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DH 경막하 출혈 케이스 스터디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SDH 경막하 출혈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I. 문헌고찰 .......................................... 02








II. 간호과정 ........................................... 11-24
1.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2. 약물치료
3. 진단검사
4.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 25

본문내용

eric fissure midline shifting to the left.
Skull fracture suggested at posterior parietal regions.
* Plan : Burr hole OP
수술일
수술 관찰 소견
방법 및 절차
8/6
scalp flap 후 linear skull fracture 소견 관찰됨
bone flap 시행후 tense dura 소견 보임.
dura incison 후 dark liquified hematoma 관찰됨
hematoma turbid한 양상 보여 culture 시행함
subdural hematoma 제거 후 cortical reperfusion 되는 소견 관찰됨
Decompressive Craniectomy
① supine position & head turning to Lt.side
② inverted question-mark scalp incision, Rt. frontotemporoparietal
③ three burr holes were made and then bone flap was performed unsing high-speed drill.
④ dura was opened in a cruciate fashion.
⑤ subdural hematoma was removed
⑥ profuse saline irrigation and hemostasis
⑦ artificial dura was applied
⑧ two drain catheters were inserted into epidural space
⑨ closure
⑤ 간호진단
간호진단
기도 분비물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 불능
자료
O-data
① 호흡시 그르렁 거리는 소리가 들린다.
② 의식상태 confuse ☞ 자발적 기침을 통한 분비물 배출이 어려움.
③ 분비물 과다시 간헐적으로 SpO2가 95% 이하로 감소한다.
④ 기도 분비물을 흡인시 탁한 누런색의 thick한 분비물이 나온다.
간호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11/14까지 정상범위의 SpO2를 유지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11/18까지 분비물 양이 250cc 이하로 감소한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① V/S(호흡)을 1시간마다 사정한다.
② SpO2를 1시간마다 사정한다.
③ 분비물 과다시(필요시) 흡인(suction)을 해준다.
④ 분비물의 양상(양, 색, 점도 등)을 사정한다.
⑤ 체위배출법(Postural drainage)을 적용한다.
⑥ 처방된 산소요법을 실시한다.
⑦ 호흡하기에 용이한 자세를 취해준다.
⑧ 분무요법(Nebulizer therapy)을 적용한다.
⑨ 처방에 따른 약물을 투여한다.
① V/S 은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로 사용된다.
② 산소포화도 측정은 대상자의 호흡 상태를 사정할 수 있는 기본적인 지표로 사용된다.
③ 흡인을 해줌으로써 분비물을 제거해 호흡을 용이하게 한다.
④ 분비물의 색깔, 양, 점도 등의 특성을 사정하고 혈액이 섞인 분비물이 나올시 즉시 흡인을 중지하고 의사에게 보고한다.
⑤ 체위배출법은 객담배출을 용이하게 해주어 정상적인 호흡을 도모한다
⑥ 산소 공급은 폐포의 산소농도를 증가시키고 이는 폐포 모세혈관막을 통과하는 산소 확산을 증가시킨다.
⑧ 기관지확장제와 거담제 등을 공급함으로써 기관지를 확장시키고, 기관지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하기 쉽게한다.
간호중재
RR
11/10
11/11
11/14
11/15
11/16
11/17
11/18
8AM
24회
22회
24회
20회
24회
23회
22회
10AM
22회
20회
25회
22회
25회
25회
25회
12PM
26회
24회
23회
23회
22회
18회
20회
2PM
24회
22회
20회
22회
20회
22회
23회
① V/S를 1시간마다 사정하였다.
▶ 특이소견 X
② SpO2를 1시간마다 사정하였다.
RR
11/10
11/11
11/14
11/15
11/16
11/17
11/18
8AM
98%
88%
98%
97%
98%
100%
100%
10AM
90%
95%
100%
96%
99%
99%
98%
12PM
95%
96%
96%
95%
99%
99%
99%
2PM
98%
97%
98%
93%
100%
94%
100%
▶ 95% 이하시 (알람울릴시) suction함
③ 필요시 흡인(suction)해 주었다.
▶ SpO2가 95% 이하로 떨어졌을 시, 대상자의 기관지 분비물이 과다했을 시, 호흡음이 그르렁 거렸을 시, 체위 배출법을 적용해준 후 시행
양상
11/10
11/14
11/16
11/18
양(cc)
350
300
300
270
특성
어둡고 탁한 노란색, thick 한 양상
탁한 노란색, thick한 양상
노란색, thin한 양상
연한 노란색, thin한 양상
④ 분비물의 양상(양, 특성 등)을 사정하였다.
⑤ 체위배출법(Postural drainage)을 적용하였다.
▶ 체위변경시, 흡인 전, 필요시마다 Chest tapping함
⑥ 처방된 산소요법을 시행하였다.
▶ T-tube, O2 4L
⑦ 분무요법(Nebulizer therapy)을 적용하였다.
▶ Ventolin Nebule 2.5mg/2.5ml, BID2
⑧ 처방에 따른 약물을 투여하였다.
▶ Spatam 10% 3ml inj, IV
▶ Muteran 600mg/6ml inj, IV
평가
① 대상자는 11/14까지 정상범위의 SpO2를 대체적으로 유지하였다. ☞ 부분달성
▶ 2016-11-14
14:00
14:30
15:00
15:30
16:00
17:00
18:00
19:00
SpO2
93%
95%
98%
96%
99%
100%
99%
99%
▶ 11/14 SpO2는 대체적으로 정상범위를 유지하였으나 아직도 간헐적으로 SpO2 경고음이 울림(95% 이하로 떨어졌을 시)
② 대상자는 11/18까지 분비물 양이 250cc 이하로 감소하지는 않았지만 점점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 부분달성
▶ 11/10 30cc → 11/18 270cc
간호진단
장기간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
자료
O-data
① 장기간 부동으로 인한 피부 압박
② coccyx 부위에 sore 2단계가 관찰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7.04.30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42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