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 중심이 되는가 하면, 러시아에서 역시 네오 나치 자유 민주당이 제 1당이 되기도 했다.
- 외국인 노동자, 난민, 이민자 등을 겨냥한 분노와 민족적 감정의 부활
○ 유럽 국가들에 있어 오늘날 파시즘의 출현은 외국인 이민 문제가 핵심
- 르펭의 부상으로 극우주의의 우려를 낳았던 프랑스는 이민자 증대와 경제 적 불안감이 네오 파시즘 운동을 촉진
○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
- 민족주의, 군국주의, 전체주의적 통제를 토대로 ‘범아랍주의’ 주창
○ 미국의 파시즘
- 수적으로는 소규모 집단이지만 90년대 이후 전국적 규모로 급속히 확대 되는 추세
- 무장된 시민군을 목적으로 유색인종에 대한 린치와 연방정부를 전복하려 는 극단적 형태의 테러를 자행 KKK단, 조물주의 세계교회, 스킨헤드족, 나치당, 신나치주의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4. 요약 및 결론
□ 파시즘의 개념
○ 제 1 차세계대전 직후인 1920년대부터 제 2차 세계대전 말기인 45년까지 세계 여러 국가들 사이에서 나타났던 독재적 정치·경제·사회사상·정치체 제의 총칭, 이탈리아의 무솔리니에 의해 처음 제창되어 체제가 확립됨
○ 일반적으로 이탈리아의 파시즘, 독일의 나치즘를 지칭하나, 대중사회이론이 나 마르크스주의적 입장은 현대사회의 모든 강권적·독재적·비민주적 성격을 띠는 정치운동을 파시즘으로 정의. 전쟁 이후에는 전체주의라는 용어 사용
□ 파시즘의 특징
① 반합리주의(antirationalism)적 이데올로기
- 인간이성에 기반한 보편주의와 합리성을 불신하고, 인간의 비합리적이고 감정적인 요인을 강조
② 민족성에 대한 인식과 민족국가를 강조
- 개인은 민족국가의 영광을 위하여 희생하며, 자신의 삶을 민족국가에 바 칠때 진정한 삶을 실현 (진정한 개인의 자유는 국가에 대한 봉사)
- 인간평등 원칙을 부인, 파시스트 사회는 인간 불평등을 수용하고, 더 나 아가 하나의 이상으로서 불평등을 확신하는 신념체계
- 개인의 자유 및 이해관계보다는 민족의 통합을 우선시한다는 면에서 반자 유주의적 성격
③ 엘리트에 의한 정치(government by elite)
- 소수 지배 엘리트에 의한 전적인 지배를 정당화
- 카리스마적인 지도자에게 완전히 복종하는 것이 파시즘의 특징
④ 생활양식으로서의 전체주의적 특성
- 단순한 정치제도보다는 내면화된 생활양식으로서 모든 인간관계를 강제로 규율하는 전체주의적 특색
- 정치적이든 아니든 파시즘은 요람에서 무덤까지 일평생 인간생활의 전국 면을 통제
⑤ 대중의 설득과 조작을 위한 광범위한 대중선전작업 수행
- 이성적 논의와 합리적 토론보다는 슬로건, 상징, 깃발, 국가, 민족 등 ‘정 치적 공식 및 정치적 신화’들을 동원한 대중조작 수행
- 민족의 힘, 통일성, 장엄함을 법적, 제도적으로 구체화하고, 규율과 희생의 필요성 및 민족주의와 전체주의 강조
- 국민 및 모든 인간관계에 있어서 폭력과 기만에 중점
⑥ 국제법과 국제질서의 반대
- 국제법과 국제질서에의 반대는 불평등·폭력·인종주의·제국주의 및 전쟁을 신념으로 하는 파시스트들의 논리적인 귀결
□ 결 론
▶ 20세기초 1,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등장한 파시즘은, 내부의 정치적,
사회 경제적 모순을 민족문제와 사회문제의 동시해결을 통해 자유주의와
공산주의 모두를 극복하려고 한 '제 3의 세력'의 하나로 볼 수 있음
▶ 파시스트가 실제 정권을 장악하는 과정이나 집권 뒤의 현실에서 볼 때
파시즘의 주장은 하나의 허구이자 신화였음
▶ 국가주의적, 전체주의적 유토피아로써 현실적인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 3의 대안적 호소력으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다른 모습과 이름으로
변신하여 부활할 가능성을 갖는 위험한 신념체계로 볼 수 있음
- 외국인 노동자, 난민, 이민자 등을 겨냥한 분노와 민족적 감정의 부활
○ 유럽 국가들에 있어 오늘날 파시즘의 출현은 외국인 이민 문제가 핵심
- 르펭의 부상으로 극우주의의 우려를 낳았던 프랑스는 이민자 증대와 경제 적 불안감이 네오 파시즘 운동을 촉진
○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
- 민족주의, 군국주의, 전체주의적 통제를 토대로 ‘범아랍주의’ 주창
○ 미국의 파시즘
- 수적으로는 소규모 집단이지만 90년대 이후 전국적 규모로 급속히 확대 되는 추세
- 무장된 시민군을 목적으로 유색인종에 대한 린치와 연방정부를 전복하려 는 극단적 형태의 테러를 자행 KKK단, 조물주의 세계교회, 스킨헤드족, 나치당, 신나치주의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4. 요약 및 결론
□ 파시즘의 개념
○ 제 1 차세계대전 직후인 1920년대부터 제 2차 세계대전 말기인 45년까지 세계 여러 국가들 사이에서 나타났던 독재적 정치·경제·사회사상·정치체 제의 총칭, 이탈리아의 무솔리니에 의해 처음 제창되어 체제가 확립됨
○ 일반적으로 이탈리아의 파시즘, 독일의 나치즘를 지칭하나, 대중사회이론이 나 마르크스주의적 입장은 현대사회의 모든 강권적·독재적·비민주적 성격을 띠는 정치운동을 파시즘으로 정의. 전쟁 이후에는 전체주의라는 용어 사용
□ 파시즘의 특징
① 반합리주의(antirationalism)적 이데올로기
- 인간이성에 기반한 보편주의와 합리성을 불신하고, 인간의 비합리적이고 감정적인 요인을 강조
② 민족성에 대한 인식과 민족국가를 강조
- 개인은 민족국가의 영광을 위하여 희생하며, 자신의 삶을 민족국가에 바 칠때 진정한 삶을 실현 (진정한 개인의 자유는 국가에 대한 봉사)
- 인간평등 원칙을 부인, 파시스트 사회는 인간 불평등을 수용하고, 더 나 아가 하나의 이상으로서 불평등을 확신하는 신념체계
- 개인의 자유 및 이해관계보다는 민족의 통합을 우선시한다는 면에서 반자 유주의적 성격
③ 엘리트에 의한 정치(government by elite)
- 소수 지배 엘리트에 의한 전적인 지배를 정당화
- 카리스마적인 지도자에게 완전히 복종하는 것이 파시즘의 특징
④ 생활양식으로서의 전체주의적 특성
- 단순한 정치제도보다는 내면화된 생활양식으로서 모든 인간관계를 강제로 규율하는 전체주의적 특색
- 정치적이든 아니든 파시즘은 요람에서 무덤까지 일평생 인간생활의 전국 면을 통제
⑤ 대중의 설득과 조작을 위한 광범위한 대중선전작업 수행
- 이성적 논의와 합리적 토론보다는 슬로건, 상징, 깃발, 국가, 민족 등 ‘정 치적 공식 및 정치적 신화’들을 동원한 대중조작 수행
- 민족의 힘, 통일성, 장엄함을 법적, 제도적으로 구체화하고, 규율과 희생의 필요성 및 민족주의와 전체주의 강조
- 국민 및 모든 인간관계에 있어서 폭력과 기만에 중점
⑥ 국제법과 국제질서의 반대
- 국제법과 국제질서에의 반대는 불평등·폭력·인종주의·제국주의 및 전쟁을 신념으로 하는 파시스트들의 논리적인 귀결
□ 결 론
▶ 20세기초 1,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등장한 파시즘은, 내부의 정치적,
사회 경제적 모순을 민족문제와 사회문제의 동시해결을 통해 자유주의와
공산주의 모두를 극복하려고 한 '제 3의 세력'의 하나로 볼 수 있음
▶ 파시스트가 실제 정권을 장악하는 과정이나 집권 뒤의 현실에서 볼 때
파시즘의 주장은 하나의 허구이자 신화였음
▶ 국가주의적, 전체주의적 유토피아로써 현실적인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 3의 대안적 호소력으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다른 모습과 이름으로
변신하여 부활할 가능성을 갖는 위험한 신념체계로 볼 수 있음
키워드
추천자료
이데올로기의 유형
'나치즘'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한국근현대사에서의 국가주의와 자유주의
냉전의 기원에 대한 전통주의, 수정주의, 탈수정주의적 관점에서의 논의와 냉전종식의 요인 ...
서독의 68운동과 문화혁명 및 프랑스 5월에 나타난 68혁명
스포츠를 통해 본 한국의 민족주의
68운동, 촛불시위, 그리고 한국사회의 미래
주요 이데올로기들의 내용 및 특징
인공 구조물 (사방 2km의 인공 구조축대)를 기반으로 50명이 거주하는 질서잡힌 공동체는 국...
일제식민 통치 정책의 변화와 수탈체제의 강화 (민족의 독립운동, 근대사회의 전개)
테마로 읽는 세계사산책 기말 2010
통일 독일 이후의 문화적 갈등
오스트리아 조합주의와 사례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