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해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단계
2단계 역사적 정황
3단계 단어 연구
4단계 장르연구
5단계 문학적 정황
6단계- 정경적 정황
7단계- 메시지
8단계- 적용 및 개요
참고문헌

본문내용

거부함으로써 결국 바벨론에 의해 예루살렘이 포위를 당하였다. 여호야김은 이 포위가 끝나기 전에 사망하였으며 그의 아들 여호야긴이 유다의 왕족, 지배계층, 장인들과 더불어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갔다. 느부갓네살은 요시야의 다른 아들인 맛디야를 왕위에 앉혔으며, 그의 이름을 시드기야 (주전598-586년)로 바꾸었다. 588년에 바벨론인들은 다시 예루살렘을 포위했으며, 일년 반 후에 그 성전과 도시를 멸망시켰다. 이제 유다는 바벨론의 한 지방이 되었으며, 느부갓네살이 임명한 그달리야의 통치하에 놓이게 되었다.
예레미야는 유다가 주변 국가들의 제국주의적인 야망의 부활과 격량 속에서 자신의 독립을 유지하려고 애쓰는 그 격동의 시절을 목도하였다. 예레미야서는 국수주의, 편집증, 친바벨론계와 친이집트계의 갈등 유다의 강경파와 온건파 사이의 투쟁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이러한 모든 것들 속에서 예레미야는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도록 부름을 받았다. 그는 우선 만약 이 나라가 회개를 하면 하나님께서 축복을 주실 것임을 선포하였다. 그리고 나중에 하나님의 심판이 더 이상 돌이켜 질 수 없는 것이 되었을 때에는 이 나라가 다시 회복 될 것임을 증거했다. 트렘퍼 롱맨, 레이몬드 딜러드, 『최신 구약 개론』, 429p.
2) 소결론
예레미야가 선지자로 사역 하는 날 동안 요시야 이래 나머지 왕들은 하나님 앞에 불순종 한 것을 보면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말씀과 왕국의 현실과의 차이가 얼마나 심했을지 얼마든지 상상해 볼 수 있다. 예레미야가 소명을 받은 시기는 요시야가 이미 종교개혁을 단행한지 역대하 34:3.
5년이 흐른 뒤였다. 예레미야 2:2.
하나님이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고 모든 우상을 부수었던 부왕과는 달리 후대의 왕들은 제국의 눈치를 보고 배반을 일삼으며, 하나님 앞에 불순종했던 것을 예레미야는 계속해서 보고 있었다.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전한 선지자를 유다의 왕 시드기야는 순종하지 않고 도리어 예레미야를 구덩이에 가두고 핍박하기에 이른다. 도리어 바벨론의 느부갓네살 왕이 예레미야를 석방해준다.
이런 시대를 살았던 예레미야는 사역 초기의 왕이었던 요시야 때와, 요시야의 증조부였던 히스기야의 시대의 순종의 시대와 다른 왕들의 불순종한 시대를 통해 “순종과 불순종”의 차이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하나님의 말씀으로 또한 역사의 증거로 철저히 알고 있었을 것으로 확신한다.
2. 저작권 (반 페이지)
예레미야의 저작권은 예레미야서의 시작부터 발견 할 수 있다. “렘1:1 베냐민 땅 아나돗의 제사장들 중 힐기야의 아들 예레미야의 말이니라” 예레미야 1:1
일반적으로 각각의 선지서들은 저마다의 메시지를 가지고 있지만 그 기록자가 대개 비밀로 남거나 실질적으로 익명으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예레미야서에서 선지자 자신의 모습은 진정한 의미에서 한 인간의 인격으로 드러나고 있다. 『WBC 성경주석 26,예레미야 상, 38p.
예레미야서에서는 알기 쉬운 배열순서나 구조를 보여주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일각에서는 예레미야의 저작권에 의문부호를 갖기도 한다. 역사 비평학계에서는 역사 연대기와 예레미야서의 기록 순서가 맞지 않는다는 것을 그 예로 들고 있다. 하지만 예레미야는 “책들의 책”으로 단위별로 모아놓은 구조로 볼 수 있다. 이런 모음집의 형식으로 기록 된 예레미야서는 저자 자신 스스로가 상징적인 행위들을 실연했을 뿐 아니라 또한 이 물질적인 세계를 넘어선 이상을 목도하기도 했다. 쿰란의 제 4 동굴에서는 세 개의 예레미야서 사본의 단편들이 발견 되었다. 이 중 두 개는(4QJera, 4Qjerc) MT 아주 유사한 본문을 반영하고 있으며 MT 본문에 대한 가장 이른 시기의 증거를 제공해 주고 있다. 그러나 4QJerb은 비록 매우 단편적이기는 하지만 칠십인경의 번역자들이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히브리어 본문과 대체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특히 4QJerb는 칠십 인경으로부터 재구성해 낸 원본이 MT와 차이가 나는 두 가지 중요한 점, 즉 더 짧은 형태의 본문을 갖고 있다는 점과 본문의 배열 순서가 차이가 난다는 점 등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예레미야서의 확대 본문이 예레미야나 바룩으로부터 기원한 부분들을 담고 있는 것임을 보여주는 분명한 단서들이 있다. 트렘퍼 롱맨, 레이몬드 딜러드, 『최신 구약 개론』, 432-437p.
예레미야는 명시선집들의 모음이다. 일부는 뚜렷이 밝혀지나 일부는 중복 되며 다소 난해한 채 남아 있다. 예레미야서의 자료 수집 형성에 대해서는 조금도 일치한 의견이 없다. 다만 이 선지서는 “그 뒤에 복잡하고 긴 전승 역사를 가진 예언 말과 다른 자료들의 수집”으로 형성 된 것 같으며 “이 사실은 주의 깊게 연구 할수록 더 분명해진다.” john Bright, et, (Garden City: Doubleday, 1965), LⅤⅡ. 재인용.
3단계 단어 연구
( 용례 조사는 단어- 사전 연구에 포함 되어 통합했습니다.)
김희석 교수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단어 연구란 무엇인지에 대해 먼저 정의를 내리고 이야기를 전개하자. 단어 연구란 본문에 나온 단어 전부를 연구하는 것이 아니다. 동사 분해를 하거나, 히브리어 사전을 찾아 뜻을 알아보는 정도를 의미 하는 것도 아니다. 단어 연구란 내가 선택한 본문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주요 단어를 골라서 그에 대하여 의미론적 연구 및 신학적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이다. 첫째는 의미론적 연구인데, 그 단어가 지니고 있는 기초적인 범주를 알아보는 일이다. 둘째는 신학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인데, 그 단어가 주해 본문 이외의 다른 본문에서 어떻게 사용 되었는지에 주목하여, 그 단어가 성경 전체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사용되고 있는지를 추적하는 과정이다.” 김희석, 『구약의 단어 연구 방법론과 그 실제, (서울: 헤르메니아 투데이), 2013, 195p.
이에 기준하여 본 연구에서는 “새 언약”이라는 단어를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단어: “새 언약 ”
‘새 언약’이라는 단어, “새”와 “언약”을 나누어서 단어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래서 두 가지로 생각해 보려고 하는데, 첫째, “새” 라는 new 가 갖는 의미와 용례, 둘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7.06.14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81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