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거품없는 자료] 체온조절에 대한 간호과정 [체온조절 방법, 고체온, 저체온의 발생원인. 간호과정 종합자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거품없는 자료] 체온조절에 대한 간호과정 [체온조절 방법, 고체온, 저체온의 발생원인. 간호과정 종합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체온의 원인
2. 간호사정
3. 간호 진단
4. 목적과 기대되는 결과
5. 과학적 근거
6. 구체적 간호계획
7. 간호중재 (수행)
8. 간호평가

본문내용

확인 (신체 스트레스 파악)
6. 과학적 근거
- 건조함,갈증 → 열이 지속되면 탈수현상이 나타남
수분부족과 호흡증가로 수분소실이 늘었기 때문
- 전신권태 경험 → 대상자의 체온이 40℃에 달하면 혼돈이나 경련을 경험
- 호흡 → 발열 시 혈류에 에피네프린과 노어에피네프린이 증가하여 세포
대사가 증진되고, 호흡중추를 자극하여 호흡이 빠르고 깊어짐
- 상기된 피부 → 혈관확장이 일어나기 때문에 피부가 상기되어 더워짐
- 체온의 조절기전 → 인간은 항상성 기전(homeostatic mecahnism)에 의하여 외부의 온도 변화에 관계 없이 약 37도의 일정한 내부 온도를 유지한다. 이러한 조절은 시상하부의 전방에 위치한 체온조절 중추에 의한 신경조절, 갑상선과 부신호르몬에 의한 화학 조절에 의한다.
7. 간호중재
1) 수분섭취 증가
- 따뜻하거나 미지근한 물 → 탈수방지
- 전해질이 포함된 이온음료 → 체내 성분과 유사해 수분 흡수 속도를 높여 열 탈진 예방에 도움을 준다
2) 구강 간호
- 구강 및 비강 내에 윤활제 적용
- 입안을 생리식염수로 함수하게 한다.
3) 적절한 환경 조성
- 담요나 이불로 덮어줌
- 실내 온도 : 25℃ 적정
- 실내습도 : 40~60%
- 실내 공기 순환
- 바로 누울 땐 상체를 조금 높게 유지
- 의복과 침구의 건조 유지
4) 균형 잡힌 십이섭취
- 소화가 잘 되는 음식 (미음, 유동식)
- 수분이 많은 음식(배, 오렌지 같은 과일)
5) 휴식 및 안정
- 활동을 제한하고 실내에서 안정을 취한다.
6) 미온수 목욕
- 스폰지 목욕 (27~34도의 미온수에서 약 10~16분 정도 시행)
7) 냉 요법 적용
- 얼음주머니(ice bag): 물이 새는지 확인 후, 타월이나 커버를 씌워서 대상자에게 10~15분 정도 적용
- 차가운 물수건: 이마에 얹거나 손에서 어깨까지 10분정도 부드럽게 닦아준다.
8) 해열제 복용
- 열이 38.5℃ 이상 나는 경우에만 복용
- 최소 4시간에서 6시간 간격으로 복용
- 하루 4번 이상 복용 X
8. 간호 평가
1) 고열에 대한 간호수행 자료를 수집
2) 처음 작성했던 목표/기대결과를 수집한 자료들과 비교
3) 체온을 조절에 대한 목표가 이루어짐/부분적으로 이루어짐/성취되지 않다 로 구분
4) 고열의 결론 도출
5) 어떤 중재가 가장 효과 있었는지
6) 어떤 중재가 가장 빠르게 제공할 수 있는지 등
7) 간호계획의 지속을 하거나 수정하거나 종료
  • 가격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07.25
  • 저작시기201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03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