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문헌고찰
간호과정
임상검사 결과 의의
약물
간호진단
문헌고찰
간호과정
임상검사 결과 의의
약물
간호진단
본문내용
등의 위장 증상이나 흥분, 두통, 두중감의 증상이 나타나는 수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복용을 일시 중지한다.
3. 간혹 민감한 체질을 가진 사람은 피부발진 등의 과민반응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복용을 중지한다.
미노브이주
90mg/2ml
90mg/2ml
IV
1회
* 적응증 :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외상 후/ 수술 후 염증 및 동통, 급성통풍, 신 및 간상통
* 금기증 :
1. 소화성 궤양환자2. 심한 혈액이상 환자3. 심한 간장애 환자4. 심한 신장애 환자5. 심한 고혈압 환자6. 심한 심기능부전 환자7. 이 약의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8. 4주 미만의 신생아, 미숙아
9. 기관지 천식 환자10. 궤양성 대장염 환자11. 크론병 환자12. 식도통과장애 환자13. 고령자 및 어린이
* 주의사항 :
이 약은 각 환자의 치료 목적과 일치하도록 가능한 최단 기간동안 최소 유효용량으로 투여한다
태극아세클로페낙정 100mg
100mg
PO
2회
* 적응증 :
류마티스 관절염, 강직척추염, 골관절염, 및 견갑상완골의 관절주위염, 치통, 외상 후 생기는 염증, 요통, 좌골통, 비관절성 류머티즘으로 인한 통증
* 금기증 :
절대금기 - 위장관출혈, 위장관궤양, 임신, 중증신장질환
* 주의사항 :
임신부 - 동맥관 조기폐쇄와 유산의 위험성
진코라이프정 120mg
120mg
PO
2회
* 적응증 :
이명, 두통, 기억력 감퇴, 집중력 장애, 우울감, 어지러움 등의 치매성 증상을 수반하는 기질성 뇌기능장애의 치료
* 금기증 :
1. 이 약 및 이 약의 구성성분 또는 파라세타몰에 대해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2. 간부전 환자3. 중증 용혈성 빈혈환자4. 프로파세타몰에 감작되어 프로파세타몰에 과민반응이 있을 거라고 의심되는 환자(의료인 포함) 및 현재 접촉피부염이 있는 환자5. 소아6. 임신 초기의 임부
* 주의사항 :
1. 효소 유도체인 바르비탈계는 과량투여의 경우 독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2. 정상인에게서는 파라세타몰에 의해 유도된 신독성이 보고된 적이 없으나 신장애환자, 장기투여환자에게서는 신장기능을 주의깊게 관찰해야 한다.
마그밀정 500mg
500mg
PO
3회
* 적응증 :
1. 다음 질환의 제산작용 및 증상의 개선
- 위/십이지장궤양, 위염, 위산과다
2. 변비증
* 금기증 :
1. 신장애 환자(심한 신기능장애 환자에서 고마그네슘혈증이 나타날 수 있다.)2. 설사 환자
* 주의사항 :
마그네슘 중독증상이 나타나면 칼륨염을 주사한다.
뮤테란 캅셀 200mg
200mg
PO
3회
* 적응증 :
다음 질환에서의 객담배출 곤란
- 급/만성 기관지염, 기관지천식, 후두염, 부비동염, 낭성섬유종
* 금기증 :
1. 이 약 또는 이 약의 구성성분에 과민반응 환자2. 위.십이지장궤양 환자3. 2세 미만 영아
* 주의사항 :
1. 경구용 항생물질(아목시실린, 세푸록심, 독시사이클린, 에리트로마이신, 치암페니콜)과 함께 복용시 항생물질의 약효를 감소시킬 수 있다(적어도 2시간의 간격을 두고 투여한다).
2. 이 약의 용액에 다른 약물의 첨가는 피할 것.
하드칼츄어블정
200mg
PO
1회
* 적응증 :
칼슘결핍 및 칼슘보급을 필요로 하는 경우
* 금기증 :
1. 의사의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2. 과칼슘혈증(Hypercalciumia : 혈액중에 칼슘이 과잉으로 존재하는 상태)환자, 신질환 환자 3. 이 약 및 이 약에 포함된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4. 3세 미만의 유ㆍ소아
* 주의사항 :
1. 정해진 용법ㆍ용량을 잘 지킬 것
2. 어린이에게 투여할 경우에는 보호자의 지도ㆍ감독하에 투여한다.
그린관장약
30ml
1회
* 적응증 :
변비, 장 내용물의 배설
* 금기증 :
1. 장관의 천공 또는 그 의심이 있는 환자2. 장관내 출혈 환자3. 심한 전신쇠약 환자4. 심한 복통 또는 구역, 구토 환자
* 주의사항 :
1. 이 약은 관장에만 사용하고 내복하지 않는다.
2. 직장점막을 다칠 염려가 있으므로 신중히 삽입한다. 삽입시 손상을 일으켜 출혈이 나타난 경우 글리세린이 혈관내로 들어가 용혈을 일으킬 수 있다.
3.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투여하고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즉시 투여를 중지한다.
4. 사용잔액은 재사용하지 않고 버린다.
5.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간호진단 목록
문제번호
진단명(원인요소 진술 - 관련된 - 간호진단)
발생일
종료일
1
신체적 손상과 관련된 급성통증
4/19
-
2
부동과 관련된 변비
4/25
4/28
2) 간호과정 기록지
# 1. Nsg Dx : 신체적 손상과 관련된 급성통증 ( 4월 30일)
Subjective Data
4/30 15시
“허리랑 오른쪽 엉덩이가 시리면서 아파요. 약 좀 주세요”
Objective Data
NRS : 5 checked
얼굴을 찡그리고 계신다.
통증 호소하신다.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4/30 17시 통증 강도 3 check 된다.
long term goal
퇴원까지 통증 강도가 5 check 되지 않는다.
plan
V/S을 측정할 것이다
통증의 정도와 양상을 사정할 것이다.
이완요법을 통해 통증 완화를 유도 할 것이다.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 후 효과를 관찰 할 것이다.
evaluation
4/30 17시 NRS : 3 checked
# 2. Nsg Dx : 부동과 관련된 변비 ( 4월 28일)
Subjective Data
4/28 15시 “대변이 안 나와서 속이 불편해요”
Objective Data
4/25 입원하여 28일 현재(15시)까지 대변을 못 보심
부동 상태
하루 물 두잔 정도 마심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28일 안에 대변을 보신다.
long term goal
퇴원 시까지 변비가 생기지 않는다.
plan
충분한 수분 섭취하도록 교육할 것이다
고섬유성 식이 섭취하도록 교육할 것이다.
evaluation
4/28 19시 배변 300g 보시고 속이 편안해졌다고 말하셨다.
참고문헌
1.사람해부학 - 현문사
2.대한척추외과학회 사이트
3.약학정보원 사이트
4.자생한방병원 한방의학정보
5.성인간호학 상,하 - 현문사
3. 간혹 민감한 체질을 가진 사람은 피부발진 등의 과민반응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복용을 중지한다.
미노브이주
90mg/2ml
90mg/2ml
IV
1회
* 적응증 :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외상 후/ 수술 후 염증 및 동통, 급성통풍, 신 및 간상통
* 금기증 :
1. 소화성 궤양환자2. 심한 혈액이상 환자3. 심한 간장애 환자4. 심한 신장애 환자5. 심한 고혈압 환자6. 심한 심기능부전 환자7. 이 약의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8. 4주 미만의 신생아, 미숙아
9. 기관지 천식 환자10. 궤양성 대장염 환자11. 크론병 환자12. 식도통과장애 환자13. 고령자 및 어린이
* 주의사항 :
이 약은 각 환자의 치료 목적과 일치하도록 가능한 최단 기간동안 최소 유효용량으로 투여한다
태극아세클로페낙정 100mg
100mg
PO
2회
* 적응증 :
류마티스 관절염, 강직척추염, 골관절염, 및 견갑상완골의 관절주위염, 치통, 외상 후 생기는 염증, 요통, 좌골통, 비관절성 류머티즘으로 인한 통증
* 금기증 :
절대금기 - 위장관출혈, 위장관궤양, 임신, 중증신장질환
* 주의사항 :
임신부 - 동맥관 조기폐쇄와 유산의 위험성
진코라이프정 120mg
120mg
PO
2회
* 적응증 :
이명, 두통, 기억력 감퇴, 집중력 장애, 우울감, 어지러움 등의 치매성 증상을 수반하는 기질성 뇌기능장애의 치료
* 금기증 :
1. 이 약 및 이 약의 구성성분 또는 파라세타몰에 대해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2. 간부전 환자3. 중증 용혈성 빈혈환자4. 프로파세타몰에 감작되어 프로파세타몰에 과민반응이 있을 거라고 의심되는 환자(의료인 포함) 및 현재 접촉피부염이 있는 환자5. 소아6. 임신 초기의 임부
* 주의사항 :
1. 효소 유도체인 바르비탈계는 과량투여의 경우 독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2. 정상인에게서는 파라세타몰에 의해 유도된 신독성이 보고된 적이 없으나 신장애환자, 장기투여환자에게서는 신장기능을 주의깊게 관찰해야 한다.
마그밀정 500mg
500mg
PO
3회
* 적응증 :
1. 다음 질환의 제산작용 및 증상의 개선
- 위/십이지장궤양, 위염, 위산과다
2. 변비증
* 금기증 :
1. 신장애 환자(심한 신기능장애 환자에서 고마그네슘혈증이 나타날 수 있다.)2. 설사 환자
* 주의사항 :
마그네슘 중독증상이 나타나면 칼륨염을 주사한다.
뮤테란 캅셀 200mg
200mg
PO
3회
* 적응증 :
다음 질환에서의 객담배출 곤란
- 급/만성 기관지염, 기관지천식, 후두염, 부비동염, 낭성섬유종
* 금기증 :
1. 이 약 또는 이 약의 구성성분에 과민반응 환자2. 위.십이지장궤양 환자3. 2세 미만 영아
* 주의사항 :
1. 경구용 항생물질(아목시실린, 세푸록심, 독시사이클린, 에리트로마이신, 치암페니콜)과 함께 복용시 항생물질의 약효를 감소시킬 수 있다(적어도 2시간의 간격을 두고 투여한다).
2. 이 약의 용액에 다른 약물의 첨가는 피할 것.
하드칼츄어블정
200mg
PO
1회
* 적응증 :
칼슘결핍 및 칼슘보급을 필요로 하는 경우
* 금기증 :
1. 의사의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2. 과칼슘혈증(Hypercalciumia : 혈액중에 칼슘이 과잉으로 존재하는 상태)환자, 신질환 환자 3. 이 약 및 이 약에 포함된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자 4. 3세 미만의 유ㆍ소아
* 주의사항 :
1. 정해진 용법ㆍ용량을 잘 지킬 것
2. 어린이에게 투여할 경우에는 보호자의 지도ㆍ감독하에 투여한다.
그린관장약
30ml
1회
* 적응증 :
변비, 장 내용물의 배설
* 금기증 :
1. 장관의 천공 또는 그 의심이 있는 환자2. 장관내 출혈 환자3. 심한 전신쇠약 환자4. 심한 복통 또는 구역, 구토 환자
* 주의사항 :
1. 이 약은 관장에만 사용하고 내복하지 않는다.
2. 직장점막을 다칠 염려가 있으므로 신중히 삽입한다. 삽입시 손상을 일으켜 출혈이 나타난 경우 글리세린이 혈관내로 들어가 용혈을 일으킬 수 있다.
3.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투여하고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즉시 투여를 중지한다.
4. 사용잔액은 재사용하지 않고 버린다.
5. 간호과정 적용
1)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간호진단 목록
문제번호
진단명(원인요소 진술 - 관련된 - 간호진단)
발생일
종료일
1
신체적 손상과 관련된 급성통증
4/19
-
2
부동과 관련된 변비
4/25
4/28
2) 간호과정 기록지
# 1. Nsg Dx : 신체적 손상과 관련된 급성통증 ( 4월 30일)
Subjective Data
4/30 15시
“허리랑 오른쪽 엉덩이가 시리면서 아파요. 약 좀 주세요”
Objective Data
NRS : 5 checked
얼굴을 찡그리고 계신다.
통증 호소하신다.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4/30 17시 통증 강도 3 check 된다.
long term goal
퇴원까지 통증 강도가 5 check 되지 않는다.
plan
V/S을 측정할 것이다
통증의 정도와 양상을 사정할 것이다.
이완요법을 통해 통증 완화를 유도 할 것이다.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 후 효과를 관찰 할 것이다.
evaluation
4/30 17시 NRS : 3 checked
# 2. Nsg Dx : 부동과 관련된 변비 ( 4월 28일)
Subjective Data
4/28 15시 “대변이 안 나와서 속이 불편해요”
Objective Data
4/25 입원하여 28일 현재(15시)까지 대변을 못 보심
부동 상태
하루 물 두잔 정도 마심
간호 계획
short term goal
28일 안에 대변을 보신다.
long term goal
퇴원 시까지 변비가 생기지 않는다.
plan
충분한 수분 섭취하도록 교육할 것이다
고섬유성 식이 섭취하도록 교육할 것이다.
evaluation
4/28 19시 배변 300g 보시고 속이 편안해졌다고 말하셨다.
참고문헌
1.사람해부학 - 현문사
2.대한척추외과학회 사이트
3.약학정보원 사이트
4.자생한방병원 한방의학정보
5.성인간호학 상,하 - 현문사
키워드
추천자료
[체육대]-스포츠마사지 교정운동법
[논문] 추간판 탈출증
임상촬영검사의 의의와분석
척수 손상자의 특성과 신체이동 동작
결핵성 척추염
노인 REPORT
Spinal Cord Injury(척수손상)
흉부건강사정
골다공증 노인 케이스
국시자료 - 보장구학과의지학이론, 보조기학의 입문, 하지 보조기, 상지 보조기, 척추 보조기
[의학] 목 디스크 [경추간판 탈출증]에 대해서
척수신경장애 조사
[성인간호학][척추염][Tuberculosis spondylitis ]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동서협진과 CASE] 두개내출혈 후 우측반신부전마비 골다공증 여환 1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