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목차
1. 문헌고찰---------------------------------------------- 3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0
3. 간호사정---------------------------------------------- 10
① 간호력----------------------------------------------------- 10
② 검사결과--------------------------------------------------- 13
③ 약물-------------------------------------------------------- 19
④ NANDA 분류체계에 의한 간호 사정 도구-------------- 29
4. 우선순위 설정---------------------------------------- 36
5. 주·객관적 자료---------------------------------------- 37
6. 간호과정----------------------------------------------- 41
7. 참고 문헌---------------------------------------------- 51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0
3. 간호사정---------------------------------------------- 10
① 간호력----------------------------------------------------- 10
② 검사결과--------------------------------------------------- 13
③ 약물-------------------------------------------------------- 19
④ NANDA 분류체계에 의한 간호 사정 도구-------------- 29
4. 우선순위 설정---------------------------------------- 36
5. 주·객관적 자료---------------------------------------- 37
6. 간호과정----------------------------------------------- 41
7. 참고 문헌---------------------------------------------- 51
본문내용
가 : 호흡성 알칼리증, 대사성 알칼리증
감소 : 호흡성 산증, 대사성 산증
PCO2
47.8▲
35~45mmHg
증가 : 호흡성 산증(C02 배출저하)
감소 : 호흡성 알칼리증(과호흡)
PO2
75▼
80~100mmHg
감소 : 60mmhg이하 Hb의 산소 운반능력 저하, 조직의 산소방출, 만성 저산소혈증, 고탄산증, 고 체온증
BE
12.8▲
-2~+2mmol/L
증가 : 대사성 알칼리증
감소 : 대사성 산증
HCO3-
36.5▲
22~26mmol/L
증가 : 호흡성 알칼리증, 대사성 알칼리증
감소 : 호흡성 산증, 대사성 산증
CO2ct
38▲
23~27mmol/L
증가 : 호흡성 산증
감소 : 호흡성 알칼리증
O2sat
97~100%
감소 : 95%이하 저산소증
이산화탄소분압 상승, 산소분압 저하는 호흡성 산증과 저산소혈증의 징후이다 대상자의 상태가 악화될 수록 호흡수는 감소하고, 이산화탄소분압은 증가하기 시작한다.
3. 체위 변화에 따라 산소화의 상태가 변하는지 사정할 것이다.
3. (SN,RN). 체위 변화에 따라 산소화의 상태가 변하는지 사정하였다.
- 대상자에 좌위, 반좌위, 앙와위, 측위를 각각취하여 pulse oxymetery로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였다.
좌위-99%
반좌위-98%
앙와위-89%
우측위-83%
좌측위-97%
(SN)2시간마다 체위 변경을 하였다.
- 좌위, 측위, 반좌위를 번갈아 가며 체위변경하고 대상자에게 오른쪽으로 돌아누우면 산소공급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우측위는 피할 것을 설명하였다.
폐 영역의 가장 손상된 위치로 누워 있는 자세는 환기와 관류의 불균형을 유발한다.
상체를 세운 자세는 증가된 흉곽 용적과 완전히 하강하는 횡경막을 가능하게 하며 복부 내용물의 과팽창을 예방한다.
체위변경은 분비물 움직임과 배액 그리고 무기폐 감소를 돕는다.
4. 산소마스크를 매일 24시간동안 적용할 것이다.
(RN)산소마스크를 매일 24시간동안 적용하였다.
Venturi Mask 50% 15L를 24시간동안 적용하였다.
(SN)산소투여가 잘 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 2시간 마다 Venturi Mask의 호기 공기가 빠져나가는 구멍이 잘 열려 있는지 확인 하였다.
- 매일 산소유량계의 멸균증류수가 적정선 까지 차 있는지 확인하고 부족할 시 적정선 까지 채워 넣었다.
적절한 수준의 산소분압을 유지하기 위해 산소공급이 필요 할 수 있다.
Venturi Mask는 일정한 농도의 산소를 대상자에 맞게 공급 할 수 있다.
호기 공기가 빠져 나가는 구멍이 막혀 있다면 대상자가 질식할 위험성이 있다.
5. 처방된 약물을 투여 할 것 이다.
(RN)처방된 약물을 투여 하였다.
lasix - 이뇨제
CTX neoplate - 항암제
CTX gemzar - 항암제
codein phospate - 기침 진정
Augmentin - 항염증제
codaewon - 진해거담제
Entelon - 부종 치료제
(SN)처방된 약을 대상자가 복용하였는지 매 복용 시 마다 확인하였다.
- 대상자가 약물을 복용하지 않았을 시 약물복용을 도와주고 약물복용의 중요성을 설명해주어 격려 해 주었다.
상대정맥 증후군 증상 감소를 위해 이뇨제를 투여한다.
심장으로의 정맥 귀환량을 증가시켜 조직의 가스교환을 증진시킨다.
6. 매일 2시간에 한번 객담배출을 도울 것이다.
(RN,SN)매일 2시간에 한번 객담배출을 도왔다.
-습도높이기, 수분섭취, 기침법 교육하기
(RN)대상자의 효과적인 기침능력을 사정하였다.
→ 통증으로 인한 효과적 기침능력 부족
(RN)효과적인 기침방법을 교육하였다.
- “앉은 자세에서 복부에 배게를 대고 숨을 크게 들이쉬고 배에 힘을 줌과 동시에 공기를 뱉어 내세요.”
(RN)객담의 양상(색, 양, 농도)을 사정하고 기록하였다.
→ 갈색~붉은색, 1~2cc, 진한농도
(SN)대상자가 효과적인 기침을 잘 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객담배출을 위한 수화를 적용하였다.
- 습도높이기
정체된 기도 분비물은 가스교환을 제한한다.
불충분한 수화는 분비물을 제거하는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수분과잉은 대상자에게 위험할 수 있으므로 적당한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및 재 계획
목표
계획
중재 및 합리적 근거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신체요구량보다 적음
<장기 목표>
대상자는 한 달 이내에 혈액 검사결과 RBC가 정상범위 내에 있다.(3.78~4.99)
<단기 목표>
1. 대상자는 5일 이내에 하루 식사 횟수가 2회 이상이다.
2.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입맛이 돌아왔다고 말한다.
3. 대상자는 5일 이내 albumin 수치가 정상 범위 내에 있다.(3.1~5.2)
4.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체중이 70kg이상이다.
1. 매일 같은 시간에 체중과 키를 측정할 것이다.
1. (SN)매일 같은 시간에 체중을 측정하였다.
날짜(9AM)
키(CM)
체중(Kg)
11/10
169.8
68.4
11/11
169.8
68.4
11/12
169.8
69
11/13
169.8
69.3
11/14
169.8
69.8
11/15
169.8
70.1
신체계측 사정은 대상자의 칼로리와 영양 요구파악을 위해 필요하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5일 이내에 하루 식사 횟수가 2회 이상이다.=달성
2.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입맛이 돌아왔다고 말한다.=“입맛이 조금 돌아왔어” 달성
3. 대상자는 5일 이내 albumin 수치가 정상 범위 내에 있다. (3.1~5.2)=달성
4.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체중이 70kg이상이다.=달성
<장기목표>
대상자는 한 달 이내에 혈액 검사결과 RBC가 정상범위 내에 있다.(3.78~4.99)=측정 불가
2. 혈청 알부민수치를 모니터 할 것이다.
2. (RN)혈청 알부민수치를 모니터 하였다.
11/13
11/14
11/15
정상수치
임상적 의의
albumin
2.68▼
2.96▼
3.25▲
3.1~5.2 g/dl
증가: 탈수증, 간염회복기
감소: 신증후군, 중증간질환, 영양실조, 흡수불량
혈청 알부민, 트렌스페린, RBC와 WBC, 혈청 전해질 값을 모니터한다.
혈청 알부민은 단백질 소모의 정도를 나타낸다. 트렌스페린은 철분전달에 중요한 혈장 단백질이며 단백질 혈청이 감
감소 : 호흡성 산증, 대사성 산증
PCO2
47.8▲
35~45mmHg
증가 : 호흡성 산증(C02 배출저하)
감소 : 호흡성 알칼리증(과호흡)
PO2
75▼
80~100mmHg
감소 : 60mmhg이하 Hb의 산소 운반능력 저하, 조직의 산소방출, 만성 저산소혈증, 고탄산증, 고 체온증
BE
12.8▲
-2~+2mmol/L
증가 : 대사성 알칼리증
감소 : 대사성 산증
HCO3-
36.5▲
22~26mmol/L
증가 : 호흡성 알칼리증, 대사성 알칼리증
감소 : 호흡성 산증, 대사성 산증
CO2ct
38▲
23~27mmol/L
증가 : 호흡성 산증
감소 : 호흡성 알칼리증
O2sat
97~100%
감소 : 95%이하 저산소증
이산화탄소분압 상승, 산소분압 저하는 호흡성 산증과 저산소혈증의 징후이다 대상자의 상태가 악화될 수록 호흡수는 감소하고, 이산화탄소분압은 증가하기 시작한다.
3. 체위 변화에 따라 산소화의 상태가 변하는지 사정할 것이다.
3. (SN,RN). 체위 변화에 따라 산소화의 상태가 변하는지 사정하였다.
- 대상자에 좌위, 반좌위, 앙와위, 측위를 각각취하여 pulse oxymetery로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였다.
좌위-99%
반좌위-98%
앙와위-89%
우측위-83%
좌측위-97%
(SN)2시간마다 체위 변경을 하였다.
- 좌위, 측위, 반좌위를 번갈아 가며 체위변경하고 대상자에게 오른쪽으로 돌아누우면 산소공급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우측위는 피할 것을 설명하였다.
폐 영역의 가장 손상된 위치로 누워 있는 자세는 환기와 관류의 불균형을 유발한다.
상체를 세운 자세는 증가된 흉곽 용적과 완전히 하강하는 횡경막을 가능하게 하며 복부 내용물의 과팽창을 예방한다.
체위변경은 분비물 움직임과 배액 그리고 무기폐 감소를 돕는다.
4. 산소마스크를 매일 24시간동안 적용할 것이다.
(RN)산소마스크를 매일 24시간동안 적용하였다.
Venturi Mask 50% 15L를 24시간동안 적용하였다.
(SN)산소투여가 잘 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 2시간 마다 Venturi Mask의 호기 공기가 빠져나가는 구멍이 잘 열려 있는지 확인 하였다.
- 매일 산소유량계의 멸균증류수가 적정선 까지 차 있는지 확인하고 부족할 시 적정선 까지 채워 넣었다.
적절한 수준의 산소분압을 유지하기 위해 산소공급이 필요 할 수 있다.
Venturi Mask는 일정한 농도의 산소를 대상자에 맞게 공급 할 수 있다.
호기 공기가 빠져 나가는 구멍이 막혀 있다면 대상자가 질식할 위험성이 있다.
5. 처방된 약물을 투여 할 것 이다.
(RN)처방된 약물을 투여 하였다.
lasix - 이뇨제
CTX neoplate - 항암제
CTX gemzar - 항암제
codein phospate - 기침 진정
Augmentin - 항염증제
codaewon - 진해거담제
Entelon - 부종 치료제
(SN)처방된 약을 대상자가 복용하였는지 매 복용 시 마다 확인하였다.
- 대상자가 약물을 복용하지 않았을 시 약물복용을 도와주고 약물복용의 중요성을 설명해주어 격려 해 주었다.
상대정맥 증후군 증상 감소를 위해 이뇨제를 투여한다.
심장으로의 정맥 귀환량을 증가시켜 조직의 가스교환을 증진시킨다.
6. 매일 2시간에 한번 객담배출을 도울 것이다.
(RN,SN)매일 2시간에 한번 객담배출을 도왔다.
-습도높이기, 수분섭취, 기침법 교육하기
(RN)대상자의 효과적인 기침능력을 사정하였다.
→ 통증으로 인한 효과적 기침능력 부족
(RN)효과적인 기침방법을 교육하였다.
- “앉은 자세에서 복부에 배게를 대고 숨을 크게 들이쉬고 배에 힘을 줌과 동시에 공기를 뱉어 내세요.”
(RN)객담의 양상(색, 양, 농도)을 사정하고 기록하였다.
→ 갈색~붉은색, 1~2cc, 진한농도
(SN)대상자가 효과적인 기침을 잘 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객담배출을 위한 수화를 적용하였다.
- 습도높이기
정체된 기도 분비물은 가스교환을 제한한다.
불충분한 수화는 분비물을 제거하는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수분과잉은 대상자에게 위험할 수 있으므로 적당한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및 재 계획
목표
계획
중재 및 합리적 근거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신체요구량보다 적음
<장기 목표>
대상자는 한 달 이내에 혈액 검사결과 RBC가 정상범위 내에 있다.(3.78~4.99)
<단기 목표>
1. 대상자는 5일 이내에 하루 식사 횟수가 2회 이상이다.
2.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입맛이 돌아왔다고 말한다.
3. 대상자는 5일 이내 albumin 수치가 정상 범위 내에 있다.(3.1~5.2)
4.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체중이 70kg이상이다.
1. 매일 같은 시간에 체중과 키를 측정할 것이다.
1. (SN)매일 같은 시간에 체중을 측정하였다.
날짜(9AM)
키(CM)
체중(Kg)
11/10
169.8
68.4
11/11
169.8
68.4
11/12
169.8
69
11/13
169.8
69.3
11/14
169.8
69.8
11/15
169.8
70.1
신체계측 사정은 대상자의 칼로리와 영양 요구파악을 위해 필요하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5일 이내에 하루 식사 횟수가 2회 이상이다.=달성
2.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입맛이 돌아왔다고 말한다.=“입맛이 조금 돌아왔어” 달성
3. 대상자는 5일 이내 albumin 수치가 정상 범위 내에 있다. (3.1~5.2)=달성
4.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체중이 70kg이상이다.=달성
<장기목표>
대상자는 한 달 이내에 혈액 검사결과 RBC가 정상범위 내에 있다.(3.78~4.99)=측정 불가
2. 혈청 알부민수치를 모니터 할 것이다.
2. (RN)혈청 알부민수치를 모니터 하였다.
11/13
11/14
11/15
정상수치
임상적 의의
albumin
2.68▼
2.96▼
3.25▲
3.1~5.2 g/dl
증가: 탈수증, 간염회복기
감소: 신증후군, 중증간질환, 영양실조, 흡수불량
혈청 알부민, 트렌스페린, RBC와 WBC, 혈청 전해질 값을 모니터한다.
혈청 알부민은 단백질 소모의 정도를 나타낸다. 트렌스페린은 철분전달에 중요한 혈장 단백질이며 단백질 혈청이 감
키워드
추천자료
폐렴 Pneumonia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호흡
간호학과 pre eclampsia (자간전증) 간호과정 ppt 발표 A+★ 그림자료多
뇌경색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 모두이루어져있습니다. 간호진단은 2개내려...
위암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간호진단은 3개로 구성됩...
[아동간호학] 고위험신생아 case study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신경외과 hemiparesis 간호과정 case study
[지역사회간호학] Chapter2. 지역사회 간호과정 요약 정리
정신간호학 bipolar disorder (양극성장애)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case] 간암 대상자 간호과정 케이스 case study - 간세포성 암종 (Hepatocellula...
정신간호학 우울증(depression disorder)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 TTN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케이스 간호과정
모성 전치태반 케이스 및 간호과정, 간호진단 3개 case study
[성인간호학A+] 대동맥박리 대상자의 간호과정 (ICU) CASE STUDY
모성간호A+ [자궁근종(myoma of uterus)-간호과정(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