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일반적 정보
Ⅱ. 병력
Ⅲ. 질병기술
Ⅳ. 신체검진
Ⅴ. 진단검사
Ⅵ.약물
Ⅶ. 간호과정
Ⅷ. 참고문헌
Ⅱ. 병력
Ⅲ. 질병기술
Ⅳ. 신체검진
Ⅴ. 진단검사
Ⅵ.약물
Ⅶ. 간호과정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lung cancer
(terminal stage)
▶ 수술명 & 수술일 : pt
- 10년전 Lt. ear cancer op.
- 2003/11/3 Tracheostomy
▶ 자료제공자 : 남편
2. 교육 : 고졸
3. 결혼여부 : 기혼
4. 직업 : 주부
5. 기호습관
술, 담배 : 무
6. 종교 : 불교
Ⅱ. 병력
1. Chief complaints
- dyspnea
- coughing
- sputum
2. 현병력 (Present history)
- 발병당시~입원 : 숨차고 sputum 있어 ER통해 Adm.
- 사정당시
(2003. 11. 28) :
HD #48, POD #25
V/S 110/80mmHg-88회-20회-36.6℃
시간과 장소와 사람에 대한 지남력 alert함.
foley cath. #5 유지중
T-cannular #4
central line #8
Ventilator SIMV mode로 유지 중
surpportive care
Liquid diet
Absolute Bed Rest 유지
병에 대한 인식 있음
(2003. 12. 1)
HD #51, POD #48
V/S 120/80mmHg-88회-20회-36.5℃
SIMV mode ventilator 통해 호흡 중
Mild dyspnea 보임(조금 답답해 함)
Abd. pain 없이 central cath. foley cath. 유지 중
unination 양호함. color: yellow
3. 과거병력 (Past history)
- 10년 전 Lt. ear cancer Dx 후 op함.
- 2001년 11월 lung meta되어 서울대학병원에서 chemo #3차 시행 중 condition poor 하여 supportive care함
- 2001년 본원 OPD F/U
- 2002년 12월, 2003년 9월 본원 Adm. Tx.
4. 가족력 (Family history)
- 없음
Ⅲ. 질병기술
※ 폐종양
: 종양이란 비정상적인 세포가 증식을 시작한 후, 기하급수적인 과증식을 하고 있는 상태의 덩어리(mass), 즉 종괴를 일컫으며, 양성종양(benign)과 악성종양(malignant)으로 나뉘어진다. 악성일 경우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경우의 암이며, 종양이 발생한 신체장기의 위치에 따라 간암, 위암, 자궁암, 폐암 등등으로 불리운다. 또한 한 기관에서 다른 기관으로 암이 전파된 경우를 전이(metastasis)라고 한다.
폐암은 비정상적인 세포가 암세포로 무절제한 빠른 속도의 증식으로 인해 발생한다. 폐암은 주로 한쪽 폐로부터 시작하여 임파절, 그리고 폐내의 다른 조직들로 전이되고, 결국은 양폐 모두로 확산되는데, 임파절이나 혈액을 통하여 몸 전체로도 확산될 수 있다. 폐암이 잘 전이되는 장기로는 뼈, 뇌, 간, 부신, 신장, 심장 등이 있다.
폐에서는 암조직이 몇 년동안 자라오고 있어도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별다른 통증 없이 상당히 진행될 수도 있다. 폐암의 대표적인 증상인 계속되는 잦은 기침의 증세를 보일 때도 종종 감기나 기관지염, 또는 알러지로 오인되기도 한다.
◆ 악성종양
폐암은 나날이 증가 추세에 있고 그 치료법과 지식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생존률은 매우 저조하다. 1085년 미국 암협회에서 발표한 것을 보면 폐암의 모든 기에 걸쳐 생존율은 남ㆍ여, 인종을 불문하고 13%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기 발견되고, 국소적인 폐암의 생존율은 증가하고 있다. 여성의 폐암으로 인한 사망이 곧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을 능가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은 여성 흡연인구의 증가 때문이다.
흡연
ㆍ폐암의 발생에 매우 중요한 원인
ㆍ물리적, 화학적 암성요소의 복합적 구성물을 제공
ㆍ담배를 많이 피우는 사람은 피우지 않는 사람보다 20배 발생 위험 큼
ㆍ담배를 끊으면 위험률을 낮추나 몇 년간은 그렇지 않음
(흡연은 상기도 암이나 소화기 암과도 관련이 있음)
석면에의 노출
ㆍ석면 흡인은 내피종과 기관지암과 관련
ㆍ비흡연자가 석면에 노출된 사람은 비흡연자가 석면에 노출도지 않은 사 람보다 5배의 위험이 있음
대기오염
ㆍ폐암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정확한 역할은 알려져 있지 않음
ㆍ도시에 살고 있은 폐암환자는 시골에서 사는 폐암환자보다 단지 2,3배 더 많을 뿐임
방사선 ore에의 노출
ㆍ방사선 ore에 침범된 Pitchblende 광부들은 폐암의 이환율이 증가되어 있음
기타 직업적
암 요인
ㆍ산업체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폐암의 발생위험률이 증가하고 있음
ㆍ직업적요소가 암을 직접적으로 증가시키는가 또는 흡연 등의 다른 요소 와 공역적 효과 때문에 위험률이 증가되는지는 명확하지 않음
[ 악성 폐암의 분류 ]
[ 폐암 유발 인자 ]
* 진단
폐암은 다른 폐질환과 유사하다. 폐암을 위심할 위험징후는 호흡의 변화, 계속적인 기침, 피가 묻어나오는 객담, 객혈, 농 섞인 객담, 흉통, 어깨와 팔의 동통, 늑막삼출액, 폐렴과 기관지염의 반복 감염, 호흡곤란, 체중감소 등이므로 잘 관찰해야 한다. 폐암 환자의 진단시 포함시켜야 할 것은 자세한 과거력 청취(흡연, 다른 유발인자에 노출 유무), 신체검진, 흉부 X-선, 단충촬영, CT scan, 기관지경검사, 객담세포검사, 기관지세척검사, 기관지경 검사시 기관지 점막을 솔질해서 세포와 조직검사, 폐 말초부위에 있는 폐암은 피부를 통한 침생검, 수술을 통한 생검, scalene 임파결절생검, 방사성 동위원소 scan, 뇌 scan 등 전이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 혈청학 검사 등이다.Epidermoid or
squamous carcinoma
이환율
ㆍ30~44%
특성
ㆍ기도의 상피에서 발생
ㆍ자람에 따라 암의 아랫부위에 공동을 형성
ㆍPancoast\'s 암은 폐첨과 상엽에서 발생하고 현미경적으로 많은 Keratin 형성
ㆍ세기관지에서 폐암으로 인한 폐색하부에 속발성 감염이
자주 발생
성장
속도
ㆍ천천히 자람
ㆍ전이는 많지 않음 (임파, 부신, 간에 때로 전이함)
치료에 대한
반응
ㆍ외과적 치료 가능성 : 양호(Ⅰ기와 Ⅱ기 때)
ㆍ화학요법 : 제한
ㆍ방사선요법 : 불량
-국소적인 경우 사용하고 다른 곳으로 전이
(terminal stage)
▶ 수술명 & 수술일 : pt
- 10년전 Lt. ear cancer op.
- 2003/11/3 Tracheostomy
▶ 자료제공자 : 남편
2. 교육 : 고졸
3. 결혼여부 : 기혼
4. 직업 : 주부
5. 기호습관
술, 담배 : 무
6. 종교 : 불교
Ⅱ. 병력
1. Chief complaints
- dyspnea
- coughing
- sputum
2. 현병력 (Present history)
- 발병당시~입원 : 숨차고 sputum 있어 ER통해 Adm.
- 사정당시
(2003. 11. 28) :
HD #48, POD #25
V/S 110/80mmHg-88회-20회-36.6℃
시간과 장소와 사람에 대한 지남력 alert함.
foley cath. #5 유지중
T-cannular #4
central line #8
Ventilator SIMV mode로 유지 중
surpportive care
Liquid diet
Absolute Bed Rest 유지
병에 대한 인식 있음
(2003. 12. 1)
HD #51, POD #48
V/S 120/80mmHg-88회-20회-36.5℃
SIMV mode ventilator 통해 호흡 중
Mild dyspnea 보임(조금 답답해 함)
Abd. pain 없이 central cath. foley cath. 유지 중
unination 양호함. color: yellow
3. 과거병력 (Past history)
- 10년 전 Lt. ear cancer Dx 후 op함.
- 2001년 11월 lung meta되어 서울대학병원에서 chemo #3차 시행 중 condition poor 하여 supportive care함
- 2001년 본원 OPD F/U
- 2002년 12월, 2003년 9월 본원 Adm. Tx.
4. 가족력 (Family history)
- 없음
Ⅲ. 질병기술
※ 폐종양
: 종양이란 비정상적인 세포가 증식을 시작한 후, 기하급수적인 과증식을 하고 있는 상태의 덩어리(mass), 즉 종괴를 일컫으며, 양성종양(benign)과 악성종양(malignant)으로 나뉘어진다. 악성일 경우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경우의 암이며, 종양이 발생한 신체장기의 위치에 따라 간암, 위암, 자궁암, 폐암 등등으로 불리운다. 또한 한 기관에서 다른 기관으로 암이 전파된 경우를 전이(metastasis)라고 한다.
폐암은 비정상적인 세포가 암세포로 무절제한 빠른 속도의 증식으로 인해 발생한다. 폐암은 주로 한쪽 폐로부터 시작하여 임파절, 그리고 폐내의 다른 조직들로 전이되고, 결국은 양폐 모두로 확산되는데, 임파절이나 혈액을 통하여 몸 전체로도 확산될 수 있다. 폐암이 잘 전이되는 장기로는 뼈, 뇌, 간, 부신, 신장, 심장 등이 있다.
폐에서는 암조직이 몇 년동안 자라오고 있어도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별다른 통증 없이 상당히 진행될 수도 있다. 폐암의 대표적인 증상인 계속되는 잦은 기침의 증세를 보일 때도 종종 감기나 기관지염, 또는 알러지로 오인되기도 한다.
◆ 악성종양
폐암은 나날이 증가 추세에 있고 그 치료법과 지식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생존률은 매우 저조하다. 1085년 미국 암협회에서 발표한 것을 보면 폐암의 모든 기에 걸쳐 생존율은 남ㆍ여, 인종을 불문하고 13%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기 발견되고, 국소적인 폐암의 생존율은 증가하고 있다. 여성의 폐암으로 인한 사망이 곧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을 능가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은 여성 흡연인구의 증가 때문이다.
흡연
ㆍ폐암의 발생에 매우 중요한 원인
ㆍ물리적, 화학적 암성요소의 복합적 구성물을 제공
ㆍ담배를 많이 피우는 사람은 피우지 않는 사람보다 20배 발생 위험 큼
ㆍ담배를 끊으면 위험률을 낮추나 몇 년간은 그렇지 않음
(흡연은 상기도 암이나 소화기 암과도 관련이 있음)
석면에의 노출
ㆍ석면 흡인은 내피종과 기관지암과 관련
ㆍ비흡연자가 석면에 노출된 사람은 비흡연자가 석면에 노출도지 않은 사 람보다 5배의 위험이 있음
대기오염
ㆍ폐암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정확한 역할은 알려져 있지 않음
ㆍ도시에 살고 있은 폐암환자는 시골에서 사는 폐암환자보다 단지 2,3배 더 많을 뿐임
방사선 ore에의 노출
ㆍ방사선 ore에 침범된 Pitchblende 광부들은 폐암의 이환율이 증가되어 있음
기타 직업적
암 요인
ㆍ산업체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폐암의 발생위험률이 증가하고 있음
ㆍ직업적요소가 암을 직접적으로 증가시키는가 또는 흡연 등의 다른 요소 와 공역적 효과 때문에 위험률이 증가되는지는 명확하지 않음
[ 악성 폐암의 분류 ]
[ 폐암 유발 인자 ]
* 진단
폐암은 다른 폐질환과 유사하다. 폐암을 위심할 위험징후는 호흡의 변화, 계속적인 기침, 피가 묻어나오는 객담, 객혈, 농 섞인 객담, 흉통, 어깨와 팔의 동통, 늑막삼출액, 폐렴과 기관지염의 반복 감염, 호흡곤란, 체중감소 등이므로 잘 관찰해야 한다. 폐암 환자의 진단시 포함시켜야 할 것은 자세한 과거력 청취(흡연, 다른 유발인자에 노출 유무), 신체검진, 흉부 X-선, 단충촬영, CT scan, 기관지경검사, 객담세포검사, 기관지세척검사, 기관지경 검사시 기관지 점막을 솔질해서 세포와 조직검사, 폐 말초부위에 있는 폐암은 피부를 통한 침생검, 수술을 통한 생검, scalene 임파결절생검, 방사성 동위원소 scan, 뇌 scan 등 전이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 혈청학 검사 등이다.Epidermoid or
squamous carcinoma
이환율
ㆍ30~44%
특성
ㆍ기도의 상피에서 발생
ㆍ자람에 따라 암의 아랫부위에 공동을 형성
ㆍPancoast\'s 암은 폐첨과 상엽에서 발생하고 현미경적으로 많은 Keratin 형성
ㆍ세기관지에서 폐암으로 인한 폐색하부에 속발성 감염이
자주 발생
성장
속도
ㆍ천천히 자람
ㆍ전이는 많지 않음 (임파, 부신, 간에 때로 전이함)
치료에 대한
반응
ㆍ외과적 치료 가능성 : 양호(Ⅰ기와 Ⅱ기 때)
ㆍ화학요법 : 제한
ㆍ방사선요법 : 불량
-국소적인 경우 사용하고 다른 곳으로 전이
추천자료
위암 케이스 고찰
소아과 쯔쯔가무시열 케이스
성인간호학 CHF 케이스스터디 (울혈성 심부전)
난소낭종 케이스
<소아>요로감염 케이스A+++(연구의 필요성 부터~문헌고찰,병태생리,간호사정,간호진단 및 느...
분만실 케이스스터디, 급성통증, 불안, 간호진단, cpd, 제왕절개
기흉 케이스 스터디
폐렴 케이스 case study 사례연구 pneumonia
폐렴 케이스스터디
뇌종양 케이스
급성신우신염 케이스 스터디 A+
폐렴 케이스 건강사정
위암 케이스, 위암 간호과정, 위암 사례연구, 위암 CASE, Stomach cancer CASE, GS, ICU A++
폐렴 케이스스터디, 피부반응 검사, 폐기물관리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