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문화와 재료, 민족성과 상관관계가 있는가 [동양, 서양]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식문화와 재료, 민족성과 상관관계가 있는가 [동양, 서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동양과 서양의 음식문화
3. 동양과 서양의 나라별 음식문화
4. 결론

본문내용

누린내를 없애고 그 맛을 북돋아 주는 것으로 충분하다. 향신료는 식물의 씨앗이나 껍질, 열매, 뿌리 등으로 후추, 생강, 고추와 같이 특정한 맛(여기서는 매운맛)을 지니기도 하지만 대개는 맛보다는 특유의 향을 내기 위해 사용한다. 또한 고기와 유제품에는 지방도 상당히 들어 있다. 게다가 서양에서는 요리할 때 기름과 지방을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지미또한 맛을 증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서양에서는 향신료를 써서 고기의 맛을 북돋우는 요리가 발달하게 되었으며 향신료 산지인 인디아와 인도네시아의 말루카제도는 서양인들의 향신료 각축장이 되기도 하였다.
역사적으로 볼 때 향신료가 유럽인들의 미각을 지배했던 시기는 11세기와 17세기 사이, 즉 십자군 원정으로 유럽 밖의 나라에 대한 관심이 일기 시작할 때부터 17세기 네덜란드와 영국인들의 동인도회사 설립으로 식민지 정복이 종결될 때까지이다. 17세기 이후 향신료는 흔한 것이 되었으며 세계 무역품에서 최고의 위치를 상실하였다. 유럽인들의 미각은 후추를 맵게 친 음식에 더 이상 매혹되지 않았으며,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듯이 향신료의 사용이 완화된 형태로 바뀌게 되었다. 즉 이국적인 향신료보다는 그 지역의 허브와 몇 가지 향신료로 맛을 내는 방식으로 바뀌게 되었다.
3) 식사도구에 따른 음식문화 구분
식사문화를 도구에 따라 구분하면 크게 젓가락 문화권, 포크와 나이프문화권, 수식문화권으로 대별된다. 숟가락 혹은 이와 유사한 도구는 모든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전통적으로 중국·한국·일본·베트남은 젓가락 문화권, 유럽·러시아·북미·중남미는 포크와 나이프 문화권에 속한다. 인디아·동남아시아·중동·아프리카에서는 수식을 한다,
① 수식문화권 - 열대기후 지역
음식을 먹을 때 손으로 먹는 문화권으로 세계 인구의 40%를 차지하며, 인도,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아프리카 및 오세아니아 지역 등이다. 가장 큰 이유는 기후 때문으로 보고 있다. 즉 열대기후에 사는 사람들은 모든 음식을 식혀 먹어야 했고 그 때문에 뜨거운 음식을 즐겨 먹는 추운 지방과는 달리 도구의 사용이 불필요 했던 것이다. 또한 이들 지역의 주식은 찰기 없는 쌀로 지은 밥 혹은 물기가 없는 납작한 빵으로 손으로 먹기에 불편함이 없기 때문이다. 또다른 이유는 손으로 음식을 집어 먹을 때 느끼는 ‘촉감의 맛’을 즐기기 때문이다. 이슬람교 또는 힌두교의 종교를 가진 지역에서는 반드시 오른손으로 먹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엄격한 수식매너가 있다. 오른손은 신성시 하여 화장실에서 용변 후 왼손을 사용한다. 중세 유럽의 상류층에서도 큰 그릇에 담긴 음식물을 손으로 마구 먹거나, 가장이나 어른이 음식을 개인에게 나누어 주면 손으로 먹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② 젓가락 식 문화권 - 동아시아-쌀문화권
음식을 먹을 때 젓가락을 사용하는 문화권으로 세계인구의 30%를 차지하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대만, 일본, 베트남 등 유교 문화권에 속하는 나라들이다.
젓가락은 3000~5000년 중국에서 발명되었다. 중국어로 콰이즈라고 하는데, 쾌()는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5.26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15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