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텔 INTEL 기업소개
2. 인텔 INTEL 성공요인
3. 인텔 CPU의 변천사와 발전과정
4. 인텔 SWOT분석
5. IBM vs 인텔 비교분석
6. 인텔의 경영전략
(1) 주요 사업전략
(2) 가격전략
7. 인텔 마케팅전략
(1) 브랜드마케팅
(2) 프로모션 마케팅
8. 인텔 향후전망과 나의의견
2. 인텔 INTEL 성공요인
3. 인텔 CPU의 변천사와 발전과정
4. 인텔 SWOT분석
5. IBM vs 인텔 비교분석
6. 인텔의 경영전략
(1) 주요 사업전략
(2) 가격전략
7. 인텔 마케팅전략
(1) 브랜드마케팅
(2) 프로모션 마케팅
8. 인텔 향후전망과 나의의견
본문내용
히 도태되도록 하는 전략을 사용해 왔다. 이 전략은 최근에도 그대로 사용되어 샌디브릿지 제품군의 출시가는 기존 제품인 린필드 제품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설정되었다.
만약 PC 환경을 구축하는데 기본 시리즈와 새로운 제품 시리즈가 비용 면에서 차이가 없다면, 소비자는 새로운 제품을 선택할 것이다. 그리고 인텔의 이러한 전략은 충분히 효과를 보아 샌디브릿지는 기존의 린필드 시장을 빠르게 흡수하고 시장 전체를 장악하였다. 즉, 인텔은 신제품의 가격을 기존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정책을 통해 자사의 새 제품으로 빠르게 변화할 수 있도록 전략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7. 인텔 마케팅전략
(1) 브랜드마케팅
\"인텔은 직접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선택받는 제품을 만들어내는 회사가 아닙니다.
그러면서도 소비자들은 인텔 인사이드 스티커가 붙어 있는 컴퓨터를 사면 서 최신 기종, 첨단 기술 제품을 샀다는 데 뿌듯해합니다 .\"
단순한 스티커 한 장이 컴퓨터 구매의 핵심 요소로 떠오른 것이라는 얘기다. 이후 인텔은 컴퓨터 칩 생산자일 뿐만 아니라 브랜드에 투자하는 기업으로 탈바꿈한 것이다. `인텔 인사이드` 프로그램으로 시작한 인텔의 브랜드 마케팅은 회사의 브랜드 가치를 311억달러로 올려놓았다.
`인그리디언트 브랜딩(ingredient branding).`
소비재 외장에 내장 부품의 브랜드를 표기함으로써 소비재 성능과 가치를 높이 는 것. 그러면서 소비자의 관점에서 산업재나 중간재 브랜드를 홍보하는 전략이다. 맥도널드 부사장은 \"컴퓨터는 첨단 기술의 복합으로 핵심 기술을 갖고 있어도 회사를 알리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며 \"인텔은 비록 제품에 숨겨져 있지만 최고의 기술을 소비자에게 알려야겠다고 생각한 것이 이 프로그램의 시작\"이라고 말했다. `최고의 상품은 최고의 기술과 연관돼 있고 그것이 바로 인텔`이라는 인식을 소비자들에게 알리기 위한 것이었다는 얘기다. 그는 \"91년 이전의 인텔 사업은 컴퓨터 만드는 사람들이 대상이었지만 그 이후 에는 소비자 전체가 인텔 사업의 대상이 됐다\"는 말로 이를 강조했다. 단지 컴퓨터 제조업체에 칩을 공급하는 회사로만 인식됐던 인텔이 이 프로그램 을 가동하면서 소비자를 생각하고 소비자 관점에서 사업을 하는 회사가 되는 시점이 됐다는 말이다. 복잡한 컴퓨터 기술이 인텔로 인해 친근하게 소비자들에게 전달됐다고 볼 수 있으며, 컴퓨터라고 하면 인텔 인사이드가 있어야 그것이 최고의 컴퓨터라는 것을 알 리면서 결국 스스로 컴퓨터 수요를 창출하였다. 소비자들이 인텔 인사이드 로고가 붙은 컴퓨터를 갖고 싶게끔 해 구매력을 높였다 는 것이다.
인텔 인사이드 프로그램은 91년 4월 IBM 컴퓨터에 도입하면서 시작됐다. 이후 2003년 인텔 센추리노까지 모두 15개의 스티커가 제작돼 각종 컴퓨터에 부착됐다. 한 해 부착되는 인텔 로고 스티커를 연결한다면 싱가포르와 홍콩간 거리가 된다고 한다.
각종 노트북 등 컴퓨터 방송광고 중간에 들을 수 있는 `딩동딩동~`의 인텔 인 사이드 시그널은 95년에 시작한 것이다. 인텔측은 전 세계에서 5분마다 인텔의 5음 시그널 뮤직이 울려 퍼진다고 말했다. 컴퓨터 이용자라면 누구나 `딩동댕동~`의 시그널과 함께 흘러나오는 \"Intel In side\"라며 약간 혀가 구부러진 영어 원음을 쉽게 떠올릴 것이다.
인텔은 이 프로그램 가동을 위해 인텔 프로세서를 장착한 컴퓨터 제조업체가 광고를 할 때 인텔의 트레이드 마크와 시스템에 부착된 로고를 사용하면 그 비용 일부를 보상해줬다.
13년 간 지속된 인텔 인사이드 프로그램은 인텔이 최첨단 기업이라는 이미지를 심어줬다. 한 번 각인된 이 같은 이미지는 이후 인텔이 디지털 홈 분야와 차세대 무선통신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할 때마다 무형의 자산이 됐다.
(2) 프로모션 마케팅
1) 캠페인 자체의 성과
조사 결과에 의하면 컴퓨터 이용자들은 인텔을 경쟁사(AMD, Cyrix)보다 기술력이 앞선 기업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한다. 미국의 조사 결과에 따라면 인텔은 품질 및 호환 측면에서 가장 강력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또한 조사 대상자 중의 80%가 넘는 사람들이 PC 광고에서 ‘Intel Inside’ 로고를 본 적이 있고 50% 이상은 진열대나 제품문구 PC 등에서 보았다고 응답했다. 그리고 로고를 본 사람들은 대부분 로고가 긍정적인 연상으로 연결되었다고 응답했으며, 50% 이상이 PC 선택 시 인텔 로고가 있는가를 찾는다고 응답했다고 한다.
2) 캠페인의 인텔 기여도
1991년부터 시작된 Intel Inside 캠페인은 현재까지도 지속적으로 운용되고 있다. 그 결과, 90% 이상의 인지율과 80%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게 되었다. 그리고, Intel Inside를 통해서 단지 인텔이 만든 컴퓨터 칩이 PC 안에 들어있다는 것을 알린 것이 아니라 Intel Inside가 적혀있는 PC는 ‘성능이 우수하다’, ‘믿을 수 있다’라는 상징적인 의미가 되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컴퓨터 구매 시 다른 회사의 컴퓨터 칩이 들어있는 것이 아니라 인텔의 컴퓨터 칩이 들어있는 컴퓨터를 구매함으로 인해서 안심할 수 있게 되었으며 고가 제품 구매시의 리스크를 없앨 수 있었다. 즉, 인텔이라는 브랜드 자체로 경쟁사들과 차별성을 갖게 되었을 뿐 아니라 경쟁사의 진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되었다.
이렇게 해서 결국에는 Intel Inside 마크가 붙어있는 컴퓨터는 다른 컴퓨터에 비해서 약 10% 정도 높게 가격을 올려 받을 수 있게 되어 프리미엄 가격 가치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렇듯 Intel Inside 로고는 단순하게 컴퓨터 안에 인텔에서 만든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들어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제품의 기술력과 성능을 세계적으로 공인받는 일종의 ‘인증서’가 된 것이다.
3) 인텔을 배우자
이렇게 성공적인 결과를 도출한 인텔의 캠페인은 단지 인텔이라는 기업에서만 수행되지 않았다. 인텔의 성공으로 인해서 산업재에서도 브랜드 마케팅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형성되기 시작했고 인텔과 비슷한 방식의 캠페인을 수행하는 업체들도 생겨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전략을 철저하게 따라간 대표적인 기업이 바로 미국 휴대폰 칩 제조업체인 ‘
만약 PC 환경을 구축하는데 기본 시리즈와 새로운 제품 시리즈가 비용 면에서 차이가 없다면, 소비자는 새로운 제품을 선택할 것이다. 그리고 인텔의 이러한 전략은 충분히 효과를 보아 샌디브릿지는 기존의 린필드 시장을 빠르게 흡수하고 시장 전체를 장악하였다. 즉, 인텔은 신제품의 가격을 기존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정책을 통해 자사의 새 제품으로 빠르게 변화할 수 있도록 전략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7. 인텔 마케팅전략
(1) 브랜드마케팅
\"인텔은 직접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선택받는 제품을 만들어내는 회사가 아닙니다.
그러면서도 소비자들은 인텔 인사이드 스티커가 붙어 있는 컴퓨터를 사면 서 최신 기종, 첨단 기술 제품을 샀다는 데 뿌듯해합니다 .\"
단순한 스티커 한 장이 컴퓨터 구매의 핵심 요소로 떠오른 것이라는 얘기다. 이후 인텔은 컴퓨터 칩 생산자일 뿐만 아니라 브랜드에 투자하는 기업으로 탈바꿈한 것이다. `인텔 인사이드` 프로그램으로 시작한 인텔의 브랜드 마케팅은 회사의 브랜드 가치를 311억달러로 올려놓았다.
`인그리디언트 브랜딩(ingredient branding).`
소비재 외장에 내장 부품의 브랜드를 표기함으로써 소비재 성능과 가치를 높이 는 것. 그러면서 소비자의 관점에서 산업재나 중간재 브랜드를 홍보하는 전략이다. 맥도널드 부사장은 \"컴퓨터는 첨단 기술의 복합으로 핵심 기술을 갖고 있어도 회사를 알리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며 \"인텔은 비록 제품에 숨겨져 있지만 최고의 기술을 소비자에게 알려야겠다고 생각한 것이 이 프로그램의 시작\"이라고 말했다. `최고의 상품은 최고의 기술과 연관돼 있고 그것이 바로 인텔`이라는 인식을 소비자들에게 알리기 위한 것이었다는 얘기다. 그는 \"91년 이전의 인텔 사업은 컴퓨터 만드는 사람들이 대상이었지만 그 이후 에는 소비자 전체가 인텔 사업의 대상이 됐다\"는 말로 이를 강조했다. 단지 컴퓨터 제조업체에 칩을 공급하는 회사로만 인식됐던 인텔이 이 프로그램 을 가동하면서 소비자를 생각하고 소비자 관점에서 사업을 하는 회사가 되는 시점이 됐다는 말이다. 복잡한 컴퓨터 기술이 인텔로 인해 친근하게 소비자들에게 전달됐다고 볼 수 있으며, 컴퓨터라고 하면 인텔 인사이드가 있어야 그것이 최고의 컴퓨터라는 것을 알 리면서 결국 스스로 컴퓨터 수요를 창출하였다. 소비자들이 인텔 인사이드 로고가 붙은 컴퓨터를 갖고 싶게끔 해 구매력을 높였다 는 것이다.
인텔 인사이드 프로그램은 91년 4월 IBM 컴퓨터에 도입하면서 시작됐다. 이후 2003년 인텔 센추리노까지 모두 15개의 스티커가 제작돼 각종 컴퓨터에 부착됐다. 한 해 부착되는 인텔 로고 스티커를 연결한다면 싱가포르와 홍콩간 거리가 된다고 한다.
각종 노트북 등 컴퓨터 방송광고 중간에 들을 수 있는 `딩동딩동~`의 인텔 인 사이드 시그널은 95년에 시작한 것이다. 인텔측은 전 세계에서 5분마다 인텔의 5음 시그널 뮤직이 울려 퍼진다고 말했다. 컴퓨터 이용자라면 누구나 `딩동댕동~`의 시그널과 함께 흘러나오는 \"Intel In side\"라며 약간 혀가 구부러진 영어 원음을 쉽게 떠올릴 것이다.
인텔은 이 프로그램 가동을 위해 인텔 프로세서를 장착한 컴퓨터 제조업체가 광고를 할 때 인텔의 트레이드 마크와 시스템에 부착된 로고를 사용하면 그 비용 일부를 보상해줬다.
13년 간 지속된 인텔 인사이드 프로그램은 인텔이 최첨단 기업이라는 이미지를 심어줬다. 한 번 각인된 이 같은 이미지는 이후 인텔이 디지털 홈 분야와 차세대 무선통신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할 때마다 무형의 자산이 됐다.
(2) 프로모션 마케팅
1) 캠페인 자체의 성과
조사 결과에 의하면 컴퓨터 이용자들은 인텔을 경쟁사(AMD, Cyrix)보다 기술력이 앞선 기업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한다. 미국의 조사 결과에 따라면 인텔은 품질 및 호환 측면에서 가장 강력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또한 조사 대상자 중의 80%가 넘는 사람들이 PC 광고에서 ‘Intel Inside’ 로고를 본 적이 있고 50% 이상은 진열대나 제품문구 PC 등에서 보았다고 응답했다. 그리고 로고를 본 사람들은 대부분 로고가 긍정적인 연상으로 연결되었다고 응답했으며, 50% 이상이 PC 선택 시 인텔 로고가 있는가를 찾는다고 응답했다고 한다.
2) 캠페인의 인텔 기여도
1991년부터 시작된 Intel Inside 캠페인은 현재까지도 지속적으로 운용되고 있다. 그 결과, 90% 이상의 인지율과 80%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게 되었다. 그리고, Intel Inside를 통해서 단지 인텔이 만든 컴퓨터 칩이 PC 안에 들어있다는 것을 알린 것이 아니라 Intel Inside가 적혀있는 PC는 ‘성능이 우수하다’, ‘믿을 수 있다’라는 상징적인 의미가 되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컴퓨터 구매 시 다른 회사의 컴퓨터 칩이 들어있는 것이 아니라 인텔의 컴퓨터 칩이 들어있는 컴퓨터를 구매함으로 인해서 안심할 수 있게 되었으며 고가 제품 구매시의 리스크를 없앨 수 있었다. 즉, 인텔이라는 브랜드 자체로 경쟁사들과 차별성을 갖게 되었을 뿐 아니라 경쟁사의 진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되었다.
이렇게 해서 결국에는 Intel Inside 마크가 붙어있는 컴퓨터는 다른 컴퓨터에 비해서 약 10% 정도 높게 가격을 올려 받을 수 있게 되어 프리미엄 가격 가치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렇듯 Intel Inside 로고는 단순하게 컴퓨터 안에 인텔에서 만든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들어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제품의 기술력과 성능을 세계적으로 공인받는 일종의 ‘인증서’가 된 것이다.
3) 인텔을 배우자
이렇게 성공적인 결과를 도출한 인텔의 캠페인은 단지 인텔이라는 기업에서만 수행되지 않았다. 인텔의 성공으로 인해서 산업재에서도 브랜드 마케팅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형성되기 시작했고 인텔과 비슷한 방식의 캠페인을 수행하는 업체들도 생겨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전략을 철저하게 따라간 대표적인 기업이 바로 미국 휴대폰 칩 제조업체인 ‘
추천자료
인터넷상의 상표권 침해 - 인텔과 디시인사이드간의 상표권 논쟁
디마케팅(Demarketing)
캐논(CANON)의 글로벌전략
인텔기업의 분석과 고찰-기업의 분석과 이해
[유비쿼터스] RFID-USN 기술의 사회적 수용
기업의 디자인 경영 전략 발전의 이해 & 성공사례 분석
[컴퓨터의이해공통]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발전과정과 컴퓨터산업에 기여한 점 및 마이크로프로...
[인텔][Intel][인텔 역사][인텔 의의][인텔 P2P사업][인텔 펜티엄][인텔 전략]인텔(Intel)의 ...
미국 컴퓨터 기업(HP, 휴렛팩커드), 미국 기업(제록스), 미국 자동차 기업(포드), 미국 반도...
INTEL의 공급사슬관리 - SCM 필요성
마케팅 전략 -불황 탈출을 위한 6가지 마케팅 전략
<인텔(Intel)의 경영전략> 내부환경, PC산업의 주요 발전과정, 외부환경, 위협요인, 방향제시...
미국 사무의료 기업(3M, 쓰리엠), 미국 청바지 기업(리바이스), 미국 기업(코카콜라), 미국 ...
미국 기업 야후(Yahoo), 미국 기업 휴렛팩커드(HP), 미국 기업 MS(마이크로소프트, Micro Sof...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