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업 개요와 제공하는 제품/서비스의 기술
(1) 사업 개요
(2) 스타벅스 커피의 특징
(3) 상품구성 및 판매품목
2. 경영 방침
3. 스타벅스 코리아의 사업목표
STEP 2. 전략분석
1. SWOT분석
STEP 3. 스타벅스의 경쟁적 우위의 성공전략분석
1. 경쟁자(사) 분석 (할리스커피)
2. 경쟁적 우위의 기술
STEP 4. STP 분석
1. 시장 세분화 하기
2. 표적 시장의 결정
3. 제품 포지셔닝
STEP 5. 마케팅 전략
1. 제휴를 통한 전략
2. 적극적인 소비자 의견반영
STEP 6. 마케팅믹스 선택
1. 제품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STEP 6. 스타벅스에 관한 설문조사
1. 설문지 내용
2. 설문지 결과 분석
STEP 7. 마케팅 실행계획 및 예산
1. 마케팅 예상계획
STEP 8. 응급상황 발생시 대처방안 모색
STEP 9. 스타벅스 커피 연혁
(1) 사업 개요
(2) 스타벅스 커피의 특징
(3) 상품구성 및 판매품목
2. 경영 방침
3. 스타벅스 코리아의 사업목표
STEP 2. 전략분석
1. SWOT분석
STEP 3. 스타벅스의 경쟁적 우위의 성공전략분석
1. 경쟁자(사) 분석 (할리스커피)
2. 경쟁적 우위의 기술
STEP 4. STP 분석
1. 시장 세분화 하기
2. 표적 시장의 결정
3. 제품 포지셔닝
STEP 5. 마케팅 전략
1. 제휴를 통한 전략
2. 적극적인 소비자 의견반영
STEP 6. 마케팅믹스 선택
1. 제품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STEP 6. 스타벅스에 관한 설문조사
1. 설문지 내용
2. 설문지 결과 분석
STEP 7. 마케팅 실행계획 및 예산
1. 마케팅 예상계획
STEP 8. 응급상황 발생시 대처방안 모색
STEP 9. 스타벅스 커피 연혁
본문내용
들과 배리스타와의 강한 유대관계 유지는 불가능하게 되므로 복지혜택은 필수적인 것이었다. 의료보험혜택은 낮은 이직률 뿐 아니라 종업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일하게 하는 원동력이 됨으로써 스타벅스에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스타벅스 기업문화의 또 다른 특징으로 빈스톡 (Bean Stock) 제도의 도입을 들 수 있다. 빈스톡은 스타벅스 사내의 스톡옵션 계획을 뜻하는 말로 연구개발직이나 숙련된 기술자 뿐만이 아닌 모든 직원들에게 스톡옵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워드 슐츠는 스톡옵션의 제공을 통해 직원들이 주주의 지위와 장기적 보상체계를 갖도록 함에 따라 직원 개개인의 공헌이 회사의 성장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빈스톡은 직원들의 태도와 업무수행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다. 직원 개개인은 매출증가와 가치창출을 위해 다양하고 혁신적인 의견들을 제시함으로써 작업현장에서의 비합리적인 절차와 제도를 고칠 수 있었다. 또한 많은 직원들이 자신들을 경영에 참여시켜준 것에 대한 고마움과 회사에 대한 신뢰감의 표현으로 노동조합 탈퇴서를 제출했다.
▶ 브랜드 이미지
특정 브랜드를 소비하는 가장 큰 이유로 말할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나와 남을 구별짓기 위한 것이다. 로고가 찍힌 종이컵을 비롯한 스타벅스를 나타내주는 물품들은 고급 브랜드의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스타벅스 커피를 소비하는 사람과 소비하지 않는 사람을 구별시켜주는 좋은 상징이 되어준다.
▶ 오감 마케팅
스타벅스의 커피는 기존에 비해 가격이 비쌈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맛과 풍부한 향으로 소비자들에게 어필한다. 감각적인 제품의 진열과 다양한 장식품의 전시, 아늑한 느낌의 의자와 테이블로 인해 매장의 분위기는 이탈리아의 전통적인 커피 소매시장을 연상시키는 이국적인 느낌을 준다. 또한 은은하게 흐르는 재즈와 뮤지컬, 오페라 등의 음악이 고객을 편안하게 한다. 고객의 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각의 다섯 감각을 적절히 자극시키는 오감 마케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스타벅스는 고객의 모든 감각기관을 자극하면서 고객이 원하는 느낌을 파악하게 되고 전달하게 된다.
(2) WEAKNESSES
▶ 지나친 미국풍에 따른 거부감
과도한 미국식이 거부감을 줄 가능성이 있다. 스타벅스의 인테리어는 미국 내 매장의 인테리어와 거의 흡사하다. 또한 커피원두는 물론 종이컵, 냅킨, 빨대까지 매장 내에서 사용하는 거의 모든 물건들을 미국에서 수입한다. 이러한 점은 미국풍에 익숙하고 호의적인 고객에게는 어필하지만, 그렇지 않은 고객들에게는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할 수 있다.
▶ 비싼 가격
스타벅스는 3,000∼4,000원대의 고가 전략을 실시하고 있다. 많은 수의 스타벅스 고객들은 커피의 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아직 스타벅스에 익숙하지 않는 고객들에게는 이러한 가격대가 커피 한잔의 값으로는 지나친 것이라고 생각될 가능성이 있다.
▶ 일회용품 사용에 대한 비판
일회용품의 사용 때문에 환경오염을 등한시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스타벅스에서는 고객이 텀블러 컵을 준비하지 않는 한 모든 커피를 일회용 컵에 담는다. 특히 추출된 커피와 카페 아메리카노의 경우에는 고객이 뜨거운 종이컵을 들고 있는 것이 불편하지 않도록 두 개의 종이컵을 겹쳐서 커피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 때문에 버려지는 종이컵은 두 배로 된다. 일회용 컵 이외에도 일회용 플라스틱 컵과 뚜껑, 종이냅킨 등이 한번 쓴 후 쓰레기로 버려지고 있다.
▶ 급격한 스토어 수의 증가로 인한 기업사명 상실의 가능성
미국의 드라마 또는 코미디 프로그램에서는 \"어디 있는 스타벅스요? 우체국 앞? 우리집 옆의 골목? 아니면 새로 생긴 곳이요?\" \"그 사람들이 우리 집 거실에 방금 스타벅스를 오픈했어요.\" 와 같은 조크가 나온다. 스타벅스가 너무나 많은 스토어를 개점하는 것을 풍자한 것이다. 현재 스타벅스는 전 세계 20개국에 2,400여 군데의 스토어를 열었으며, 하루 평균 2개의 새로운 스토어를 오픈한다. 이로 인해 스타벅스가 중시하는 \'\'배리스타와 고객과의 유대관계를 통해 고객이 커피의 신비와 로맨스를 느끼도록 해야한다\'\'는 가치가 점차 퇴색해 갈 위험성이 있다.
우리나라의 스타벅스는 미국 스타벅스가 중시하는 \'\'고객과 배리스타 사이의 가족같은 친분관계 형성\'\'과 \'\'커피에 대한 감동 경험\'\' 등의 가치가 잘 실현되고 있지 않다. 현재 우리나라의 스타벅스는 \'\'좀 더 고급스러운 이미지와 편한한 느낌의 까페\'\' 정도로 인식되고 있을 뿐이다. 130여 개의 매장이 오픈하게 되는 2004년에는 스타벅스의 가치실현은 더욱 어려워 질 것이다.
STEP 3. 스타벅스의 경쟁적 우위의 성공전략분석
1. 경쟁자(사) 분석 (할리스커피)
할리스는 가장 널찍한 홀을 가진 커피 전문점이 아닐까 싶다. 커피 전문점이라는 타이틀을 붙이기가 미안할 정도로 내부가 넓고 인테리어가 잘 되어 있다. 30개의 테이블이 다양한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데 우선 입구 양쪽에 바 형태로 나란히 앉는 자리가 주욱 있다. 밖을 바라보고 앉아서 영화를 보고 나오는 사람들의 다양한 표정을 살피는 게 재미있다
홀의 왼쪽 구석자리에는 소파가 두세 테이블로 놓여 있다. 이 소파석은 할리스에서 가장 편안한 자리... 기대어 앉으면 거의 눕는 자세를 취하게 된다. 여자 손님들이나 연인들이 좋아해서 경쟁이 치열한 자리. 그리고 나머지는 나무 테이블과 의자...나무 의자도 편하다. 바닥에는 푹신한 카페트가 깔려 있다. 할리스는 우리나라에서 자체 개발한 국내 브랜드로 우리나라의 커피전문점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 1998년 강남1호점을 오픈했다.
이후에 현대백화점 맞은편의 압구정 로데오점, 양재점 등을 속속 오픈했고 지금은 20개가 넘는 매장을 가지고 있다. 아르바이트생을 포함한 직원 교육도 철저하게 시키는 편으로 항상 웃는 얼굴로 손님들에게 서비스 하고 있다. 카페모카,카페라떼,할리치노 (얼음을 곱게 갈아 만들었다. 럼바 할리치노,모카 할리치노 등의 종류가 있다.)가 이곳의 최고 인기메뉴.
따뜻한 음료는 컵의 사이즈가 구분되어 있고 시원한 음료는 레귤러사이즈 뿐이다. 테이크 아웃 DC는 되지 않는다. 초코렛, 샌드위치, 케
스타벅스 기업문화의 또 다른 특징으로 빈스톡 (Bean Stock) 제도의 도입을 들 수 있다. 빈스톡은 스타벅스 사내의 스톡옵션 계획을 뜻하는 말로 연구개발직이나 숙련된 기술자 뿐만이 아닌 모든 직원들에게 스톡옵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워드 슐츠는 스톡옵션의 제공을 통해 직원들이 주주의 지위와 장기적 보상체계를 갖도록 함에 따라 직원 개개인의 공헌이 회사의 성장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빈스톡은 직원들의 태도와 업무수행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다. 직원 개개인은 매출증가와 가치창출을 위해 다양하고 혁신적인 의견들을 제시함으로써 작업현장에서의 비합리적인 절차와 제도를 고칠 수 있었다. 또한 많은 직원들이 자신들을 경영에 참여시켜준 것에 대한 고마움과 회사에 대한 신뢰감의 표현으로 노동조합 탈퇴서를 제출했다.
▶ 브랜드 이미지
특정 브랜드를 소비하는 가장 큰 이유로 말할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나와 남을 구별짓기 위한 것이다. 로고가 찍힌 종이컵을 비롯한 스타벅스를 나타내주는 물품들은 고급 브랜드의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스타벅스 커피를 소비하는 사람과 소비하지 않는 사람을 구별시켜주는 좋은 상징이 되어준다.
▶ 오감 마케팅
스타벅스의 커피는 기존에 비해 가격이 비쌈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맛과 풍부한 향으로 소비자들에게 어필한다. 감각적인 제품의 진열과 다양한 장식품의 전시, 아늑한 느낌의 의자와 테이블로 인해 매장의 분위기는 이탈리아의 전통적인 커피 소매시장을 연상시키는 이국적인 느낌을 준다. 또한 은은하게 흐르는 재즈와 뮤지컬, 오페라 등의 음악이 고객을 편안하게 한다. 고객의 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각의 다섯 감각을 적절히 자극시키는 오감 마케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스타벅스는 고객의 모든 감각기관을 자극하면서 고객이 원하는 느낌을 파악하게 되고 전달하게 된다.
(2) WEAKNESSES
▶ 지나친 미국풍에 따른 거부감
과도한 미국식이 거부감을 줄 가능성이 있다. 스타벅스의 인테리어는 미국 내 매장의 인테리어와 거의 흡사하다. 또한 커피원두는 물론 종이컵, 냅킨, 빨대까지 매장 내에서 사용하는 거의 모든 물건들을 미국에서 수입한다. 이러한 점은 미국풍에 익숙하고 호의적인 고객에게는 어필하지만, 그렇지 않은 고객들에게는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할 수 있다.
▶ 비싼 가격
스타벅스는 3,000∼4,000원대의 고가 전략을 실시하고 있다. 많은 수의 스타벅스 고객들은 커피의 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아직 스타벅스에 익숙하지 않는 고객들에게는 이러한 가격대가 커피 한잔의 값으로는 지나친 것이라고 생각될 가능성이 있다.
▶ 일회용품 사용에 대한 비판
일회용품의 사용 때문에 환경오염을 등한시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스타벅스에서는 고객이 텀블러 컵을 준비하지 않는 한 모든 커피를 일회용 컵에 담는다. 특히 추출된 커피와 카페 아메리카노의 경우에는 고객이 뜨거운 종이컵을 들고 있는 것이 불편하지 않도록 두 개의 종이컵을 겹쳐서 커피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 때문에 버려지는 종이컵은 두 배로 된다. 일회용 컵 이외에도 일회용 플라스틱 컵과 뚜껑, 종이냅킨 등이 한번 쓴 후 쓰레기로 버려지고 있다.
▶ 급격한 스토어 수의 증가로 인한 기업사명 상실의 가능성
미국의 드라마 또는 코미디 프로그램에서는 \"어디 있는 스타벅스요? 우체국 앞? 우리집 옆의 골목? 아니면 새로 생긴 곳이요?\" \"그 사람들이 우리 집 거실에 방금 스타벅스를 오픈했어요.\" 와 같은 조크가 나온다. 스타벅스가 너무나 많은 스토어를 개점하는 것을 풍자한 것이다. 현재 스타벅스는 전 세계 20개국에 2,400여 군데의 스토어를 열었으며, 하루 평균 2개의 새로운 스토어를 오픈한다. 이로 인해 스타벅스가 중시하는 \'\'배리스타와 고객과의 유대관계를 통해 고객이 커피의 신비와 로맨스를 느끼도록 해야한다\'\'는 가치가 점차 퇴색해 갈 위험성이 있다.
우리나라의 스타벅스는 미국 스타벅스가 중시하는 \'\'고객과 배리스타 사이의 가족같은 친분관계 형성\'\'과 \'\'커피에 대한 감동 경험\'\' 등의 가치가 잘 실현되고 있지 않다. 현재 우리나라의 스타벅스는 \'\'좀 더 고급스러운 이미지와 편한한 느낌의 까페\'\' 정도로 인식되고 있을 뿐이다. 130여 개의 매장이 오픈하게 되는 2004년에는 스타벅스의 가치실현은 더욱 어려워 질 것이다.
STEP 3. 스타벅스의 경쟁적 우위의 성공전략분석
1. 경쟁자(사) 분석 (할리스커피)
할리스는 가장 널찍한 홀을 가진 커피 전문점이 아닐까 싶다. 커피 전문점이라는 타이틀을 붙이기가 미안할 정도로 내부가 넓고 인테리어가 잘 되어 있다. 30개의 테이블이 다양한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데 우선 입구 양쪽에 바 형태로 나란히 앉는 자리가 주욱 있다. 밖을 바라보고 앉아서 영화를 보고 나오는 사람들의 다양한 표정을 살피는 게 재미있다
홀의 왼쪽 구석자리에는 소파가 두세 테이블로 놓여 있다. 이 소파석은 할리스에서 가장 편안한 자리... 기대어 앉으면 거의 눕는 자세를 취하게 된다. 여자 손님들이나 연인들이 좋아해서 경쟁이 치열한 자리. 그리고 나머지는 나무 테이블과 의자...나무 의자도 편하다. 바닥에는 푹신한 카페트가 깔려 있다. 할리스는 우리나라에서 자체 개발한 국내 브랜드로 우리나라의 커피전문점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 1998년 강남1호점을 오픈했다.
이후에 현대백화점 맞은편의 압구정 로데오점, 양재점 등을 속속 오픈했고 지금은 20개가 넘는 매장을 가지고 있다. 아르바이트생을 포함한 직원 교육도 철저하게 시키는 편으로 항상 웃는 얼굴로 손님들에게 서비스 하고 있다. 카페모카,카페라떼,할리치노 (얼음을 곱게 갈아 만들었다. 럼바 할리치노,모카 할리치노 등의 종류가 있다.)가 이곳의 최고 인기메뉴.
따뜻한 음료는 컵의 사이즈가 구분되어 있고 시원한 음료는 레귤러사이즈 뿐이다. 테이크 아웃 DC는 되지 않는다. 초코렛, 샌드위치, 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