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한국 사회의 초상
1) 우상숭배
2) 사대주의와 멸시가 공존하는 사회
3) 아직도 폭력이 충만한 사회
4) 역사 속의 교훈들
2. 대학, 한국사회의 축소판
3. 민족주의인가 국가주의인가
4. 인종주의와 대한민국
맺은말
본론
1. 한국 사회의 초상
1) 우상숭배
2) 사대주의와 멸시가 공존하는 사회
3) 아직도 폭력이 충만한 사회
4) 역사 속의 교훈들
2. 대학, 한국사회의 축소판
3. 민족주의인가 국가주의인가
4. 인종주의와 대한민국
맺은말
본문내용
민족이라고 생각하면서 그들의 호의를 돌보아줄 사람은 몇이나 될는지 생각이나 해 보았는가? 이는 지금까지 한국의 민족주의가 얼마나 허구적이었는가를 보여주는 \'혈통주의를 부정한 재외동포법\'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재외동포법\'에 따르면, 1948년 정부 수립 이전에 외국으로 이주한 동포들을 \'재외동포\'의 개념에서 제외하므로 중국, 구소련, 무국적 재일 동포들이 법적으로 \'동포\'의 지위를 얻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이는 중국 동포들을 ‘재미동포’와 같이 \'재중동포\'라고 부르지 않고, \'조선족\'이라고 부르는 것인지 무엇이 다른 점인지 알지 못했었는데, 실정법으로 그들이 이토록 의도적으로 배제당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전혀 몰랐던 것이다.
그는 자신과 같은 외국인을 이질시하고 중국 동포의 배제 또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며 ‘재미교포’는 가깝게 느끼는 \'한국적 자기 민족 중심주의\'의 유형을 근대화 과정에서 형성된 배제와 통제의 방법인 \'국가주의적 민족중심주의\'라 말하기까지 한다. 이는 우리가 얼마나 폐쇄적이고 닫혀 있는 국가인지를 단적으로 나타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가지 지적할 점은 국가주의인 \'민족주의\'와 분단을 마치고 통일로 나아갈 \'민족주의\'는 다르다는 점이다. 둘 모두 민족주의지만 본질적으로 외국군의 주둔과 분단이라는 우리의 특수한 상황에서 민족주의는 아직도 우리에게 중요한 가치관의 하나인 것이다.
4. 인종주의와 대한민국
그는 마지막으로 인종주의를 지적했다. 그의 말대로 대부분의 학원과 학교에서 백인이 아닌 외국인 영어교사를 접한 적이 없었고 왠지모르게 백인은 어색할 뿐이지만 흑인이나 그 외의 외국인은 더럽고 위험하다는 생각을 나 역시 은연중에 지니고 있었다. 내가 사는 곳은 이곳 경기도 안산이다. 안산에는 여러개의 공업단지가 있는데 이곳에는 유독 아랍계와 중국 노동자들이 많이 있다. 안산역 주변에 가면 그들을 심심치않게 볼 수 있는데 그들을 볼 때마다 알 수 없이 괜히 거리감이 느껴졌고 가까이 다가서기가 꺼렸던 것이 사실이다. 또한 한밤에 그들을 볼 때면 왠지 무서워 발걸음을 빨리 했던 것이 사실이었다.
꼭 그러려고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상하게도 내게 그들과 얼굴을 맡대야 하는 상황이 오면 나도 어쩔 수 없으니 이것이 바로 차별적인 인종주의가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과연 나는 얼마나 잘난 놈이길래..... 과연 내가 이 뿌리깊은 \'인종주의\'의 편견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까, 민족이라는 굴레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까?? 자신이 없다. 그래서는 안된돠고 머릿속에서 외치고 있지만 나의 모습은 그렇지 않다. 외국인과 우리가 무엇이 다르고 백인과 흑인의 차이가 무엇이냐며 그래서는 안된다고 생각하는 나의 \'의식\' 저편에 그들과 마주하면 왠지모르게 그들을 피하게 되는 \'무의식\'이 있기 때문이다. 다시 한번 나를 뒤돌아보고 반성해야 할 때이다. 그들이나 나나 인종이나 태어난 나라가 다른 것이지 인간 자체가 다른 것은 아니지 않은가??
지금 중국이나 베트남 등지의 동아시아에서는 한류열풍이 불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는 이에 어
이러한 \'재외동포법\'에 따르면, 1948년 정부 수립 이전에 외국으로 이주한 동포들을 \'재외동포\'의 개념에서 제외하므로 중국, 구소련, 무국적 재일 동포들이 법적으로 \'동포\'의 지위를 얻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이는 중국 동포들을 ‘재미동포’와 같이 \'재중동포\'라고 부르지 않고, \'조선족\'이라고 부르는 것인지 무엇이 다른 점인지 알지 못했었는데, 실정법으로 그들이 이토록 의도적으로 배제당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전혀 몰랐던 것이다.
그는 자신과 같은 외국인을 이질시하고 중국 동포의 배제 또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며 ‘재미교포’는 가깝게 느끼는 \'한국적 자기 민족 중심주의\'의 유형을 근대화 과정에서 형성된 배제와 통제의 방법인 \'국가주의적 민족중심주의\'라 말하기까지 한다. 이는 우리가 얼마나 폐쇄적이고 닫혀 있는 국가인지를 단적으로 나타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가지 지적할 점은 국가주의인 \'민족주의\'와 분단을 마치고 통일로 나아갈 \'민족주의\'는 다르다는 점이다. 둘 모두 민족주의지만 본질적으로 외국군의 주둔과 분단이라는 우리의 특수한 상황에서 민족주의는 아직도 우리에게 중요한 가치관의 하나인 것이다.
4. 인종주의와 대한민국
그는 마지막으로 인종주의를 지적했다. 그의 말대로 대부분의 학원과 학교에서 백인이 아닌 외국인 영어교사를 접한 적이 없었고 왠지모르게 백인은 어색할 뿐이지만 흑인이나 그 외의 외국인은 더럽고 위험하다는 생각을 나 역시 은연중에 지니고 있었다. 내가 사는 곳은 이곳 경기도 안산이다. 안산에는 여러개의 공업단지가 있는데 이곳에는 유독 아랍계와 중국 노동자들이 많이 있다. 안산역 주변에 가면 그들을 심심치않게 볼 수 있는데 그들을 볼 때마다 알 수 없이 괜히 거리감이 느껴졌고 가까이 다가서기가 꺼렸던 것이 사실이다. 또한 한밤에 그들을 볼 때면 왠지 무서워 발걸음을 빨리 했던 것이 사실이었다.
꼭 그러려고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상하게도 내게 그들과 얼굴을 맡대야 하는 상황이 오면 나도 어쩔 수 없으니 이것이 바로 차별적인 인종주의가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과연 나는 얼마나 잘난 놈이길래..... 과연 내가 이 뿌리깊은 \'인종주의\'의 편견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까, 민족이라는 굴레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까?? 자신이 없다. 그래서는 안된돠고 머릿속에서 외치고 있지만 나의 모습은 그렇지 않다. 외국인과 우리가 무엇이 다르고 백인과 흑인의 차이가 무엇이냐며 그래서는 안된다고 생각하는 나의 \'의식\' 저편에 그들과 마주하면 왠지모르게 그들을 피하게 되는 \'무의식\'이 있기 때문이다. 다시 한번 나를 뒤돌아보고 반성해야 할 때이다. 그들이나 나나 인종이나 태어난 나라가 다른 것이지 인간 자체가 다른 것은 아니지 않은가??
지금 중국이나 베트남 등지의 동아시아에서는 한류열풍이 불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는 이에 어
키워드
추천자료
[인문과학] 당신들의 천국 - 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감상문
대한민국 희망보고서 유한킴벌리
대한민국 희망보고서 유한킴벌리를 읽고
한홍구의 대한민국사를 읽고(1.2.3 전편)
대한민국 헌법을 읽자!
2010년 대한민국 트랜드를 읽고
[독후감,독서감상문,레포트]어머니 저는 해냈어요
엄마를 부탁해 독후감, 서평 [신경숙의엄마를부탁해]엄마를부탁해독후감[엄마를부탁해서평][...
[문학과 인간의 이해] 당신들의 천국을 읽고 _ 이청준 저
[올해최신A+) 안철수의 생각 [안철수의생각서평][안철수의생각독후감][안철수의생각독서감상...
당신들의 천국 _ 이청준 저
한홍구의 <대한민국사3> 요약 및 감상 _ 한홍구 저
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