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팝아트?
1) 팝아트의 개념
2) 팝아트의 등장배경
3) 팝아트의 특성
2. 팝아트의 작가와 작품
1) 팝아트의 본고장 '영국'
2) 팝아트의 성장지 '미국'
3) 변화하는 팝아트 ‘중국’
4) 한국의 팝아트
Ⅲ. 결론
Ⅱ. 본론
1. 팝아트?
1) 팝아트의 개념
2) 팝아트의 등장배경
3) 팝아트의 특성
2. 팝아트의 작가와 작품
1) 팝아트의 본고장 '영국'
2) 팝아트의 성장지 '미국'
3) 변화하는 팝아트 ‘중국’
4) 한국의 팝아트
Ⅲ. 결론
본문내용
입술을 반쯤 벌리고 애처로운 눈빛을 한 여자 캐릭터가 들어간 만화는 미국인들의 향수를 자극하는 ‘흘러간 옛날 문화’를 반영한 것이다. 이것은 마치 박수근의 그림 속, 아기 업은 소녀가 한국인의 감성을 자극하듯, 이 이미지는 미국인들 감성을 건드린다.
↖봐, 미키(Look Mickey, 1961), ↑꽝!(Whaam! 1963)
←행복한 눈물(Happy Tears, 1964)
(3)앤디 워홀[Andy Warhol, 1928.8.6~1987.2.22]네이버 백과사전,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siatiger/30096878931
<영상>앤디 워홀 관련 영상
http://www.tagstory.com/video/video_post.aspx?media_id=V000398725&feed=NV
앤디 워홀은 미국 팝아트의 선구자로 ‘팝의 교황’, ‘팝의 디바’로 불린다. 그는 미술뿐만 아니라 영화, 광고, 디자인 등 시각예술 전반에서 혁명적인 변화를 주도하였다. 살아있는 동안 이미 전설이었으며 현대미술의 대표적인 아이콘으로 통한다.
그는 수프 깡통이나 코카콜라 병, 달러지폐, 유명인의 초상화 등을 실크스크린 판화기법으로 제작하였다. 그가 선택한 작품 주제는 대중잡지의 표지나 슈퍼마켓의 진열대 위에 있는 것으로 그는 그것을 그의 스튜디오인 \'팩토리(The Factory)\'에서 조수들과 함께 대량 생산하였다.
죽음이후 현재까지도 그의 명성은 계속 이어지고 있으며, 그의 작품의 가격은 미술작품 중 최고를 기록한다. 상업미술과 순수미술의 경계를 허물고 팝아트에서 새로운 모습을 보인 그의 모습은 후에 많은 인물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스스로 기계이기를 원했던 워홀은 기계와 같은 미술을 만들어 냈고 기계를 통해 무한히 복제되는 세계 속에서 그의 이미지도 그의 명성과 함께 증식을 거듭하고 있다. 그의 작품은 아직도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이며 세계를 돌며 전시중이다.
여덟 명의 엘비스(Eight Elvises, 1963)
약 1억 달러로 거래된 이 그림은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한 워홀의 그림이다. 개인적으로 거래된 이 사실은 영국 경제 전문지인 이코노미스트의 기사를 통해 알려졌다. 이코노미스트는 미술 시장의 주도자로서 워홀의 지위를 설명한 것이다. 1억 달러라는 가격은 잭슨 폴락, 파블로 피카소, 구스타프 클림트와 윌렘 드 쿠닝만이 기록한 기준 가격이다.
◀여덟 명의 엘비스(Eight Elvises, 1963)
그는 1962년, LA 피러스(Ferus) 갤러리에서 팝아트 데뷔를 갖고, 같은 해 11월 뉴욕 스테블 갤러리(Stable Gallery)에서 전시회를 열었다. 거기에서 마릴린 먼로 두 폭(Marilyn Diptych), 100개의 수프 통조림, 100개의 코카콜라병, 100 달러의 지폐를 전시했다.
▲마릴린 먼로 두 폭(Marilyn Diptych), 100개의 수프 통조림, 100개의 코카콜라병, 100달러의 지폐
워홀에 대해 말하는 대부분의 평론가나 미술사가들은 워홀 작품의 특성과 예술에 대한 태도, 이념을 다음 몇 가지로 요약한다. 물론 그와 같이 요약된 워홀의 작품과 예술적 이념의 특성은 관점에 따라 다소의 가감은 있으나 큰 틀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다.
먼저, 주제나 소재를 콜라 병, 수프 등의 일상적이고 비개성적인 사물과 대중적인 스타, 매스미디어에 오르내리는 사건, 사고, 죽음과 최후의 만찬 같은 옛 대가들의 걸작 등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것들에서 택했다.
둘째, 제작방법으로 기계적인 생산 방식인 실크스크린을 택했다. 그것은 누가 제작했는지 밝히기가 어렵기 때문에 익명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기계적인 생산 방식이기 때문에 무수한 복제가 가능하다.
셋째, 이미지의 처리방식은 사진의 단편성과 비서술적 성격을 이용해 변형했다. 그리고 이미지를 반복 나열함으로써 이미지가 가지는 개성, 충격, 감동 등을 제거해 무감각, 냉담한 상태로 이끌었다.
넷째, 제작과정에서 보조자를 채용하고, 작품에 타인의 아이디어를 받아들여 전통적인 예술가의 권위에 도전했다.
다섯째, 워홀은 예술도 비즈니스의 일종이라는 것을 명확히 인식하고 예술의 상업적 성격을 직시했다. 즉 예술작품을 상품의 차원으로 끌어내리고 자신이 이미지 생산자임을 말과 행동에 밝혔다.
여섯째, 실크스크린에 의한 평면 작업뿐만 아니라 영화, 잡지. 심지어 유선 방송까지 활동영역을 넓혀 예술 활동이 한 부분에 국한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예술의 대중화와 대중적인 예술의 가능성을 실천적으로 타진한 것이다. 빈아트갤러리: http://binart.com/?document_srl=558
3) 변화하는 팝아트 ‘중국’ http://blog.naver.com/arcadium?Redirect=Log&logNo=80116659081, http://artria.net/150038913725
2006년부터 시작해서 최근 몇 년간 국제 미술시장에서 중국현대미술작품은 놀라운 가격으로 경매되었으며, 이러한 중국현대미술의 중심에는 ‘중국 팝아트’가 있다. 중국에서는 사회주의를 반영한 작품만 예술로 받아들여지다가, 문화대혁명이후 ‘85신조미술운동’이 일어나면서 중국의 현대미술이 도래되었고, 중국의 팝아트는 앤디워홀의 중국방문과 1985년 라우센버스의 베이징전시회를 계기로 시작되었다.
중국 팝아트는 서양 팝아트와는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는데 바로 ‘정치적 팝아트’라는 점이다. 이러한 차이가 나타난 이유는 팝아트는 소비주의와 영상시대를 표현하는 예술인만큼 팝아트가 생산되고 발전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소비문화의 발전되어야 하는데, 당시의 중국은 소비와 대중매체에 대한 의식이 부족한데다, 중국의 예술가들도 팝아트를 기존의 규범을 깨뜨린다는 것과 관념을 표현 할 수 있다는 가독성을 갖는다는 측면에서 바라봤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의 팝아트는 새로움을 추구하는 것과 과거 이데올로기적 체험(혁명시대의 역사적 표상이나 기호 등)을 더한 것으로 팝아트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변이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1)왕광이[王廣義, Wang Guangyi, 1957~]
중국에서 처음으로 팝아트를 시도한 예술가로서 장샤오강, 위에민
↖봐, 미키(Look Mickey, 1961), ↑꽝!(Whaam! 1963)
←행복한 눈물(Happy Tears, 1964)
(3)앤디 워홀[Andy Warhol, 1928.8.6~1987.2.22]네이버 백과사전,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siatiger/30096878931
<영상>앤디 워홀 관련 영상
http://www.tagstory.com/video/video_post.aspx?media_id=V000398725&feed=NV
앤디 워홀은 미국 팝아트의 선구자로 ‘팝의 교황’, ‘팝의 디바’로 불린다. 그는 미술뿐만 아니라 영화, 광고, 디자인 등 시각예술 전반에서 혁명적인 변화를 주도하였다. 살아있는 동안 이미 전설이었으며 현대미술의 대표적인 아이콘으로 통한다.
그는 수프 깡통이나 코카콜라 병, 달러지폐, 유명인의 초상화 등을 실크스크린 판화기법으로 제작하였다. 그가 선택한 작품 주제는 대중잡지의 표지나 슈퍼마켓의 진열대 위에 있는 것으로 그는 그것을 그의 스튜디오인 \'팩토리(The Factory)\'에서 조수들과 함께 대량 생산하였다.
죽음이후 현재까지도 그의 명성은 계속 이어지고 있으며, 그의 작품의 가격은 미술작품 중 최고를 기록한다. 상업미술과 순수미술의 경계를 허물고 팝아트에서 새로운 모습을 보인 그의 모습은 후에 많은 인물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스스로 기계이기를 원했던 워홀은 기계와 같은 미술을 만들어 냈고 기계를 통해 무한히 복제되는 세계 속에서 그의 이미지도 그의 명성과 함께 증식을 거듭하고 있다. 그의 작품은 아직도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이며 세계를 돌며 전시중이다.
여덟 명의 엘비스(Eight Elvises, 1963)
약 1억 달러로 거래된 이 그림은 가장 높은 가격을 기록한 워홀의 그림이다. 개인적으로 거래된 이 사실은 영국 경제 전문지인 이코노미스트의 기사를 통해 알려졌다. 이코노미스트는 미술 시장의 주도자로서 워홀의 지위를 설명한 것이다. 1억 달러라는 가격은 잭슨 폴락, 파블로 피카소, 구스타프 클림트와 윌렘 드 쿠닝만이 기록한 기준 가격이다.
◀여덟 명의 엘비스(Eight Elvises, 1963)
그는 1962년, LA 피러스(Ferus) 갤러리에서 팝아트 데뷔를 갖고, 같은 해 11월 뉴욕 스테블 갤러리(Stable Gallery)에서 전시회를 열었다. 거기에서 마릴린 먼로 두 폭(Marilyn Diptych), 100개의 수프 통조림, 100개의 코카콜라병, 100 달러의 지폐를 전시했다.
▲마릴린 먼로 두 폭(Marilyn Diptych), 100개의 수프 통조림, 100개의 코카콜라병, 100달러의 지폐
워홀에 대해 말하는 대부분의 평론가나 미술사가들은 워홀 작품의 특성과 예술에 대한 태도, 이념을 다음 몇 가지로 요약한다. 물론 그와 같이 요약된 워홀의 작품과 예술적 이념의 특성은 관점에 따라 다소의 가감은 있으나 큰 틀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다.
먼저, 주제나 소재를 콜라 병, 수프 등의 일상적이고 비개성적인 사물과 대중적인 스타, 매스미디어에 오르내리는 사건, 사고, 죽음과 최후의 만찬 같은 옛 대가들의 걸작 등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것들에서 택했다.
둘째, 제작방법으로 기계적인 생산 방식인 실크스크린을 택했다. 그것은 누가 제작했는지 밝히기가 어렵기 때문에 익명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기계적인 생산 방식이기 때문에 무수한 복제가 가능하다.
셋째, 이미지의 처리방식은 사진의 단편성과 비서술적 성격을 이용해 변형했다. 그리고 이미지를 반복 나열함으로써 이미지가 가지는 개성, 충격, 감동 등을 제거해 무감각, 냉담한 상태로 이끌었다.
넷째, 제작과정에서 보조자를 채용하고, 작품에 타인의 아이디어를 받아들여 전통적인 예술가의 권위에 도전했다.
다섯째, 워홀은 예술도 비즈니스의 일종이라는 것을 명확히 인식하고 예술의 상업적 성격을 직시했다. 즉 예술작품을 상품의 차원으로 끌어내리고 자신이 이미지 생산자임을 말과 행동에 밝혔다.
여섯째, 실크스크린에 의한 평면 작업뿐만 아니라 영화, 잡지. 심지어 유선 방송까지 활동영역을 넓혀 예술 활동이 한 부분에 국한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예술의 대중화와 대중적인 예술의 가능성을 실천적으로 타진한 것이다. 빈아트갤러리: http://binart.com/?document_srl=558
3) 변화하는 팝아트 ‘중국’ http://blog.naver.com/arcadium?Redirect=Log&logNo=80116659081, http://artria.net/150038913725
2006년부터 시작해서 최근 몇 년간 국제 미술시장에서 중국현대미술작품은 놀라운 가격으로 경매되었으며, 이러한 중국현대미술의 중심에는 ‘중국 팝아트’가 있다. 중국에서는 사회주의를 반영한 작품만 예술로 받아들여지다가, 문화대혁명이후 ‘85신조미술운동’이 일어나면서 중국의 현대미술이 도래되었고, 중국의 팝아트는 앤디워홀의 중국방문과 1985년 라우센버스의 베이징전시회를 계기로 시작되었다.
중국 팝아트는 서양 팝아트와는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는데 바로 ‘정치적 팝아트’라는 점이다. 이러한 차이가 나타난 이유는 팝아트는 소비주의와 영상시대를 표현하는 예술인만큼 팝아트가 생산되고 발전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소비문화의 발전되어야 하는데, 당시의 중국은 소비와 대중매체에 대한 의식이 부족한데다, 중국의 예술가들도 팝아트를 기존의 규범을 깨뜨린다는 것과 관념을 표현 할 수 있다는 가독성을 갖는다는 측면에서 바라봤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의 팝아트는 새로움을 추구하는 것과 과거 이데올로기적 체험(혁명시대의 역사적 표상이나 기호 등)을 더한 것으로 팝아트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변이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1)왕광이[王廣義, Wang Guangyi, 1957~]
중국에서 처음으로 팝아트를 시도한 예술가로서 장샤오강, 위에민
추천자료
:: Culture & Talk : 예술과 공학 사이
미술교육계의 동향 ( 미술에서 시각예술로, 미술교과의 새로운 내용모색)
낭만주의 시대의 예술
20세기 이후에 나타난 예술사조와 미용경향
바자렐리, 천재적 예술가~
영화 `올드보이`의 예술적접근
2006년 2학기 의생활계획과경영 중간시험과제물B형(현대예술과패션스타일)
2006년 2학기 의생활계획과경영 중간시험과제물A형(현대예술과패션스타일)
2006년 2학기 의생활계획과경영 중간시험과제물C형(현대예술과패션스타일)
과학과 철학의 만남_과학과 예술의 공약 가능성
[공공미술과도시환경] 한국형 공공미술의 실제와 전망 - 공공미술 사례분석(안양공공예술프로...
무라카미 다카시-오타쿠의 미학,일본전통회화,오타쿠 문화의 특징,무라카미 다카시는 예술기업론
(청주대)총체예술의 이해 사이버시험 족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