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conference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 conferenc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정의
2.원인
3.증상
4.진단
5.치료와 간호
6.경과/합병증
7.예방방법

본문내용

다.
[ 환자는 걷을 수 없다. 보행을 시도하기 위해서 두명의 보조자가 필요하다.]

2. 한명 이상의 보조자가 보행 시 필요하다.
[ 환자는 최대한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3. 보행보조도구를 가져오거나 조작할 때 도움을 필요로 한다. 한 명의 보조자만 있어도 가능하다.
[ 환자는 walking aids를 가져오거나 모퉁이를 돌거나 문턱을 넘을 때 그리고 바닥면이 거칠 경우 도움을 필요로 하나 보행 가능하다.]

4. 환자는 독립적으로 보행가능하나 도움 없이 50m까지 걸을 수 없거나 위험한 상황에서의 안전을 위해 혹은 안정감을 제공하기 위해 감독관을 필요로 한다.
[ 환자는 언어적 지시나 감독을 필요로 하고 별 어려움 없는 거리라 할지라도 비교적 시간이 오래 걸린다.]

5. 환자는 필요하다면 brace를 착용할 수 있어야만 하며 그것을 잠그고 푸르며 선 자세 및 앉은 자세를 취하고 이러한 자세를 취하는데 필요한 도구들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환자는 crutch나 canes, walkerette(보행용 구두일종?) 등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도움이나 감독 없이 50m을 걸을 수 있어야만 한다.
[ 환자는 복도(corridor)의 앞/뒤 길이를 걸을 수 있다. 안전, 낙상 혹은 구불구불 (wandring)등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환자는 walker, cane, prosthesis, orthosis, special shoe등을 착용하고 독립적이다.]

만약 환자가 보행할 수 없거나 휠체어를 탄다면 점수는 매기지 말아라.
혹은 의자차 이동(Or Wheelchair)

1. 환자는 휠체어 이동 시 의존적이다.

2. 환자는 짧은 거리 스스로 평평한 바다에서 휠체어를 밀 수 있다. 그러나 휠체어를 다루는 모든 면에서 도움을 받아야 한다.
[ 대부분의 시간에 휠체어를 밀기 위해 도움을 받아야 하며, 특히 브레이크를 걸거나 armrests를 다루거나 쿠션 및 구조물을 조작하는데 있어, 그리고 나사를 조이거나 풀때 거친면을 다닐 때 도움을 필요로 한다.]

3. 환자에게 있어 한명의 보조자는 필수적이다. 테이블, 침대 등으로의 이동시 항상 보조자의 도움이 있어야만 한다.
[ 환자는 휠체어를 밀 수 있으나, 움직임이 제한 된 공간 같이 이동이 어려울 겨우 보조자를 필요로 한다.]

4. 환자는 규칙적으로 턱이 있는 곳을 스스로 적당한 시간동안 휠체어를 밀수 있다. 좁은 모퉁이와 같은 곳에서만 최소한의 도움이 필요하다.
[ 종종 언어적 지시가 필요로 되어지며 제한된 공간에서의 도움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5. 휠체어를 독립적으로 운전한다는 것은 모퉁이를 돌수 있어야하며 의자에서 테이블, 변기, 침대 등으로 이동이 가능해야하며 환자는 적어도 50m/yards를 밀고 갈 수 있어야만 한다.

만약 환자가 휠체어로 이동할 수 없다면 점수 베기지 말아라.

의자/침대에서의 이동 (Chair/bed transfers)

1. 이동에 참여할 수 없다. 두 명의 보조자가 기계적 도움이 있든 없든 환작 움직일 때 필요하다.

2. 참여할 수는 있으나 한 명의 다른 사람의 도움이 모든 면에 있어 필요하다.

3. 한사람의 도움이 이동시 필요하다. 도움은 이동의 어떤 면에서도 필요로 되어질 수 있다.

4.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 안전을 위한 감독 혹은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해 주기 위해서 이다.
[ sliding board를 대거나 footrest를 움직이거나 끼우기 혹은 자리를 잡거나 브레이크를 걸 수 있다. 최소한의 도움이 필요하다.]

5. 환자는 안전하게 휠체어를 침대로 가져가며, 브레이크를 걸고, 발판을 들어 안전하게 침대로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휠체어의 위치를 바꾸고, 안전하게 돌아서 그것으로의 이동을 할 수 있다. 환자는 그 활동의 모든 과정에서 독립적이다.
[ 환자는 walking이 이동의 형태라면 선 자세로 옮겨갈 수 있다. 만약 걷는다면 환자는 접근해서 앉고, 의자에서 일어서며 침대에서 의자로 옮겨가는 과정을 안전하게 수행한다. 욕조나 샤워실에 접근해서 들어가고 나올 수 있다. 환자는 soiding board, a lift, grab bar, 혹은 ,special seat를 사용할 수도 있다. 환자는 시간이 평균적으로 오래 걸리지만 작업을 위해서는 3번 이하의 시도로도 가능하다.]
다음의 표는 Modified Barthel Index의 점수 산출 방법이다.
항목
수행불가
상당한 도움필요
중간정도의 도움필요
최소한의 도움필요
완전히 독립적
몸치장하기
(Personal Hygiene)
0
1
3
4
5
목욕하기
(Bathing Self)
0
1
3
4
5
식사하기
(Feeding)
0
2
5
8
10
화장실 이동과 사용
(Toilet)
0
2
5
8
10
계단 이용
(Stair Climbing)
0
2
5
8
10
옷 입기
(Dressing)
0
2
5
8
10
대변조절
(Bowel control)
0
2
5
8
10
소변조절
(Bladder control)
0
2
5
8
10
걷기
(Ambulation)
0
3
8
12
15
혹은 휠체어*
(Or Wheelchair)
0
1
3
4
5
의자/침대에서의 이동 (Chair/bed transfers)
0
3
8
12
15

* 점수는 오직 환자가 보행이 불가능하고 휠체어로의 이동 및 조작만 할 경우에 매긴다.

다음의 표는 독립성을 산출한 표이다.
분류
MBI 점수합계
독립수준
주당 필요로 되는 도움의 시간
1
0-24
Total
27.0
2
25-49
Svere
23.5
3
50-74
Moderate
20.0
4
75-90
Mild
13.0
5
91-99
Minimal
<10.0

<간호과정>
간호진단#1: 근력 약화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주관적
자료
-“손에 힘이없다 좀 믹이도”
-“힘 없어서 이빨 마이 몬닦겠다 좀 시켜도”
객관적
자료
-진단명: cerebral infarction, Left hemiplesia
-손톱 밑에 때가 끼어있음
-일주일에 한 번 샤워를 함
-힘이 부족해 칫솔을 입에 한번 넣고 바로 빼심
-입에서 악취가 남
-음식을 드실 때 손이 많이 흔들리며 턱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7.10.03
  • 저작시기199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55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