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교수방법론_파블로프, 왓슨, 스키너, 반두라 등이 영유아 교수에 시사하는 바를 논하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유아교수방법론_파블로프, 왓슨, 스키너, 반두라 등이 영유아 교수에 시사하는 바를 논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건 하에서 쥐의 행동을 관찰한 결과 쥐는 간식을 얻기 위하여 계속적으로 지렛대를 누르는 행동을 지속적으로 나타냈다.
스키너는 이러한 실험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하여 ‘강화’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강화란 행동에 대한 벌 혹은 상에 의해서 행동에 대한 재현 가능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스키너는 강화에는 정적 강화, 부적 강화, 연속적 강화, 고정 간격 강화 등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고 설명한다.
스키너의 이론을 영유아의 교수에 적용하면, 보상과 처벌이 영유아의 교육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영유아는 자신에게 주어진 자극에 대한 반응을 보이며 이러한 반응의 결과 이루어지는 보상과 벌로 자신의 행동들을 수정해 나갈 수 있다.
4. 반두라
반두라는 아동의 교육이 상과 벌 등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아동 본인 스스로의 관찰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소꿉놀이를 하는 아이들은 부모의 행동을 금방 재현해낼 수 있다. 이러한 주장을 영유아의 교수에 적용한다면 영유아는 모든 것을 빠른 속도로 학습하고 모방할 수 있으므로 영유아에게 행동의 모범을 보이는 것이 영유아의 바른 성장을 이끌 수 있다.
결론
이렇듯 파블로프, 왓슨, 스키너, 반두라 등의 학자들의 이론에 따라 영유아 교수에 시사하는 바가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논리를 종합할 때 영유아의 교수를 위해서는 영유아의 내면적 요소에 의한 발달뿐만 아니라 외부적 요소에 의한 발달도 함께 고려해야함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김만형. (2014).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기독교 교육. 신학정론, 32(1), 304-338.
  • 가격3,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7.05.31
  • 저작시기201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68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