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파괴 검사(슈미트 헤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파괴 검사(슈미트 헤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적용범위 및 시험목적
2. 시험기구
3.시험방법
4.참고사항
5.실험결과
6.실험고찰

본문내용

34
평균
341.4
224.1
a식 : fc= 13R。-184(일본재료학회)
b식 : fc= 10R。-110(동경재료검사소)
C식 : fc= 7.3R。+100(일본 건축학회)
6.실험고찰
오늘 실험은 여태까지 한 실험 중에서 가장 간단한 시험이었다.
이번에는 A조와 B조가 서로 다른 구조물의 압축강도를 구하였는데 평균으로 각각 275.5와 224.1을 구할 수 있었다.
계산 과정 중 측정치 평균을 구할 때 측정치 중 ± 20%가 벗어난 경우가 없어서 쉽게 구할 수 있었다.
건물 재령계수를 3000일로 하였는데 건물이 오래된 만큼 그만큼 압축강도가 처음 구조물을 축조했을 때의 압축강도와 비교해 봤을 때와는 많이 차이가 있을 거라고 생각하였다.
직접 슈미트 헤머로 측정을 해보았는데 정말 편리하고 쉬운 기계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이번 실험은 수평타격을 원칙으로 하는 실험이었기에 정확한 압축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신경 써서 수평타격을 통해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또 연마석을 이용하여 측정할 부분의 면을 평탄화 하는데 노력하였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비파괴 시험의 필요성을 알게 되었다.
직접 코어를 채취하는 파괴검사를 통해서 가장 정확한 압축강도를 얻을 수 있지만 구조물의 압축 강도 검사 시 구조물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파괴 시험이 효율적이라는 것과 물론 비파괴 시험은 정확한 값이 나오지 않겠지만 슈미트 헤머법은 비파괴 시험 중 매우 간단한 시험이라는 사실을 알았다.
또 반발경도가 수평타격이 아닌 방향에 대해서 보정하는 방법과 재령계수를 통해 보정하는 방법을 알 수 있는 실험이었다.
  • 가격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7.08.27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19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