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퇴원 시 간호
1) 목적
2) 퇴원 예고제
3) 퇴원 절차(종류)에 따른 간호
4) 교육 내용
2. 전과, 전동, 물품관리
1) 전과, 전동의 정의와 목적
2) 전과, 전동의 절차
3) 간호사의 책임
4) 물품관리의 정의와 목적
5) 원칙
6) 물품관리의 방법
7) 약품 관리
8) 물품관리 시 주의사항
3. 운동
1) 정의
2) 운동의 종류
3) 노인을 위한 운동
4) 운동시 주의사항
5) 운동의 효과
4. 부동
1) 정의
2) 원인
3) 부동의 영향(합병증)
4) 부동환자의 간호
5. 보행 보조법
1) 정의
2) 보행보조기구의 종류
3) 보행보조기구의 사용법
4) 간호사가 돕는 방법
6. 간호기록
1) 정의
2) 목적
3) 기록지침
4) 간호기록방법
5) 간호기록양식
6) 행위별 간호기록
7) 법적 보호방법
Ⅲ. 상황적용
Ⅳ. 결론
Ⅴ. 참고문헌
Ⅱ. 본론
1. 퇴원 시 간호
1) 목적
2) 퇴원 예고제
3) 퇴원 절차(종류)에 따른 간호
4) 교육 내용
2. 전과, 전동, 물품관리
1) 전과, 전동의 정의와 목적
2) 전과, 전동의 절차
3) 간호사의 책임
4) 물품관리의 정의와 목적
5) 원칙
6) 물품관리의 방법
7) 약품 관리
8) 물품관리 시 주의사항
3. 운동
1) 정의
2) 운동의 종류
3) 노인을 위한 운동
4) 운동시 주의사항
5) 운동의 효과
4. 부동
1) 정의
2) 원인
3) 부동의 영향(합병증)
4) 부동환자의 간호
5. 보행 보조법
1) 정의
2) 보행보조기구의 종류
3) 보행보조기구의 사용법
4) 간호사가 돕는 방법
6. 간호기록
1) 정의
2) 목적
3) 기록지침
4) 간호기록방법
5) 간호기록양식
6) 행위별 간호기록
7) 법적 보호방법
Ⅲ. 상황적용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8) 임종 시 기록
⑫ 환자 상태 변화에 따른 수시 V/S 및 관찰사항 기록
⑬ 의사에게 보고한 내용 및 시간, 의사도착 시간
⑭ 투여된 약제 종류와 용량
⑮ 맥박이 촉지 되지 않는 시간, 호흡이 멈춘 시간
의사의 사망선고 시간 및 의사명
사후처치기록
사망 후 가게 될 장소 (예: 영안실, 외부 영안실, 집 등)
7) 법적 보호방법
(1) 간호사의 행동
①의사처방 이행
간호사들은 법적으로는 단지 상식적으로 수행 후 손상이 우려된다고 판단되지 않는 한 대상자의 담당의사의 처방을 수행할 책임이 있다.
처방을 수행하는데 있어 몇 가지 지침이 있다.
a. 의사처방은 반드시 문서화하도록 노력한다.
b. 구두 또는 전화처방은 24시간 내에 상호 서명을 받도록 한다.
- 전화처방에 의해 야기되는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 응급상황으로 선택할 여지가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전화 또는 처방을 제한한다.
- 좀 더 교육배경이나 임상경험이 풍부한 간호사를 전화처방을 수행할 수 있는 간호사로 지정한다.
- 의사에게 처방내용을 다시 읽어 주어 확인한다.
- 전화처방을 내린 날짜, 시간 그러한 처방이 요구된 상황, 처방내용 확인, 그리고 처방을 받은 사람 등을 기록한다. 또한 구두처방(VO)인지 전화처방(TO)인지 구분해 둔다.
- 만일 전화가 연결된다면, 두 간호사가 같이 듣고 상호 서명한다.
② 처방에 의문점을 가져야 하는 경우
a. 모호하다.
b. 일반 처방과 상반된다. (예: 약의 용량이 비정상적으로 많다.)
c. 대상자의 현재 상태와 상반된다. (예: 현재의 대상자의 상태는 호전되어 더 이상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 없을 때)
③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의문시되는 처방을 이중점검한다.
④ 기록은 주의 깊게 한다.
기록은 정확하고 미완성이어서는 안되며, 시간별로 기록해야 한다. 기록되지 않은 것은 법적으로 행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이는 활력측정이나 체위변경, 침상난간 사용과 같은 일상 행위조차도 포함된다.
(2) 법적 문제를 야기하는 기록의 문제를 예
[간호사는 대상자가 의료진의 관찰과 치료를 요구한다고 믿고 있으나 담당의사가 도움요청에 답이 없었던 경우]
이러한 경우 법적으로 보호받는 가장 좋은 방법은 “대상자가 죽어 가고 있는데 아무도 보러 오지 않았다”든지, “담당의사 김은 다시 한번 대상자가 필요로 할 때 연락할 수 없었다”는 등의 표현으로 남에게 죄를 씌우지 않도록 하면서, 기록은 의사를 부른 시각과 반응한 시각, 혹은 반응하지 않은 시각, 그리고 간호체계 반응(예: 간호감독에게 보고한 시각) 등을 기록한다. 이러한 기록은 대상자를 주의 깊게 사정하고 의미 있는 반응을 인식하고, 적절히 보고했음을 의미한다. 간호감독은 사건을 점검하고 후속조치 내용을 추가해야 한다. 한편, 치료에 대한 대상자 불응은 응하도록 시도했음을 포함하여 기록에 남긴다.
Ⅲ. 상황적용
상황
간호문제
해결/(학습내용활용)
1. 투상간님 및 보호자에게 퇴원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2. 투상간님은 내일 퇴원예정
퇴원 시 간호
1. 퇴원 계획- 간호사정- 간호 진단- 간호계획-간호 수행을 시행한다.
2. 간호수행에는 교육계획과 의뢰를 실제적으로 행한다.
1. 정맥주사로 투여되는 항생제 중지
2. 경구투약으로 의사 처방이 변경
3. Selbex 3T # 3 PO, Magmil 1.5T # 3PO X 5days
4. Claricide 500mg PO bid X 5days
약품관리
1. 정맥주사로 투여되던 약물을 중지시키고 폐기처분한다.
2. 경구투약 처방을 확인하고 약을 처방한다.
3. 투상간님에게 약품의 보관방법을 알려준다.
4. 투상간님에게 약품 부작용에 대하여 알려준다.
1. 계속되는 열과 통증
2. 엉치가 빨갛게 되어있어요.
3. 이 주사를 맞고 있으니 움직일 수가 있어야지.
욕창발생
1. 두 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 준다.
2. 부드럽게 마사지를 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
3. 피부상태를 자주 살핀다.
4. 공기침대나 방석, 쿠션 등을 이용해서 욕창발생을 방지시킨다.
5. 고단백 위주의 음식을 섭취할 수 있도록 섭취에 대한 사정을 한다.
1. 엉치뼈 부위의 발적상태
2. 병원에서처럼 천천히 걸으시고 가벼운 운동을 하시면 회복되실 거에요.
부동
1. 부동 예방을 위한 간호를 실시한다.
2. 발적 상태를 고려해서 간호 중재를 실시한다.
1. 투상간님: “아직 잘 못 걷는데 집에 가서 걱정이야.”
2. 당신: “병원에서처럼 천천히 걸으시고 가벼운 운동을 하시면 많이 회복되실 거에요. 혹시 힘드실 때 보행 보조기구를 사용하도록 하세요. 도움이 많이 될 거에요.”
보행 보조법
1. 투상간님에게 보행보조기구의 종류에 대해 알려주고, 사용방법을 교육한다.
2. 보호자(남편)가 옆에서 투상간님을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
3. 보행보조기구를 사용할 때의 주의점을 숙지할 수 있도록 투상간님에게 교육한다.
Ⅳ. 결론
거동에 불편함이 있고, 퇴원 후에 대한 걱정이 있는 투상간님에게는 퇴원 시 간호를 실시하고, 욕창예방을 위한 가벼운 운동법과 원활한 거동을 위한 보행 보조기구 사용법을 교육한다. 간호기록을 올바르게 작성하고, 전과, 전동 그리고 물품관리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번 과제를 통해 우리는 퇴원예정인 대상자에게 행할 수 있는 간호에 대해 숙지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배우게 되었다. 그리고 앞으로 대상자가 퇴원 후에도 불편함이 없도록 대상자에게 알맞은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앞으로 우리는 이를 완벽히 수행하기 위한 전문지식, 태도, 그리고 기술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Ⅴ. 참고문헌
1. 서적: 기본간호학 상,하권(현문사, 양선희
임상간호 매뉴얼
기본간호수기
기본간호중재의 적용(수문사, 송경애)
2. 인터넷: 해피캠퍼스 [간호관리] 간호관리, 응급실 실습일지, 간호관리학 요약 레포트, 약 품관리 물품관리
네이버 블로그
스트레칭동영상http://tvpot.daum.net/clip/ClipView.do?clipid=23141526
남구생활체육협의회www.namsports.co.kr
Metlife http://metlife.aimmed.com
⑫ 환자 상태 변화에 따른 수시 V/S 및 관찰사항 기록
⑬ 의사에게 보고한 내용 및 시간, 의사도착 시간
⑭ 투여된 약제 종류와 용량
⑮ 맥박이 촉지 되지 않는 시간, 호흡이 멈춘 시간
의사의 사망선고 시간 및 의사명
사후처치기록
사망 후 가게 될 장소 (예: 영안실, 외부 영안실, 집 등)
7) 법적 보호방법
(1) 간호사의 행동
①의사처방 이행
간호사들은 법적으로는 단지 상식적으로 수행 후 손상이 우려된다고 판단되지 않는 한 대상자의 담당의사의 처방을 수행할 책임이 있다.
처방을 수행하는데 있어 몇 가지 지침이 있다.
a. 의사처방은 반드시 문서화하도록 노력한다.
b. 구두 또는 전화처방은 24시간 내에 상호 서명을 받도록 한다.
- 전화처방에 의해 야기되는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 응급상황으로 선택할 여지가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전화 또는 처방을 제한한다.
- 좀 더 교육배경이나 임상경험이 풍부한 간호사를 전화처방을 수행할 수 있는 간호사로 지정한다.
- 의사에게 처방내용을 다시 읽어 주어 확인한다.
- 전화처방을 내린 날짜, 시간 그러한 처방이 요구된 상황, 처방내용 확인, 그리고 처방을 받은 사람 등을 기록한다. 또한 구두처방(VO)인지 전화처방(TO)인지 구분해 둔다.
- 만일 전화가 연결된다면, 두 간호사가 같이 듣고 상호 서명한다.
② 처방에 의문점을 가져야 하는 경우
a. 모호하다.
b. 일반 처방과 상반된다. (예: 약의 용량이 비정상적으로 많다.)
c. 대상자의 현재 상태와 상반된다. (예: 현재의 대상자의 상태는 호전되어 더 이상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 없을 때)
③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의문시되는 처방을 이중점검한다.
④ 기록은 주의 깊게 한다.
기록은 정확하고 미완성이어서는 안되며, 시간별로 기록해야 한다. 기록되지 않은 것은 법적으로 행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이는 활력측정이나 체위변경, 침상난간 사용과 같은 일상 행위조차도 포함된다.
(2) 법적 문제를 야기하는 기록의 문제를 예
[간호사는 대상자가 의료진의 관찰과 치료를 요구한다고 믿고 있으나 담당의사가 도움요청에 답이 없었던 경우]
이러한 경우 법적으로 보호받는 가장 좋은 방법은 “대상자가 죽어 가고 있는데 아무도 보러 오지 않았다”든지, “담당의사 김은 다시 한번 대상자가 필요로 할 때 연락할 수 없었다”는 등의 표현으로 남에게 죄를 씌우지 않도록 하면서, 기록은 의사를 부른 시각과 반응한 시각, 혹은 반응하지 않은 시각, 그리고 간호체계 반응(예: 간호감독에게 보고한 시각) 등을 기록한다. 이러한 기록은 대상자를 주의 깊게 사정하고 의미 있는 반응을 인식하고, 적절히 보고했음을 의미한다. 간호감독은 사건을 점검하고 후속조치 내용을 추가해야 한다. 한편, 치료에 대한 대상자 불응은 응하도록 시도했음을 포함하여 기록에 남긴다.
Ⅲ. 상황적용
상황
간호문제
해결/(학습내용활용)
1. 투상간님 및 보호자에게 퇴원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2. 투상간님은 내일 퇴원예정
퇴원 시 간호
1. 퇴원 계획- 간호사정- 간호 진단- 간호계획-간호 수행을 시행한다.
2. 간호수행에는 교육계획과 의뢰를 실제적으로 행한다.
1. 정맥주사로 투여되는 항생제 중지
2. 경구투약으로 의사 처방이 변경
3. Selbex 3T # 3 PO, Magmil 1.5T # 3PO X 5days
4. Claricide 500mg PO bid X 5days
약품관리
1. 정맥주사로 투여되던 약물을 중지시키고 폐기처분한다.
2. 경구투약 처방을 확인하고 약을 처방한다.
3. 투상간님에게 약품의 보관방법을 알려준다.
4. 투상간님에게 약품 부작용에 대하여 알려준다.
1. 계속되는 열과 통증
2. 엉치가 빨갛게 되어있어요.
3. 이 주사를 맞고 있으니 움직일 수가 있어야지.
욕창발생
1. 두 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 준다.
2. 부드럽게 마사지를 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
3. 피부상태를 자주 살핀다.
4. 공기침대나 방석, 쿠션 등을 이용해서 욕창발생을 방지시킨다.
5. 고단백 위주의 음식을 섭취할 수 있도록 섭취에 대한 사정을 한다.
1. 엉치뼈 부위의 발적상태
2. 병원에서처럼 천천히 걸으시고 가벼운 운동을 하시면 회복되실 거에요.
부동
1. 부동 예방을 위한 간호를 실시한다.
2. 발적 상태를 고려해서 간호 중재를 실시한다.
1. 투상간님: “아직 잘 못 걷는데 집에 가서 걱정이야.”
2. 당신: “병원에서처럼 천천히 걸으시고 가벼운 운동을 하시면 많이 회복되실 거에요. 혹시 힘드실 때 보행 보조기구를 사용하도록 하세요. 도움이 많이 될 거에요.”
보행 보조법
1. 투상간님에게 보행보조기구의 종류에 대해 알려주고, 사용방법을 교육한다.
2. 보호자(남편)가 옆에서 투상간님을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다.
3. 보행보조기구를 사용할 때의 주의점을 숙지할 수 있도록 투상간님에게 교육한다.
Ⅳ. 결론
거동에 불편함이 있고, 퇴원 후에 대한 걱정이 있는 투상간님에게는 퇴원 시 간호를 실시하고, 욕창예방을 위한 가벼운 운동법과 원활한 거동을 위한 보행 보조기구 사용법을 교육한다. 간호기록을 올바르게 작성하고, 전과, 전동 그리고 물품관리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번 과제를 통해 우리는 퇴원예정인 대상자에게 행할 수 있는 간호에 대해 숙지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배우게 되었다. 그리고 앞으로 대상자가 퇴원 후에도 불편함이 없도록 대상자에게 알맞은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앞으로 우리는 이를 완벽히 수행하기 위한 전문지식, 태도, 그리고 기술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Ⅴ. 참고문헌
1. 서적: 기본간호학 상,하권(현문사, 양선희
임상간호 매뉴얼
기본간호수기
기본간호중재의 적용(수문사, 송경애)
2. 인터넷: 해피캠퍼스 [간호관리] 간호관리, 응급실 실습일지, 간호관리학 요약 레포트, 약 품관리 물품관리
네이버 블로그
스트레칭동영상http://tvpot.daum.net/clip/ClipView.do?clipid=23141526
남구생활체육협의회www.namsports.co.kr
Metlife http://metlife.aimmed.com
키워드
추천자료
SkyLife 200만 가입자 유치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방안
The trouble with the enterprise software 비평
[성인간호학] SAH 뇌혈관성 장애
[정신간호학]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
[정신간호학] 기분장애 간호 사전학습,CASE,케이스,요약본
[간호학] Dr order 해석 및 이론적 근거 통합검사 결과 해석
[간호학] 청소년기의 심리적 특징
[간호학] 청소년기의 사회 심리적 발달
[간호학] 수면의 증진 방법
[간호학] 간경변증 원인 병태생리 증상 관리
[간호학] 난청 및 귀 수술 대상자 간호
[간호학] 면역 장애 (자가면역면역 결핍증)
[간호학] 불안장애 (정의 간호사정 행동특성 및 관련질환 간호진단)
[간호학] 학교보건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