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스타벅스 기업소개
2. 스타벅스의 경영원칙
3. 스타벅스의 성공비결
4. 커피시장 상황분석
5. 스타벅스의 차별화전략
6. 스타벅스 고객만족경영 성공사례
7. 스타벅스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8. 스타벅스 STP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9. 스타벅스 마케팅 4P전략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10. 스타벅스의 브랜드확장 전략
11. 결론 및 향후방향제언
2. 스타벅스의 경영원칙
3. 스타벅스의 성공비결
4. 커피시장 상황분석
5. 스타벅스의 차별화전략
6. 스타벅스 고객만족경영 성공사례
7. 스타벅스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8. 스타벅스 STP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9. 스타벅스 마케팅 4P전략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10. 스타벅스의 브랜드확장 전략
11. 결론 및 향후방향제언
본문내용
순한 카페로 인식하는 것을 넘어 하나의 만남의 장소의 기능으로 각인 시켰다.
6. 스타벅스 고객만족경영 성공사례
(1)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커피 전문점은 직원 만족도가 높은 커피 전문점
‘스타벅스 코리아’가 플랫폼 잡 플래닛에서 직원만족도 1위로 집계 되었다.
이어서 ‘할리스커피’가 2위 ‘이디가커피’가 3위가 되었다.
‘스타벅스’의 장점으로 꼽히는 이유는 ‘주휴수당이나 추가근무 수당 등 철저하게 계산해 주기 때문에 급여 지급에 대한 불만이 없다’고 한다.
직원들의 만족도도 높기 때문에 ‘스타벅스’가 고객에게 대하는 태도 역시 좋아져서 성공사례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2) 2층은 잘 안 올라오는 직원들
내 경험에는 작년 겨울방학 때 기능사 준비를 하려고 카페에 자주 갔었는데 우리 집에서 제일 가까운 카페가 ‘스타벅스’여서 많이 이용했다. 그러던 어느 날 2층에서 공부를 하고 있는데 쟁반대가 매우 지저분하고 손님들이 다 쌓아놔서 높고 불안하게 되어있었다. 3시간이 지나도 아무도 치우지 않아서 그대로 몇시간이 더 방치되었다.
나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불쾌하다는 표정을 지었고 결국 내가 밑에 내려가면서 위에좀 치워달라고 하니깐 직원들의 가위바위보를 한 뒤에 진 직원이 올라와 치우는 것을 보니 서로 일을 안하려는 것 같아서 그런 점이 매우 않좋게 보였다.
(3) 커피가 나올 때 별명을 불러주는 직원들
영국에서 ‘페이스북’을 이용하여 많은 좋아요를 얻는 스타가 있다. 그가 한 업적 중에 끝에 칭찬을 아끼지 않았었던 에피소드는 ‘스타벅스’는 자신의 별명을 적으면 그 커피가 나왔을 때 그 별명을 부르면서 주게 되어 있는데 그가 곤란한 별명을 넣어 커피를 주문하였는데 직원이 활짝 웃으면서 별명을 부르게 되자 해당 카페의 모든 손님들이 웃으면서 마무리가 되었다. 그리고 그가 카페를 나와서 한 말이 정말 교육이 잘 되어 있는 커피집이라고 칭찬을 하면서 나왔다.
7. 스타벅스 SWOT분석
(1) Strength
- 높은 인지도
실질적인 커피 전문점의 선도 기업이다. 커피만을 판매하는 기업이 아닌, 색다른 문화공간인 카페를 만들었다. 스타벅스는 실제로 국가 브랜드위원회와 지식경제부 후원으로 제정된 브랜드 시상식에서 커피 전문점 부분에서 ‘2012 소비자 선정 최고의 브랜드 대상’을 받았다.
- 고급스러운 원재료
본사에서 직접 선택한 원두를 가지고 미국에서 일괄적으로 로스팅을 한다. 이 재료들은 양질이면서도 스타벅스의 모든 매장마다 동일하므로, 고객들은 좋은 원재료로 만든 커피를 어느곳에서나 즐길 수 있다. 실제로 스타벅스는 신선한 커피를 공급하기 위해 1주일이 넘은 원두는 사용하지 않으며, 당일 볶은 원두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 일관된 매장이미지
스타벅스의 모든 매장은 거의 서로 비슷하다. 이러한 비슷한 매장 이미지는 스타벅스 고객에게 친근감을 줄 수 있고, 그만큼 단골 고객을 더욱 많이 확보할 수 있다.
(2) Weakness
스타벅스와 같은 프랜차이즈 회사들은 주요 핵심 상권에 입점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임차 비용이 비싸지면서 그대로 커피 가격에 반영될 수밖에 없는 현실적 한계가 있다.
또한, 앞서 말한 것과 같이점포가 대부분 번화가에 입지해 있어 매우 혼잡하고, 고객이 항상 기다리거나 자리를 찾지 못해 그냥 돌아가게 되는 경우도 많다. 그렇기 때문에 바리스타와 고객 간상호작용 역시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것은 스타벅스가 추구하는 ‘편안하고 삶의 오아시스 같은 장소를 제공’하는 전략과는 상반되는 것으로, 한국시장에서 매우 큰 위협적인 요소로 볼 수 있다.
마지막 약점은 강점 요인이기도 한고급화 이미지와도 연결되어 있다.스타벅스가 고급스러운 느낌을 풍기는 것은 외제 브랜드라는 이유도한몫 하는데,이것이 외제를 쓰면 안된다는 의식이 깔려있는 사람들에게는 부정적인 인식으로 다가오게 된 것이다. 그래서 한때 밥보다 비싼 스타벅스 커피를 자주 마시고 테이크아웃 컵을 들고 길거리를 활보하는 여성들을 지칭해 된장녀라고 부르며, 이러한 소비가 정상적인 것인가에 대해 사회적 이슈로까지 번지기도 했다.
(3) Opportunity
스타벅스코리아는 2014년 첫 론칭한 최상급 커피 브랜드 ‘리저브’를 2016년에 새롭게 단장하며 원두와 매장 등을 업그레이드하며 고급 커피 시장확대에 한발 더 다가갔다. 60개 ‘리저브’ 전체 매장의 지난해 (2016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30%성장했다.
‘드라이브 스루’매장은 59개에서 97개로 1년간 64% 늘었다. 따라서 자차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Take-out을 원하는 경우의 불편함을 확실히 덜 수 있게 해주었다.
마지막으로 MD상품 차별화로 한국의 커피문화를 바꿔 놓으며 또 하나의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었다. 바로 ‘워터 보틀’과 ‘텀블러’이다. 커피를 주문하고 음료가 나오기까지 기다리는 동안 매장 안을 둘러보면 각종 MD상품들이 진열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아이템들은 아웃도어 라이프 스타일의 트렌드와 레저 열풍이 맞물려 폭발적인 인기를 불러일으켰고 스타벅스 텀블러 마니아층까지 형성됐다.
(4) Threat
- 시장 포화
여러 전문가들이 커피 전문점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렀다고 말하고 있다. 실제로 스타벅스가 한국에 입점한 이후로, 카페베네·투썸플레이스·엔젤인어스 등 많은 커피 전문점들이 생겨났고, 수백개의 체인점도 보유하고 있다. 아무리 인지도가 높은 스타벅스라도 경쟁사가 많으면 그만큼 매출을 유지하기도 어려워 진다. 내부 경쟁자가 많을수록, 이익을 내기는 어려워지고 소비자의 힘이 더 강력해지기 때문이다.
- 경쟁사들의 저가 커피
스타벅스는 커피를 고가로 판매하는 대표적인 기업이다. 카페라떼의 가격을 살펴보면 스타벅스의 카페라떼는 4100원이었다. 그의 비해 스타벅스의 경쟁사, 탐앤탐스의 카페라떼는 3900원이었다. 200원이 그리 크진 않지만, 소비자의 구매 의사를 충분히 바꿀 수 있는 가격차이이다. 기본적으로 소비자들은 가격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8. 스타벅스 STP분석
(1) Segmentation
-10~19세 : 청소년들은 일반적으로 커피보다는 탄산음료를 즐겨 마신다, 패스트푸드점을 선호한다. 중, 고등학생들이 잠을
6. 스타벅스 고객만족경영 성공사례
(1)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커피 전문점은 직원 만족도가 높은 커피 전문점
‘스타벅스 코리아’가 플랫폼 잡 플래닛에서 직원만족도 1위로 집계 되었다.
이어서 ‘할리스커피’가 2위 ‘이디가커피’가 3위가 되었다.
‘스타벅스’의 장점으로 꼽히는 이유는 ‘주휴수당이나 추가근무 수당 등 철저하게 계산해 주기 때문에 급여 지급에 대한 불만이 없다’고 한다.
직원들의 만족도도 높기 때문에 ‘스타벅스’가 고객에게 대하는 태도 역시 좋아져서 성공사례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2) 2층은 잘 안 올라오는 직원들
내 경험에는 작년 겨울방학 때 기능사 준비를 하려고 카페에 자주 갔었는데 우리 집에서 제일 가까운 카페가 ‘스타벅스’여서 많이 이용했다. 그러던 어느 날 2층에서 공부를 하고 있는데 쟁반대가 매우 지저분하고 손님들이 다 쌓아놔서 높고 불안하게 되어있었다. 3시간이 지나도 아무도 치우지 않아서 그대로 몇시간이 더 방치되었다.
나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불쾌하다는 표정을 지었고 결국 내가 밑에 내려가면서 위에좀 치워달라고 하니깐 직원들의 가위바위보를 한 뒤에 진 직원이 올라와 치우는 것을 보니 서로 일을 안하려는 것 같아서 그런 점이 매우 않좋게 보였다.
(3) 커피가 나올 때 별명을 불러주는 직원들
영국에서 ‘페이스북’을 이용하여 많은 좋아요를 얻는 스타가 있다. 그가 한 업적 중에 끝에 칭찬을 아끼지 않았었던 에피소드는 ‘스타벅스’는 자신의 별명을 적으면 그 커피가 나왔을 때 그 별명을 부르면서 주게 되어 있는데 그가 곤란한 별명을 넣어 커피를 주문하였는데 직원이 활짝 웃으면서 별명을 부르게 되자 해당 카페의 모든 손님들이 웃으면서 마무리가 되었다. 그리고 그가 카페를 나와서 한 말이 정말 교육이 잘 되어 있는 커피집이라고 칭찬을 하면서 나왔다.
7. 스타벅스 SWOT분석
(1) Strength
- 높은 인지도
실질적인 커피 전문점의 선도 기업이다. 커피만을 판매하는 기업이 아닌, 색다른 문화공간인 카페를 만들었다. 스타벅스는 실제로 국가 브랜드위원회와 지식경제부 후원으로 제정된 브랜드 시상식에서 커피 전문점 부분에서 ‘2012 소비자 선정 최고의 브랜드 대상’을 받았다.
- 고급스러운 원재료
본사에서 직접 선택한 원두를 가지고 미국에서 일괄적으로 로스팅을 한다. 이 재료들은 양질이면서도 스타벅스의 모든 매장마다 동일하므로, 고객들은 좋은 원재료로 만든 커피를 어느곳에서나 즐길 수 있다. 실제로 스타벅스는 신선한 커피를 공급하기 위해 1주일이 넘은 원두는 사용하지 않으며, 당일 볶은 원두 이외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 일관된 매장이미지
스타벅스의 모든 매장은 거의 서로 비슷하다. 이러한 비슷한 매장 이미지는 스타벅스 고객에게 친근감을 줄 수 있고, 그만큼 단골 고객을 더욱 많이 확보할 수 있다.
(2) Weakness
스타벅스와 같은 프랜차이즈 회사들은 주요 핵심 상권에 입점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임차 비용이 비싸지면서 그대로 커피 가격에 반영될 수밖에 없는 현실적 한계가 있다.
또한, 앞서 말한 것과 같이점포가 대부분 번화가에 입지해 있어 매우 혼잡하고, 고객이 항상 기다리거나 자리를 찾지 못해 그냥 돌아가게 되는 경우도 많다. 그렇기 때문에 바리스타와 고객 간상호작용 역시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것은 스타벅스가 추구하는 ‘편안하고 삶의 오아시스 같은 장소를 제공’하는 전략과는 상반되는 것으로, 한국시장에서 매우 큰 위협적인 요소로 볼 수 있다.
마지막 약점은 강점 요인이기도 한고급화 이미지와도 연결되어 있다.스타벅스가 고급스러운 느낌을 풍기는 것은 외제 브랜드라는 이유도한몫 하는데,이것이 외제를 쓰면 안된다는 의식이 깔려있는 사람들에게는 부정적인 인식으로 다가오게 된 것이다. 그래서 한때 밥보다 비싼 스타벅스 커피를 자주 마시고 테이크아웃 컵을 들고 길거리를 활보하는 여성들을 지칭해 된장녀라고 부르며, 이러한 소비가 정상적인 것인가에 대해 사회적 이슈로까지 번지기도 했다.
(3) Opportunity
스타벅스코리아는 2014년 첫 론칭한 최상급 커피 브랜드 ‘리저브’를 2016년에 새롭게 단장하며 원두와 매장 등을 업그레이드하며 고급 커피 시장확대에 한발 더 다가갔다. 60개 ‘리저브’ 전체 매장의 지난해 (2016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30%성장했다.
‘드라이브 스루’매장은 59개에서 97개로 1년간 64% 늘었다. 따라서 자차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Take-out을 원하는 경우의 불편함을 확실히 덜 수 있게 해주었다.
마지막으로 MD상품 차별화로 한국의 커피문화를 바꿔 놓으며 또 하나의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었다. 바로 ‘워터 보틀’과 ‘텀블러’이다. 커피를 주문하고 음료가 나오기까지 기다리는 동안 매장 안을 둘러보면 각종 MD상품들이 진열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아이템들은 아웃도어 라이프 스타일의 트렌드와 레저 열풍이 맞물려 폭발적인 인기를 불러일으켰고 스타벅스 텀블러 마니아층까지 형성됐다.
(4) Threat
- 시장 포화
여러 전문가들이 커피 전문점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렀다고 말하고 있다. 실제로 스타벅스가 한국에 입점한 이후로, 카페베네·투썸플레이스·엔젤인어스 등 많은 커피 전문점들이 생겨났고, 수백개의 체인점도 보유하고 있다. 아무리 인지도가 높은 스타벅스라도 경쟁사가 많으면 그만큼 매출을 유지하기도 어려워 진다. 내부 경쟁자가 많을수록, 이익을 내기는 어려워지고 소비자의 힘이 더 강력해지기 때문이다.
- 경쟁사들의 저가 커피
스타벅스는 커피를 고가로 판매하는 대표적인 기업이다. 카페라떼의 가격을 살펴보면 스타벅스의 카페라떼는 4100원이었다. 그의 비해 스타벅스의 경쟁사, 탐앤탐스의 카페라떼는 3900원이었다. 200원이 그리 크진 않지만, 소비자의 구매 의사를 충분히 바꿀 수 있는 가격차이이다. 기본적으로 소비자들은 가격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8. 스타벅스 STP분석
(1) Segmentation
-10~19세 : 청소년들은 일반적으로 커피보다는 탄산음료를 즐겨 마신다, 패스트푸드점을 선호한다. 중, 고등학생들이 잠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