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한과박물관 방문을 통해 한과를 알아가다
1. About '한과'
2. '한과' in 민속
Ⅲ. 한과축제 방문을 통해 한과의 세계화 방향을 생각하다
1. 세계 각국의 과자
2. 외국과자와 비교한 결과를 통해 얻은 한과의 장점
Ⅳ. 결론
Ⅴ. Appendix
Ⅱ. 한과박물관 방문을 통해 한과를 알아가다
1. About '한과'
2. '한과' in 민속
Ⅲ. 한과축제 방문을 통해 한과의 세계화 방향을 생각하다
1. 세계 각국의 과자
2. 외국과자와 비교한 결과를 통해 얻은 한과의 장점
Ⅳ. 결론
Ⅴ. Appendix
본문내용
다는 것을 활용하여 무방부제라는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한과의 아름다움만큼이나 예쁘고 뛰어난 영양만큼의 활용성이 좋은 포장용지를 개발하며, 한과의 축제를 좀 더 잘 알려지게 만드는 등 사람들에게 한과를 알리는 등 많은 세계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 세계화 방안을 활용하여 자랑스러운 우리나라의 전통과자 한과를 세계 속의 한과로 자리 매김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Ⅴ. Appendix
1. 한과체험을 바탕으로 구성한 따라하기 쉬운 한과 만들기
(1) 약과
1. 밀가루에 소금 후춧가루 참기름을 넣고 고루 비벼 체에 내린다.
2. 꿀에 생강즙, 청주를 고루 섞은 뒤 준비된 밀가루에 넣고 뭉치듯이 가볍게 반죽한다.
3. 약과판에 덧가루를 뿌리거나, 기름을 바른 뒤 반죽을 떼어 꼭꼭 눌러 박는다.
4. 약과판에 눌러낸 반죽을 기름에 떠오를 때까지(1차튀김) 충분히 튀긴 다음 갈색이 날 때까지(2차 튀김) 튀긴다.
5. 튀겨낸 약과는 뜨거울 때 바로 조청 시럽에 담근 뒤 단맛이 배변 망에 걸쳐놓고 식힌다.
(2) 유과(직접체험)
1. 찹쌀은 씻어 상온에서 7-10일 정도 항아리에 담아 천연발효를 한 뒤 깨끗이 씻어 빻아 체에 내린다.
2. 체에 내린 후 청주, 설탕, 콩물 조금씩 넣어 뭉쳐질 정도로 반죽을 하고 찜통에 쪄준다.
3. 다 쪄지면 꽈리가 일도록 힘껏 치댄 후, 얇게 밀어 0.6*3*0.5로 썰어 꾸덕꾸덕 말린다. 반죽을 치대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으로 인절미를 만들 때 찹쌀을 치대는 것처럼 치대면서 살짝 비스듬히 으깨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많이 치댈수록 나중에 유과를 튀길 때 많이 부풀어 오른다. 보통 유과를 만들어서 보관할 때 대량으로 만든 후 창고에 보관해 필요할 때 튀기는 작업부터 한다고 한다.
4. 딱딱하게 말린 반죽을 100℃정도의 낮은 온도에서 튀겨낸다. 일차 튀김은 굳은 반죽을 불리는 과정으로 작은 반죽이 기름에 떠오를 때 건져낸다.
5. 2차 튀김은 160℃의 높은 온도에서 튀겨낸다. 2차 튀김은 유과를 부풀리는 작업으로 1차로 튀길 때 보다 4배 이상 커진다. 2차 튀김은 모양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계속 젓가락으로 유과를 눌러주면서 동그랗게 만들어야한다. 이 단계는 날씨와 기온에 민감하기 때문에 날씨가 추운 날에는 많이 부풀지 않는다.
6. 마지막으로 조청을 따듯하게 뎁힌 후 유과를 골고루 묻혀준다. 조청은 밥풀과의 접착제 역할이기 때문에 꼼꼼하게 묻혀주어야 한다. 유과를 밥풀이 있는 곳에다 놓고 손으로 꼭꼭 눌러주면서 동글동글하게 만들어준다.
2. 이번 방문에 대한 우리조 친구들의 생각
(1)
이번에 한국민속문화사 수업을 들으면서 항상 들었던 생각은 민속이라는 것은 우리 민족의 정신이 담긴 전통이며 이러한 우리 민족의 전통을 세계적으로 알리는 방법이 없을까라는 생각이었다. 그래서 이번 탐방은 이와 같은 맥락에서 최근 이슈화 되고 있는 우리 먹거리의 세계화방향에 맞춰서 한과축제와 한과박물관을 탐방하였다. 특히 우리조는 동북아에 모여있는 한국, 중국, 일본 출신의 대학생이 모여있다는 점이 항상 탐방을 하는 동안 재미있는 일이었으며 한과에 대해서 좀 더 객관적이고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서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았다. 하지만 그래서 얻은 객관적인 현실은 우리나라 전통과자인 한과는 외국인들은 고사하고 우리나라 사람들조차 즐겨 찾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방문을 통해 얻은 세계화에 대한 몇가지 생각을 정리해 보자면 사실 한과가 만들기도 번거롭고 패스트푸드화가 되어있지 않아 접촉하기가 힘든 것도 사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문제는 한과의 우수한 보관성으로 해결 가능한 문제라고 생각했다. 한과는 보관이 어려운 떡과 달리 오랫동안 저장이 가능한 식품이다. 얼마든지 요즘 슈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과자와 같이 나오도록 하면서 다른 과자와는 달리 방부제가 들어가지 않음을 명시하며 한과만의 장점을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또한 유밀과류에 속하는 약과는 대표적으로 쉽게 찾을 수 있는 전통과자이며 남녀노소가 쉽게 즐기지만 다른 과자는 찾아보기 힘든점도 한과의 세계화를 막는 걸림돌이라고 생각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품을 다양화시키고 품질의 차별화를 두며 제조공정 시 기계화를 늘려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해야 할 것이다. 이번 한과박물관에서 한과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를 보면서 충분히 가능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한과의 아름다음을 표현해 줄 수 있는 고급스러운 포장도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특히 이번 박물관방문에서 청와대에 해외 국빈의 선물로 들어가는 한과는 포장부터 눈이가게 만들었기 때문에 이 요소도 상당히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이번 방문은 나에게 우리나라의 음식 그리고 우리나라에 문화에 대해서 좀 더 관심을 가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것은 일본친구 사토코와 중국친구 담월과 함께 다니면서 그들이 오히려 한국문화에 대해서 더 많이 관심을 가지고 체험해보았다는 것이 충격으로 다가왔기 때문이었다. 앞으로도 한과를 비롯하여 다양한 우리 전통문화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며 살아가겠다. 그리고 우리 한과의 세계화의 성공을 기원한다. 한과 파이팅! 한국 화이팅!
(2)
한과축제를 방문한 후 한과에 대해 많이 이해했다. 원래 한과는 약과와 유과 밖에 없다고 생각했는데 실은 254종이 있다고 했다. 직접 보니까 정말 신기하고 예술적이라고 생각 했다. 이번 발표 때문에 한과축제 2번이 갔다왔다. 첫 번에 그냥 남산 한옥마을 안에 있는 작은 전시회 보고 보다가 깜작놀라게 아주 예쁘게 예술품처럼 있는 것이 많았다. 다른면에서는 이 작가들이 정말 예술가 다고 생각했다. 두 번에 우리 직접 경기도에 있는 한과박물관 을 방문하고 한과를 만드는 체험을 했다. 만드는 과정이 좀 힘들지만 아주 재미있고 작기에 직접 만들기 때문에 더 맛이 있을 것 같다. 또는 한과박물관에서 여러 가지 나라의 있는 과자 또 봤다. 우리중국의 과자 보다 비슷한 것 있고 다른 것 또 있다. 한과는 아주 전통적인 특별한 식품이라고 생각했다. 제일 맛이는 것 한과를 뭔가 이냐면 저 개인 적으로 약과를 좋아한다. 유과 보다 너무 달콤하지않고 달콤한것
Ⅴ. Appendix
1. 한과체험을 바탕으로 구성한 따라하기 쉬운 한과 만들기
(1) 약과
1. 밀가루에 소금 후춧가루 참기름을 넣고 고루 비벼 체에 내린다.
2. 꿀에 생강즙, 청주를 고루 섞은 뒤 준비된 밀가루에 넣고 뭉치듯이 가볍게 반죽한다.
3. 약과판에 덧가루를 뿌리거나, 기름을 바른 뒤 반죽을 떼어 꼭꼭 눌러 박는다.
4. 약과판에 눌러낸 반죽을 기름에 떠오를 때까지(1차튀김) 충분히 튀긴 다음 갈색이 날 때까지(2차 튀김) 튀긴다.
5. 튀겨낸 약과는 뜨거울 때 바로 조청 시럽에 담근 뒤 단맛이 배변 망에 걸쳐놓고 식힌다.
(2) 유과(직접체험)
1. 찹쌀은 씻어 상온에서 7-10일 정도 항아리에 담아 천연발효를 한 뒤 깨끗이 씻어 빻아 체에 내린다.
2. 체에 내린 후 청주, 설탕, 콩물 조금씩 넣어 뭉쳐질 정도로 반죽을 하고 찜통에 쪄준다.
3. 다 쪄지면 꽈리가 일도록 힘껏 치댄 후, 얇게 밀어 0.6*3*0.5로 썰어 꾸덕꾸덕 말린다. 반죽을 치대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으로 인절미를 만들 때 찹쌀을 치대는 것처럼 치대면서 살짝 비스듬히 으깨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많이 치댈수록 나중에 유과를 튀길 때 많이 부풀어 오른다. 보통 유과를 만들어서 보관할 때 대량으로 만든 후 창고에 보관해 필요할 때 튀기는 작업부터 한다고 한다.
4. 딱딱하게 말린 반죽을 100℃정도의 낮은 온도에서 튀겨낸다. 일차 튀김은 굳은 반죽을 불리는 과정으로 작은 반죽이 기름에 떠오를 때 건져낸다.
5. 2차 튀김은 160℃의 높은 온도에서 튀겨낸다. 2차 튀김은 유과를 부풀리는 작업으로 1차로 튀길 때 보다 4배 이상 커진다. 2차 튀김은 모양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계속 젓가락으로 유과를 눌러주면서 동그랗게 만들어야한다. 이 단계는 날씨와 기온에 민감하기 때문에 날씨가 추운 날에는 많이 부풀지 않는다.
6. 마지막으로 조청을 따듯하게 뎁힌 후 유과를 골고루 묻혀준다. 조청은 밥풀과의 접착제 역할이기 때문에 꼼꼼하게 묻혀주어야 한다. 유과를 밥풀이 있는 곳에다 놓고 손으로 꼭꼭 눌러주면서 동글동글하게 만들어준다.
2. 이번 방문에 대한 우리조 친구들의 생각
(1)
이번에 한국민속문화사 수업을 들으면서 항상 들었던 생각은 민속이라는 것은 우리 민족의 정신이 담긴 전통이며 이러한 우리 민족의 전통을 세계적으로 알리는 방법이 없을까라는 생각이었다. 그래서 이번 탐방은 이와 같은 맥락에서 최근 이슈화 되고 있는 우리 먹거리의 세계화방향에 맞춰서 한과축제와 한과박물관을 탐방하였다. 특히 우리조는 동북아에 모여있는 한국, 중국, 일본 출신의 대학생이 모여있다는 점이 항상 탐방을 하는 동안 재미있는 일이었으며 한과에 대해서 좀 더 객관적이고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서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았다. 하지만 그래서 얻은 객관적인 현실은 우리나라 전통과자인 한과는 외국인들은 고사하고 우리나라 사람들조차 즐겨 찾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방문을 통해 얻은 세계화에 대한 몇가지 생각을 정리해 보자면 사실 한과가 만들기도 번거롭고 패스트푸드화가 되어있지 않아 접촉하기가 힘든 것도 사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문제는 한과의 우수한 보관성으로 해결 가능한 문제라고 생각했다. 한과는 보관이 어려운 떡과 달리 오랫동안 저장이 가능한 식품이다. 얼마든지 요즘 슈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과자와 같이 나오도록 하면서 다른 과자와는 달리 방부제가 들어가지 않음을 명시하며 한과만의 장점을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또한 유밀과류에 속하는 약과는 대표적으로 쉽게 찾을 수 있는 전통과자이며 남녀노소가 쉽게 즐기지만 다른 과자는 찾아보기 힘든점도 한과의 세계화를 막는 걸림돌이라고 생각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품을 다양화시키고 품질의 차별화를 두며 제조공정 시 기계화를 늘려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해야 할 것이다. 이번 한과박물관에서 한과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를 보면서 충분히 가능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한과의 아름다음을 표현해 줄 수 있는 고급스러운 포장도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특히 이번 박물관방문에서 청와대에 해외 국빈의 선물로 들어가는 한과는 포장부터 눈이가게 만들었기 때문에 이 요소도 상당히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이번 방문은 나에게 우리나라의 음식 그리고 우리나라에 문화에 대해서 좀 더 관심을 가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것은 일본친구 사토코와 중국친구 담월과 함께 다니면서 그들이 오히려 한국문화에 대해서 더 많이 관심을 가지고 체험해보았다는 것이 충격으로 다가왔기 때문이었다. 앞으로도 한과를 비롯하여 다양한 우리 전통문화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며 살아가겠다. 그리고 우리 한과의 세계화의 성공을 기원한다. 한과 파이팅! 한국 화이팅!
(2)
한과축제를 방문한 후 한과에 대해 많이 이해했다. 원래 한과는 약과와 유과 밖에 없다고 생각했는데 실은 254종이 있다고 했다. 직접 보니까 정말 신기하고 예술적이라고 생각 했다. 이번 발표 때문에 한과축제 2번이 갔다왔다. 첫 번에 그냥 남산 한옥마을 안에 있는 작은 전시회 보고 보다가 깜작놀라게 아주 예쁘게 예술품처럼 있는 것이 많았다. 다른면에서는 이 작가들이 정말 예술가 다고 생각했다. 두 번에 우리 직접 경기도에 있는 한과박물관 을 방문하고 한과를 만드는 체험을 했다. 만드는 과정이 좀 힘들지만 아주 재미있고 작기에 직접 만들기 때문에 더 맛이 있을 것 같다. 또는 한과박물관에서 여러 가지 나라의 있는 과자 또 봤다. 우리중국의 과자 보다 비슷한 것 있고 다른 것 또 있다. 한과는 아주 전통적인 특별한 식품이라고 생각했다. 제일 맛이는 것 한과를 뭔가 이냐면 저 개인 적으로 약과를 좋아한다. 유과 보다 너무 달콤하지않고 달콤한것
추천자료
프리젠테이션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과 향후방향
[분석/조사] 읽기교육
르네상스와 계몽주의의 역설 - 문학적 담론의 이중성
[과외]고등 국어 1-1학기 중간 예상문제 16
다문화가정의 부모와 아동에 대한 방안
지식경영의 개념, 종류, 필요성, 효과와 지식경영의 도입배경, 목적 및 국내 지식경영 적용
[한국사 과제] 조선 궁궐의 이해 - 경복궁 (景福宮)
초인지(상위인지, 메타인지)의 의미, 수학적 사고, 초인지(상위인지, 메타인지)와 초인지(상...
[다문화사회복지] 문화적 역량의 측정모형과 문화적 역량의 학습에 대한 이해
[중어중문학과] [한국사회문제D형] 서로 다른 사회적·문화적 가치가 한 지역 내에서 공존하는...
[한국사회문제D형] 서로 다른 사회적·문화적 가치가 한 지역 내에서 공존하는 문제가 왜 어렵...
진로교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