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방통대 농학과 1학년 생물과학 공통] 우리나라에서 친환경 및 유기농법의 현황과 이들 농법이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기존 농법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목 차>
Ⅰ. 들어가며
Ⅱ. 친환경 및 유기농법의 현황과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1. 친환경 및 유기농법의 개념
1) 정의
2) 목적
3) 필요성
2. 친환경 및 유기농법의 현황
1) 역사
2) 방법
3) 종류
(1) 동물을 이용한 유기농법
(2) 곤충을 이용한 유기농법
(3) 쌀겨농법
(4) 유산균 농법
(5) 그린음악농법
3.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1) 기존 농법의 폐해
(1) 강도 높은 경운과 정지
(2) 화학비료 사용
(3) 병해충과 잡초 방제
2) 친환경 및 유기농법의 장점
(1) 건강한 먹이사슬
(2) 토양오염 예방
(3) 농약 피해 예방
4. 친환경 및 유기농법의 문제점과 대책
1) 문제점
2) 대책
3) 방향
Ⅲ. 나가며
<참고문헌>
<목 차>
Ⅰ. 들어가며
Ⅱ. 친환경 및 유기농법의 현황과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1. 친환경 및 유기농법의 개념
1) 정의
2) 목적
3) 필요성
2. 친환경 및 유기농법의 현황
1) 역사
2) 방법
3) 종류
(1) 동물을 이용한 유기농법
(2) 곤충을 이용한 유기농법
(3) 쌀겨농법
(4) 유산균 농법
(5) 그린음악농법
3. 자연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1) 기존 농법의 폐해
(1) 강도 높은 경운과 정지
(2) 화학비료 사용
(3) 병해충과 잡초 방제
2) 친환경 및 유기농법의 장점
(1) 건강한 먹이사슬
(2) 토양오염 예방
(3) 농약 피해 예방
4. 친환경 및 유기농법의 문제점과 대책
1) 문제점
2) 대책
3) 방향
Ⅲ. 나가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잘 자라기 때문에 안준다고 봐야지, 무조건 안준다는 얘기는 잘못된 것이다. 불용화 양분들을 미생물들이 분해해서 식물이 이용할 수 있는 양분으로 전화시켜 줌으로서 비료를 적게 주어도 된다는 말이다. 그리고 무농약 재배도 비료성분이 과잉되지 않고 섬유질이 많고 튼튼하게 자라서 벌레가 못 먹고 환경이 개선되어 병이 발생되지 못하기 때문에 농약을 안주는 것이다.
② 적지 선정이 잘 되어야 한다.
넓은 들 한복판에서 혼자 유기농업을 한다면 불가능한 이야기가 된다. 타농지와 경작관계에서 피해가 없어야 하고 농업용수가 자연수로 오염되지 않고 매연·분진·가스 등이 발생되지 않는 곳으로, 될 수 있으면 산 밑 외진 곳이 적지다.
③ 작목의 특성을 알아야 한다.
각 작물마다 온도와 수분, 영양흡수가 다 다르다. 양지쪽에 심을 작물, 습지에 심을 작물 등 특성을 알아야 한다.
④ 내병성이 강한 품종을 선택한다.
품질이 우수하면 병에 약하고 병해충에 강한 재래품종은 품질이 떨어진다. 우선 병이 발생하지 않아야 무농약 쪽으로 갈 수 있기 때문에 품질이 떨어지는 것은 유기농업으로 보완하면 된다.
⑤ 전후작의 관계를 고려하라.
한곳에서 동일 작목을 연작 생산하려면 대책을 세워야 한다. 태양열 이용의 하우스토양 처리법이나 충분한 담수, 객토, 흙뒤집기 등을 하여 염류집적을 막아야 한다. 작물간의 상호기피작용도 있어 무 심었던 곳에 토마토를 재배하면 역병이 발생하고 마늘이나 파 수확 후에 쪽파를 심으면 고자리가 먹고 알타리무 수확 후 셀러리를 심으면 다 죽어 버린다. 그와 반대로 잘되는 작물도 있다.
⑥ 물 사정이 좋아야 한다.
논이고 밭이고 물이 충분하지 못하면 순조로운 생육을 기대하기 어렵다. 가뭄의 피해는 토양의 붕소와 칼슘의 흡수를 저해하여 생리장해를 일으킨다. 오이의 꼬부라짐 현상, 고추 그을음, 토마토 배꼽썩음병, 배추 심부병 등 많은 질병 발생의 원인이 수분에 있는 것이다.
⑦ 병해충 발생 시기를 피하고 유인 및 기피현상을 이용하여 병해충 발생조건을 차단하라. 유기농업의 최선의 방법은 병해충의 최대 발생시기가 오기 전에 질소과잉을 피하고 튼튼하게 자라도록 모든 방법을 동원하는 것이다.
⑧ 생태계 천적을 보호하라.
해충과 익충(천적)을 구별하지 못하면 유기농업을 실천할 자격이 없는 사람이다. 식물성 식성으로 작물을 가해하는 것은 해충이고 그 벌레를 먹이로 하는 벌레는 천적이니 벌레라면 무조건 없어야 된다고 생각하는 개념을 버려야 한다. 점됫박벌레(무당벌레류)는 감자잎과 가지잎, 그리고 열매에까지도 피해를 주지만 왕무당벌레와 같이 등에 반점이 2, 4, 5, 7, 14개 있는 것들은 진딧물을 먹이로 하는 천적이다. 사람이 벌레를 잡느라 고생하느니보다는 벌레는 벌레끼리 싸우게 하는 것이 가장 편하고 효과적인 관리방법이다.
⑨ 미생물제제는 비료와 농약으로 생각하지 마라.
토양미생물제제는 미생물비료와 미생물농약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일반 비료나 농약과 같이 바로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토양미생물제제는 식물이 건강하게 하도록 하는 보약 같은 존재이면서 서서히 흙을 살리고 토양을 정화 하는데 이보다 더 좋은 방법은 없다.
⑩ 유용미생물은 효자이다.
유용미생물은 자연 생태계의 가장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며 자연의 모든 쓰레기를 분해하고 청소하며 흙을 깨끗하게 정화시키며 자연을 순환시키는 가장 큰 머슴이다.
Ⅲ. 나가며
농업은 기본적인 식량의 안전 공급이라는 본래 역할에 더해서 환경과 가장 조화된 산업으로서 물과 푸른 국토의 형성과 보전에도 공헌하고 있다. 최근 국민들의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으나 농업이 21세기를 향하여 이와 같은 역할을 충분히 발휘해서 국민이 안심하고 식생활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농촌의 아름다운 경관이나 넓은 공간에서 마음의 편안함을 얻을 수 있는 국토를 보존하는 것이 모든 국민의 책임과 의무라고 생각된다.
농업과 환경의 관계를 보면 화학비료, 농약 등의 다 투입이나 부적절한 사용 가축분뇨의 부적절한 처리가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생기고 있다. 환경오염과 생태계파괴는 환경파괴 그자체로 끝나지 않는다는데 문제가 심각하다. 환경파괴의 결과는 바로 인류에게 돌아온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에 대한 대처방법은 무엇인가? 한마디로 환경과 인류가 공존공생할 수 있는 지속적 농업으로 가야한다는 것이다. 그것은 결론적으로 말한다면 친환경 유기농업이다. 친환경 유기농업은 자연과 인류가 지속적인 공생의 길을 갈 수 있도록 하는 농업인 것이다. 즉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천연자원을 이용하여 비타민, 아미노산, 유기산, 당질과 같은 유기물질을 만들어 식물재배에 이용하는 유기영양설이 곧 친환경 유기농업이다. 친환경농업의 생산물은 현대과학영농의 생산물과 비교하여 그 모양이나 빛깔은 상품성이 뒤지기 마련이다. 그러나 우리(생산자, 소비자 모두)는 친환경농업에 대한 소비자들의 이해부족으로 인한 상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부족은 생산자의 경제성면에 타격을 주고 있지만 인류의 건강에 유익하고 지구의 환경을 살리는 농업은 친환경 유기농업이라는 점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참고문헌>
전현식(2014) 친환경농업 및 실습, 라이프사이언스
이태근(2003) 친환경농업의 이론과 실제, 흙살림
김정욱(2000) 새천년 환경위기와 생존 대안, 푸른 미디어
손상목(2007) 유기농업 참먹거리 생산의 이론과 기술, 향문사
손상목(2005) 환경 친화형 농업, 향문사
이효연(2004) 생태 유기농업, 삼성인쇄 주식회사
조익환, 지역별순환농업의 유형에 관한 연구, 대구대, 2003
농림부, 친환경농업 육성 5개년 계획, 2001
농민신문사, 디지털 농업, 2006
김창길, 친환경농업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전략과 추진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소, 2004
전태갑, 친환경농업 육성방안 연구, 전남대학교, 2000
농림부 http://www.maf.go.kr/
농진청홈페이지 http://www.maf.go.kr/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유기식품 관한 CODEX가이드라인 http://www.naqs.go.kr/
함양군청 http://www.hygn.go.kr/
② 적지 선정이 잘 되어야 한다.
넓은 들 한복판에서 혼자 유기농업을 한다면 불가능한 이야기가 된다. 타농지와 경작관계에서 피해가 없어야 하고 농업용수가 자연수로 오염되지 않고 매연·분진·가스 등이 발생되지 않는 곳으로, 될 수 있으면 산 밑 외진 곳이 적지다.
③ 작목의 특성을 알아야 한다.
각 작물마다 온도와 수분, 영양흡수가 다 다르다. 양지쪽에 심을 작물, 습지에 심을 작물 등 특성을 알아야 한다.
④ 내병성이 강한 품종을 선택한다.
품질이 우수하면 병에 약하고 병해충에 강한 재래품종은 품질이 떨어진다. 우선 병이 발생하지 않아야 무농약 쪽으로 갈 수 있기 때문에 품질이 떨어지는 것은 유기농업으로 보완하면 된다.
⑤ 전후작의 관계를 고려하라.
한곳에서 동일 작목을 연작 생산하려면 대책을 세워야 한다. 태양열 이용의 하우스토양 처리법이나 충분한 담수, 객토, 흙뒤집기 등을 하여 염류집적을 막아야 한다. 작물간의 상호기피작용도 있어 무 심었던 곳에 토마토를 재배하면 역병이 발생하고 마늘이나 파 수확 후에 쪽파를 심으면 고자리가 먹고 알타리무 수확 후 셀러리를 심으면 다 죽어 버린다. 그와 반대로 잘되는 작물도 있다.
⑥ 물 사정이 좋아야 한다.
논이고 밭이고 물이 충분하지 못하면 순조로운 생육을 기대하기 어렵다. 가뭄의 피해는 토양의 붕소와 칼슘의 흡수를 저해하여 생리장해를 일으킨다. 오이의 꼬부라짐 현상, 고추 그을음, 토마토 배꼽썩음병, 배추 심부병 등 많은 질병 발생의 원인이 수분에 있는 것이다.
⑦ 병해충 발생 시기를 피하고 유인 및 기피현상을 이용하여 병해충 발생조건을 차단하라. 유기농업의 최선의 방법은 병해충의 최대 발생시기가 오기 전에 질소과잉을 피하고 튼튼하게 자라도록 모든 방법을 동원하는 것이다.
⑧ 생태계 천적을 보호하라.
해충과 익충(천적)을 구별하지 못하면 유기농업을 실천할 자격이 없는 사람이다. 식물성 식성으로 작물을 가해하는 것은 해충이고 그 벌레를 먹이로 하는 벌레는 천적이니 벌레라면 무조건 없어야 된다고 생각하는 개념을 버려야 한다. 점됫박벌레(무당벌레류)는 감자잎과 가지잎, 그리고 열매에까지도 피해를 주지만 왕무당벌레와 같이 등에 반점이 2, 4, 5, 7, 14개 있는 것들은 진딧물을 먹이로 하는 천적이다. 사람이 벌레를 잡느라 고생하느니보다는 벌레는 벌레끼리 싸우게 하는 것이 가장 편하고 효과적인 관리방법이다.
⑨ 미생물제제는 비료와 농약으로 생각하지 마라.
토양미생물제제는 미생물비료와 미생물농약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일반 비료나 농약과 같이 바로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토양미생물제제는 식물이 건강하게 하도록 하는 보약 같은 존재이면서 서서히 흙을 살리고 토양을 정화 하는데 이보다 더 좋은 방법은 없다.
⑩ 유용미생물은 효자이다.
유용미생물은 자연 생태계의 가장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며 자연의 모든 쓰레기를 분해하고 청소하며 흙을 깨끗하게 정화시키며 자연을 순환시키는 가장 큰 머슴이다.
Ⅲ. 나가며
농업은 기본적인 식량의 안전 공급이라는 본래 역할에 더해서 환경과 가장 조화된 산업으로서 물과 푸른 국토의 형성과 보전에도 공헌하고 있다. 최근 국민들의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으나 농업이 21세기를 향하여 이와 같은 역할을 충분히 발휘해서 국민이 안심하고 식생활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농촌의 아름다운 경관이나 넓은 공간에서 마음의 편안함을 얻을 수 있는 국토를 보존하는 것이 모든 국민의 책임과 의무라고 생각된다.
농업과 환경의 관계를 보면 화학비료, 농약 등의 다 투입이나 부적절한 사용 가축분뇨의 부적절한 처리가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생기고 있다. 환경오염과 생태계파괴는 환경파괴 그자체로 끝나지 않는다는데 문제가 심각하다. 환경파괴의 결과는 바로 인류에게 돌아온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에 대한 대처방법은 무엇인가? 한마디로 환경과 인류가 공존공생할 수 있는 지속적 농업으로 가야한다는 것이다. 그것은 결론적으로 말한다면 친환경 유기농업이다. 친환경 유기농업은 자연과 인류가 지속적인 공생의 길을 갈 수 있도록 하는 농업인 것이다. 즉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천연자원을 이용하여 비타민, 아미노산, 유기산, 당질과 같은 유기물질을 만들어 식물재배에 이용하는 유기영양설이 곧 친환경 유기농업이다. 친환경농업의 생산물은 현대과학영농의 생산물과 비교하여 그 모양이나 빛깔은 상품성이 뒤지기 마련이다. 그러나 우리(생산자, 소비자 모두)는 친환경농업에 대한 소비자들의 이해부족으로 인한 상품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부족은 생산자의 경제성면에 타격을 주고 있지만 인류의 건강에 유익하고 지구의 환경을 살리는 농업은 친환경 유기농업이라는 점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참고문헌>
전현식(2014) 친환경농업 및 실습, 라이프사이언스
이태근(2003) 친환경농업의 이론과 실제, 흙살림
김정욱(2000) 새천년 환경위기와 생존 대안, 푸른 미디어
손상목(2007) 유기농업 참먹거리 생산의 이론과 기술, 향문사
손상목(2005) 환경 친화형 농업, 향문사
이효연(2004) 생태 유기농업, 삼성인쇄 주식회사
조익환, 지역별순환농업의 유형에 관한 연구, 대구대, 2003
농림부, 친환경농업 육성 5개년 계획, 2001
농민신문사, 디지털 농업, 2006
김창길, 친환경농업체제로의 전환을 위한 전략과 추진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소, 2004
전태갑, 친환경농업 육성방안 연구, 전남대학교, 2000
농림부 http://www.maf.go.kr/
농진청홈페이지 http://www.maf.go.kr/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유기식품 관한 CODEX가이드라인 http://www.naqs.go.kr/
함양군청 http://www.hygn.go.kr/
키워드
추천자료
- [작부체계]기상조건에 따른 세부권역별 친환경 작부체계의 개발
- [공업유기설계] 2011년도 1학기 공업유기화학 설계 과제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 과제6. PLA의...
- 혼합연령프로그램, 반편견 프로그램, 친환경 프로그램의
- [주택][전원주택][미래주택][친환경주택][환경공생주택][태양열주택]전원주택, 미래주택, 친...
- [농산물유통][농산물][유통]농산물유통의 정의, 농산물유통의 역할, 농산물유통과 산지유통, ...
- [농산물유통][농산물][유통]농산물유통의 개념, 농산물유통의 의의, 농산물유통의 변화, 농산...
- [농산물유통][산지유통]농산물유통의 기능, 농산물유통의 환경변화, 농산물유통의 산지유통, ...
- [열역학] 자동차 에어컨 설계[친환경적인 SC-12d 냉매를 이용한 자동차 에어컨 시스템 설계]
- <친환경농업 본시수업안> (고등2학년) 단원 : Ⅲ. 식생활 / 소단원 : 1. 식품의 특성과 선택 /...
- <친환경자동차> 친환경 자동차 개요, 친환경자동차의 역사, 친환경자동차 개발 배경, 친환경 ...
- 녹색산업의 성장,녹색보호주의의 동향-녹색산업 자유무역화,그린 비지니스,기업활동 녹색화,...
- [생활속의 자동차] 친환경 자동차
- 에코캠퍼스(녹색캠퍼스, 친환경캠퍼스)를 만들기 위한 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