-40u/l
25
정상
증가→급성간염, 심근경색증,
폐쇄성황달, 다발성골수종, 췌장염
Alb
3.5-5.0g/dl
3.39
L
혈액의 끈기가 없음, 복수가 참, 부종, 영양결핍,단백질 합성 장애
Na
135-145mEq/l
133
L
고지혈증, 고단백혈증, 고혈당, Addison병, 간질성신염, 저알도스테론증, 구토, 설사, 신증후군, 심부전, 간경변
Ca
8.5-10.5Eq/l
7.2
L
Vit D 결핍,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신장애, 신증후군, 저알부민혈증, 산혈증, 급성췌장염
K
3.5-5.0mEq/l
6.1
H
Addison병, 핍뇨, 무뇨, 조직파괴, 용혈
° 일반혈액검사(WB(E))
R-CBC(5종)
정상치
검사결과
해석
임상적 의의
WBC
4000-10000k/ul
5670
정상
증가→급성감염, Measles, Pertussis, 악성종양
감소→세균감염, 약이나 급성백혈병 등에 의한 골수기능저하
RBC
400만-500만/ul
257만
L
빈혈, 골수기능부전, 출혈, 용혈성빈혈, Addison\'s disease, Rhumatic fever
Hb
12.0-16.0g/dl(여)
13.5-18.0g/dl(남)
7.7
L
빈혈, 임신, 간경화, 심한 출혈, Hyperthyroidsm
Hct
37-47%(여)
40-54%(남)
23.2
L
Anemia, leukemia, Cirrhosis, Hyperthyroidsm
MCV
80-96fL
90.1
정상
증가→악성빈혈, folicacid 결핍, 영양실조, 재생불량성빈혈, 골수종, 간질환, 고지혈증, 백혈병, 세포독성약물, 알코올중독
MCH
27-33pg
30
정상
증가→악성빈혈, 거대적아구성빈혈, 재생불량성빈혈
MCHC
32-36g/dl
33.3
정상
증가→악성빈혈, 거대적아구성빈혈, 재생불량성빈혈
4. Mediation
▶ Cozaar Tab ; 100mg (-> 1 * 7ⓣ)
° 효능 :
―고혈압 치료
―고혈압 치료요법으로서 고혈압을 가진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신질환
° 용법ㆍ용량 :
―고혈압
초회량과 유지량은 식사와 관계없이 1일 1회 50mg 이다. 치료 시작 후 3∼6주 후에 최대 혈압 강하 효과가 나타난다. 필요한 경우 1일 1회 100mg 까지 증량할 수 있다.
① 고령자
75세 이하의 노인에 있어 초회량 조절은 필요하지 않으며, 75세가 넘은 노인의 경우 초회 량은 1일 1회 25mg 용법을 권장한다.
② 신장애 환자
경도 신장애 환자 (i.e. creatinine clearance 20∼25ml/분) 에게 초회량 조절은 필요하지 않다.
중등도∼중도 신장애 환자들 (i.e. creatinine clearance〈 20ml/분) 과 투석 중인 환자들 의 초회량은 1일 1회 25mg 을 권장한다.
③ 혈관내 유효 혈액량 감소 환자
소수의 혈관내 유효 혈액량 감소(intravascular volume depletion) 환자 (예, 다량의 이뇨 제로 치료중인 환자들)의 초회량은 1일 1회 25mg 을 권장한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참조)
④ 간장애 환자
간장애 기왕력 환자들은 소량 투여를 고려해야 한다.
⑤ 소아
소아에 대한 안전성.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⑥ 이 약은 다른 고혈압 치료제와 병용 투여 할 수 있다.
―고혈압을 가진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신질환 치료
초회량은 1일 1회 50mg이다. 혈압에 따라 1일 1회 100mg까지 증량할 수 있다. 이 약은 인슐린, 상용되는 혈당강하제(예, sulfonylureas, glitazones, glucosidase 저해제)와 병용투여할 수 있다.
° 금기 : 임부, 이 약의 성분에 과민증 환자
° 주의 : 이뇨제 투여중인 환자, 엄격한 염분제한 환자, 혈액 투석중인 환자
° 부작용 : 구역, 설사, 소화불량, 변비, 구강건조, 빈혈, 기침, 인두염, 근육통, 불면, 두통, 무력, 피로, 홍조, 가려움, 발진, 발한, 야뇨증, 빈뇨
▶ Dilatrend Tab ; 12.5mg (-> 1 * 7ⓣ)
° 효능 :
―본태성 고혈압
―만성안정형 협심증
―울혈성 심부전
° 용법ㆍ용량 :
―고혈압
초기 이틀은 1일 1회, 1회 12.5mg씩 투여, 통상 1일 1회, 1회 25mg 투여, 최대 1일 50mg.
―협심증
초기이틀은 1일 2회, 1회 12.5mg씩 투여, 통상 1일 2회, 1회 25mg씩 투여, 최대 1일 100mg.
―울혈성심부전
초기 1일 2회, 1회 3.125mg씩 최소 2주 투여 후 환자의 증상에 따라 2배씩 증량. 최대 1 일 50mg
° 금기 : NYHA class lv 심기능대상부전 등 심근력 쇠약자, 천식, 만성 폐쇄성 패질환 등 기관지 관련성 호흡기질환, 이차성 고혈압, 급성 폐동맥색전증, 2-3도 방실차단, 동기능부전증후군, 동방차당 등 심장전도 흥분 또는 차단, 맥박이 아주 느린자, 갈 색 세포종, 대사성산증, 심인성 쇽, 심한 저혈압, 폐심증
° 주의 : 당뇨병, 베타차단제에 심한 과민증 기왕력자 또는 민감성감소 치료중, 베타차단제 에 의한 건건 기왕력 또는 가족력자, 저혈압과 허혈성심장
(2) 신체계측 : 신장 - 156cm, 체중 - 41.3kg
(3) 두부 : 변형이나 손상 없이 정상임.
(4) 눈 : 양측 안구는 손상 없이 위치가 정상정이며 분비물은 없음.
(5) 귀 : 양측 외이는 대칭적이며 위치가 정상적이며 분비물은 없음.
(6) 코 : 형태와 위치 모두 정상적이며 분비물은 없음.
(7) 구강 : 구강점막과 입술 모두 형태상 이상은 없지만 약간 건조하시다고 말함.
(8) 호흡기계 : 호흡수는 20회/분으로 리듬은 비교적 규칙적이며, 호흡시 흉곽의 움직임은 양측이 대칭적임.
3. 임상검사
° 자동화학검사(S)
정상치
검사결과
해석
임상적 의의
BUN
10-20mg/dl
111.06
H
신장질환, 요로폐쇄, 만성통풍,
악성종양, 갑상선기능항진증
CRE
0.5-1.5mg/dl
10.53
H
Nephritis, Chronic renal disease
ALT
0-35u/l
15
정상
증가→급성간염, 간질환,
심근경색, 폐쇄성 황달
AST
7-40u/l
25
정상
증가→급성간염, 심근경색증,
폐쇄성황달, 다발성골수종, 췌장염
Alb
3.5-5.0g/dl
3.39
L
혈액의 끈기가 없음, 복수가 참, 부종, 영양결핍,단백질 합성 장애
Na
135-145mEq/l
133
L
고지혈증, 고단백혈증, 고혈당, Addison병, 간질성신염, 저알도스테론증, 구토, 설사, 신증후군, 심부전, 간경변
Ca
8.5-10.5Eq/l
7.2
L
Vit D 결핍,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신장애, 신증후군, 저알부민혈증, 산혈증, 급성췌장염
K
3.5-5.0mEq/l
6.1
H
Addison병, 핍뇨, 무뇨, 조직파괴, 용혈
° 일반혈액검사(WB(E))
R-CBC(5종)
정상치
검사결과
해석
임상적 의의
WBC
4000-10000k/ul
5670
정상
증가→급성감염, Measles, Pertussis, 악성종양
감소→세균감염, 약이나 급성백혈병 등에 의한 골수기능저하
RBC
400만-500만/ul
257만
L
빈혈, 골수기능부전, 출혈, 용혈성빈혈, Addison\'s disease, Rhumatic fever
Hb
12.0-16.0g/dl(여)
13.5-18.0g/dl(남)
7.7
L
빈혈, 임신, 간경화, 심한 출혈, Hyperthyroidsm
Hct
37-47%(여)
40-54%(남)
23.2
L
Anemia, leukemia, Cirrhosis, Hyperthyroidsm
MCV
80-96fL
90.1
정상
증가→악성빈혈, folicacid 결핍, 영양실조, 재생불량성빈혈, 골수종, 간질환, 고지혈증, 백혈병, 세포독성약물, 알코올중독
MCH
27-33pg
30
정상
증가→악성빈혈, 거대적아구성빈혈, 재생불량성빈혈
MCHC
32-36g/dl
33.3
정상
증가→악성빈혈, 거대적아구성빈혈, 재생불량성빈혈
4. Mediation
▶ Cozaar Tab ; 100mg (-> 1 * 7ⓣ)
° 효능 :
―고혈압 치료
―고혈압 치료요법으로서 고혈압을 가진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신질환
° 용법ㆍ용량 :
―고혈압
초회량과 유지량은 식사와 관계없이 1일 1회 50mg 이다. 치료 시작 후 3∼6주 후에 최대 혈압 강하 효과가 나타난다. 필요한 경우 1일 1회 100mg 까지 증량할 수 있다.
① 고령자
75세 이하의 노인에 있어 초회량 조절은 필요하지 않으며, 75세가 넘은 노인의 경우 초회 량은 1일 1회 25mg 용법을 권장한다.
② 신장애 환자
경도 신장애 환자 (i.e. creatinine clearance 20∼25ml/분) 에게 초회량 조절은 필요하지 않다.
중등도∼중도 신장애 환자들 (i.e. creatinine clearance〈 20ml/분) 과 투석 중인 환자들 의 초회량은 1일 1회 25mg 을 권장한다.
③ 혈관내 유효 혈액량 감소 환자
소수의 혈관내 유효 혈액량 감소(intravascular volume depletion) 환자 (예, 다량의 이뇨 제로 치료중인 환자들)의 초회량은 1일 1회 25mg 을 권장한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참조)
④ 간장애 환자
간장애 기왕력 환자들은 소량 투여를 고려해야 한다.
⑤ 소아
소아에 대한 안전성.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⑥ 이 약은 다른 고혈압 치료제와 병용 투여 할 수 있다.
―고혈압을 가진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신질환 치료
초회량은 1일 1회 50mg이다. 혈압에 따라 1일 1회 100mg까지 증량할 수 있다. 이 약은 인슐린, 상용되는 혈당강하제(예, sulfonylureas, glitazones, glucosidase 저해제)와 병용투여할 수 있다.
° 금기 : 임부, 이 약의 성분에 과민증 환자
° 주의 : 이뇨제 투여중인 환자, 엄격한 염분제한 환자, 혈액 투석중인 환자
° 부작용 : 구역, 설사, 소화불량, 변비, 구강건조, 빈혈, 기침, 인두염, 근육통, 불면, 두통, 무력, 피로, 홍조, 가려움, 발진, 발한, 야뇨증, 빈뇨
▶ Dilatrend Tab ; 12.5mg (-> 1 * 7ⓣ)
° 효능 :
―본태성 고혈압
―만성안정형 협심증
―울혈성 심부전
° 용법ㆍ용량 :
―고혈압
초기 이틀은 1일 1회, 1회 12.5mg씩 투여, 통상 1일 1회, 1회 25mg 투여, 최대 1일 50mg.
―협심증
초기이틀은 1일 2회, 1회 12.5mg씩 투여, 통상 1일 2회, 1회 25mg씩 투여, 최대 1일 100mg.
―울혈성심부전
초기 1일 2회, 1회 3.125mg씩 최소 2주 투여 후 환자의 증상에 따라 2배씩 증량. 최대 1 일 50mg
° 금기 : NYHA class lv 심기능대상부전 등 심근력 쇠약자, 천식, 만성 폐쇄성 패질환 등 기관지 관련성 호흡기질환, 이차성 고혈압, 급성 폐동맥색전증, 2-3도 방실차단, 동기능부전증후군, 동방차당 등 심장전도 흥분 또는 차단, 맥박이 아주 느린자, 갈 색 세포종, 대사성산증, 심인성 쇽, 심한 저혈압, 폐심증
° 주의 : 당뇨병, 베타차단제에 심한 과민증 기왕력자 또는 민감성감소 치료중, 베타차단제 에 의한 건건 기왕력 또는 가족력자, 저혈압과 허혈성심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