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항우울제(antidepressants)
2. 항불안제(antianxiety drugs)
참고문헌
2. 항불안제(antianxiety drugs)
참고문헌
본문내용
equan)
imipramine(Tofranil)
clomipramine(Gromin, Anafranil)
desipramine(Norpramin)
nortryptyline(pamelor)
protripyline(Vivactil)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SSRI)
fluoxetine(prozac)
fluvoxamine(Luvox)
paroxetine(Paxil)
sertraline(Zoloft)
escitalopram(Lexapro)
모노아민산화효소억제제(MAOI)
moclobemide(Aurolix)
phenelzine(Nardil)
tranylcypromine(Parnate)
기타
amoxapin(ascendin)
maprotiline(Ludiomil)
bupropion(Wellbutrin)
duloxetine(Cymbalta)
venlafaxine(Effexor)
nefazodone(serzoe)
mirtazapin(Remerion)
trazodone(Desyrel)
(1) 삼환계 항우울제(Tricydic Antidepressants, TCAs)
① 작용기전
노르에피네프린성 뉴런과 세르토닌성 뉴런의 시냅스 전 세포에서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의 재흡수 기전을 억제하여 시냅스에서의 신경전달물질의 양을 증가시킨다.
항우울제의 효과는 약물투여 2~3주 후에 나타난다.
② 적응증
주요우울장애 치료 (삼환계 계통의 항우울제는 경한 우울증에는 효과가 적다.)
재발성 주요우울장애의 예방
조현병, 치매 등의 정신질환에 의한 이차적 우울치료
양극성장애의 우울 치료
공황장애 예방
methyphenidate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ADHD)치료
아동, 청소년의 야뇨증의 치료
호전시기
표적증상
1주
· 수면장애
· 식욕장애
· 불안
2주
· 피로
· 빈약한 동기
· 신체적인 불편감
· 초조
· 운동지연
3주
· 불쾌한 정서
· 지속적인 주관적 우울감
(무욕감, 자존감 저하, 허무주의, 자책감, 죄의식 슬픔)
· 자살사고
악몽, 기민병 치료
③ 금기증
과민반응 환자
심근경색증
임산부의 경우 기형발생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임신 첫 3개월간은 투여 제한
전립선 비대증, 요정체, 녹내장 환자들에게는 신중히 투여할 것
④용법
대부분 항우울제들은 하루에 한번 투약하며, 투약으로 인한 진정이 심한 약은 보통 취침전에 투약하도록 한다.
⑤ 부작용
대부분 미미한 불편을 유발하고 장기적으로 나타나는 부작용은 거의 없고 치료효과에 대한 내성도 없다. 항우울제는 신체적 중독이나, 심리적 의존성 EH는 마약과 같은 도취감을 유발시키지 않아 남용 가능성이 없다.
약물은 반감기가 24시간 이상으로 긴 편이여서 안정사애만 도달하면 하루 한번, 밤에 복용하면 편하다.
수면에 방해될 경우 아침에 복용하거나 하루에 조금씩 나눠서 복용한다.
과다복용시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자살시도 시심각한 상태가 될수 있으므로 즉각적인 응급처치가 필요하다.
TCAs를 복용하는 부모의 경우 자녀들이 이약물을 과다 복용하게 되는 치명적인 사고가 일어날 수 있어 환자들의 건강교육과 가족구성원들을 파악하는일도 간호에 포함되어야 한다.
환자들에게 아동이 손이 닿지 않는곳에 꼭 보관하고 약물치료가 끝난후 남은 약은 꼭 처분하도록 경고한다.
⑥ 삼환계 항우울제의 부작용과 간호부작용
간호시 유의사항
1. 위장계 : 항콜린성 부작용
heart burn, 오심, 구토, 장운동정체, 변비, 장폐색, 요정체, 구강건조, 동공크기 증가, 체온상승, 홍조
약물을 취심시나 혹은 음식물과 함께 투여한다.
고섬유식이를 제공하고, 벼닙완화제를 사용할수 있다.
약용량을 줄이고 항콜린성 부작용이 더 적은 약으로 바꾼다.
내성이 점차 생기고 적절하게 수분을 섭취 할 것을 권한다.
무당제춤, 구강윤활제 등을 사용한다.
요정체시 bethanechol 25mg tid를 사용한다.
2. 혈액계 : 무과립구증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증, 인후염, 피로, 허약감
무과립구증은 급발하는 알레르기 반으응로서 약물시도 후 40일에서 70일 사이에 나타난다. 임상적으로 드물지만 나타나면 응급조치를 해야하는 위험한 부작용 중 하나이다.
약물을 즉시 중담 및 격리시키고 종전에 사용하던 약물은 절대 금지한다.
이후 다른 화학구조식을 가진 항우울제를 사용하고 조심스럽게 관찰한다.
3. 간장계
첫 사용 후 8주 안에 독성 간질환을 나타낸다. 복부 통증, 식욕저하, 고열, 미세한 일과성 황달, 간기능건사시 비정상 값을 나타낸다.
드문 과민반응으로서 복용 중인 약물을 끊고 다른 항우울제로 바꾼다.
4. 안과계
모양근의 이완으로 시력장애가 온다
첫 수주 동안에 내성이 생기면서 원거리 시력은 정상이다. 녹내장이 있는 환자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
5. 심혈관계
기립성 저혈압, 체위변경시 현기증
· 빈번하게 나타나며 약물투여후 30분에 혈압을 앉거나, 서서잰다. 체위 변경시 서서히 움직이도록 한다.
· 내성은 첫수주 내에 생기고 약물용량과 관계없고 계속 약용량을 치료적 수준까지 올릴 수 있다.
심계항진
관상동맥질환을 가진 호나자에게 협심증 증상이 증가할 수 있다.
EKG 변화
QRS, QT, 간격이 연장되며 심실 내 전도문제가 악화될 수 있으므로 t아세한 심장질환력을 조사하고 약물사용 전 40세 이상된 환자는 EKG를 필수적으로 찍는다.
갑작스런 사망
드물지만 연력이 50세 이상, 심장질환 가족력이 있는 환자, 전에 심장질환을 앓았거나, 최근에 심근 경색을 앓은 사람은 심장마비를 일으킬수 있다.
6. 신경계
진정, 정신활동의 저하, 집중장애
환자에게 기계조작을 하거나 정신적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면 환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한다. 내성이 서서히 생김을 환자에게 설명하고 약물 용량을 감량하여 투약할 수 있다.
근육위축, 피로, 신경예민, 두통, 현기증, 신경계통진환, 진전, 보행실조증, 감각이상 한계값이 낮아진다.
간질발작 시 약물사용은 적은 양에서 시작해서 점차 양을 증가시킨다.
정신병적 증상 : 불안, 우울, 불면, 악몽, 정싱병적반응, 망상, 환상 증가, 지남력 상실
드물게 나타나며 약뭉을 중단시킬 필요가 있다.
7. 피부과적 증상
반점상 구진, 점상출혈, 햇
imipramine(Tofranil)
clomipramine(Gromin, Anafranil)
desipramine(Norpramin)
nortryptyline(pamelor)
protripyline(Vivactil)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SSRI)
fluoxetine(prozac)
fluvoxamine(Luvox)
paroxetine(Paxil)
sertraline(Zoloft)
escitalopram(Lexapro)
모노아민산화효소억제제(MAOI)
moclobemide(Aurolix)
phenelzine(Nardil)
tranylcypromine(Parnate)
기타
amoxapin(ascendin)
maprotiline(Ludiomil)
bupropion(Wellbutrin)
duloxetine(Cymbalta)
venlafaxine(Effexor)
nefazodone(serzoe)
mirtazapin(Remerion)
trazodone(Desyrel)
(1) 삼환계 항우울제(Tricydic Antidepressants, TCAs)
① 작용기전
노르에피네프린성 뉴런과 세르토닌성 뉴런의 시냅스 전 세포에서 노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의 재흡수 기전을 억제하여 시냅스에서의 신경전달물질의 양을 증가시킨다.
항우울제의 효과는 약물투여 2~3주 후에 나타난다.
② 적응증
주요우울장애 치료 (삼환계 계통의 항우울제는 경한 우울증에는 효과가 적다.)
재발성 주요우울장애의 예방
조현병, 치매 등의 정신질환에 의한 이차적 우울치료
양극성장애의 우울 치료
공황장애 예방
methyphenidate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ADHD)치료
아동, 청소년의 야뇨증의 치료
호전시기
표적증상
1주
· 수면장애
· 식욕장애
· 불안
2주
· 피로
· 빈약한 동기
· 신체적인 불편감
· 초조
· 운동지연
3주
· 불쾌한 정서
· 지속적인 주관적 우울감
(무욕감, 자존감 저하, 허무주의, 자책감, 죄의식 슬픔)
· 자살사고
악몽, 기민병 치료
③ 금기증
과민반응 환자
심근경색증
임산부의 경우 기형발생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임신 첫 3개월간은 투여 제한
전립선 비대증, 요정체, 녹내장 환자들에게는 신중히 투여할 것
④용법
대부분 항우울제들은 하루에 한번 투약하며, 투약으로 인한 진정이 심한 약은 보통 취침전에 투약하도록 한다.
⑤ 부작용
대부분 미미한 불편을 유발하고 장기적으로 나타나는 부작용은 거의 없고 치료효과에 대한 내성도 없다. 항우울제는 신체적 중독이나, 심리적 의존성 EH는 마약과 같은 도취감을 유발시키지 않아 남용 가능성이 없다.
약물은 반감기가 24시간 이상으로 긴 편이여서 안정사애만 도달하면 하루 한번, 밤에 복용하면 편하다.
수면에 방해될 경우 아침에 복용하거나 하루에 조금씩 나눠서 복용한다.
과다복용시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자살시도 시심각한 상태가 될수 있으므로 즉각적인 응급처치가 필요하다.
TCAs를 복용하는 부모의 경우 자녀들이 이약물을 과다 복용하게 되는 치명적인 사고가 일어날 수 있어 환자들의 건강교육과 가족구성원들을 파악하는일도 간호에 포함되어야 한다.
환자들에게 아동이 손이 닿지 않는곳에 꼭 보관하고 약물치료가 끝난후 남은 약은 꼭 처분하도록 경고한다.
⑥ 삼환계 항우울제의 부작용과 간호부작용
간호시 유의사항
1. 위장계 : 항콜린성 부작용
heart burn, 오심, 구토, 장운동정체, 변비, 장폐색, 요정체, 구강건조, 동공크기 증가, 체온상승, 홍조
약물을 취심시나 혹은 음식물과 함께 투여한다.
고섬유식이를 제공하고, 벼닙완화제를 사용할수 있다.
약용량을 줄이고 항콜린성 부작용이 더 적은 약으로 바꾼다.
내성이 점차 생기고 적절하게 수분을 섭취 할 것을 권한다.
무당제춤, 구강윤활제 등을 사용한다.
요정체시 bethanechol 25mg tid를 사용한다.
2. 혈액계 : 무과립구증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증, 인후염, 피로, 허약감
무과립구증은 급발하는 알레르기 반으응로서 약물시도 후 40일에서 70일 사이에 나타난다. 임상적으로 드물지만 나타나면 응급조치를 해야하는 위험한 부작용 중 하나이다.
약물을 즉시 중담 및 격리시키고 종전에 사용하던 약물은 절대 금지한다.
이후 다른 화학구조식을 가진 항우울제를 사용하고 조심스럽게 관찰한다.
3. 간장계
첫 사용 후 8주 안에 독성 간질환을 나타낸다. 복부 통증, 식욕저하, 고열, 미세한 일과성 황달, 간기능건사시 비정상 값을 나타낸다.
드문 과민반응으로서 복용 중인 약물을 끊고 다른 항우울제로 바꾼다.
4. 안과계
모양근의 이완으로 시력장애가 온다
첫 수주 동안에 내성이 생기면서 원거리 시력은 정상이다. 녹내장이 있는 환자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
5. 심혈관계
기립성 저혈압, 체위변경시 현기증
· 빈번하게 나타나며 약물투여후 30분에 혈압을 앉거나, 서서잰다. 체위 변경시 서서히 움직이도록 한다.
· 내성은 첫수주 내에 생기고 약물용량과 관계없고 계속 약용량을 치료적 수준까지 올릴 수 있다.
심계항진
관상동맥질환을 가진 호나자에게 협심증 증상이 증가할 수 있다.
EKG 변화
QRS, QT, 간격이 연장되며 심실 내 전도문제가 악화될 수 있으므로 t아세한 심장질환력을 조사하고 약물사용 전 40세 이상된 환자는 EKG를 필수적으로 찍는다.
갑작스런 사망
드물지만 연력이 50세 이상, 심장질환 가족력이 있는 환자, 전에 심장질환을 앓았거나, 최근에 심근 경색을 앓은 사람은 심장마비를 일으킬수 있다.
6. 신경계
진정, 정신활동의 저하, 집중장애
환자에게 기계조작을 하거나 정신적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면 환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한다. 내성이 서서히 생김을 환자에게 설명하고 약물 용량을 감량하여 투약할 수 있다.
근육위축, 피로, 신경예민, 두통, 현기증, 신경계통진환, 진전, 보행실조증, 감각이상 한계값이 낮아진다.
간질발작 시 약물사용은 적은 양에서 시작해서 점차 양을 증가시킨다.
정신병적 증상 : 불안, 우울, 불면, 악몽, 정싱병적반응, 망상, 환상 증가, 지남력 상실
드물게 나타나며 약뭉을 중단시킬 필요가 있다.
7. 피부과적 증상
반점상 구진, 점상출혈, 햇
추천자료
항암약물치료의 부작용 및 간호중재
[치매간호][치매노인간호]치매간호(치매노인간호)의 이론적 개념, 치매간호(치매노인간호)의 ...
[노인간호] 노인의 약물관리 _ 노인의 약물사용 실태, 노인 약물치료의 특성, 노인에서의 약...
간경변, 간경변치료, 간경변간호, 간경변약물치료, 간경변식이관리, 간경변합병증관리, 문맥...
기관지천식(병태생리, 임상증상, 약물치료, 간호과정)
정신건강간호학) 생물학적 치료 A+(약물의 정의, 역사, 의의, 종류)
정신건강간호학) 약물치료(간호사의 역할, 간호)와 그 외 치료
생물학적치료, 약물치료, 전기경련치료, 광선치료, 수면박탈치료, 경두개골자기장자극치료, ...
정신약물치료, 항정신병약물, 항불안제, 기분안정제, 항파킨슨약물, 진정제, 수면제, 알츠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