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희망보고서 한국형 생활 모델 : “삶의 혁명! 4일 근무, 4일 휴식”
희망보고서 한국형 조직 모델 : “육체노동자를 지식노동자로 만드는 회사”
희망보고서 한국형 경영 모델 : “나눔과 상생의 아름다운 공동체”
희망보고서 한국형 성장 모델 : “대한민국 모두가 행복해지는 법”
3.결론
2.본론
희망보고서 한국형 생활 모델 : “삶의 혁명! 4일 근무, 4일 휴식”
희망보고서 한국형 조직 모델 : “육체노동자를 지식노동자로 만드는 회사”
희망보고서 한국형 경영 모델 : “나눔과 상생의 아름다운 공동체”
희망보고서 한국형 성장 모델 : “대한민국 모두가 행복해지는 법”
3.결론
본문내용
4일 휴식”
유한킴벌리는 IMF 경제 위기를 인력 감축 없이 넘겼다. 어떻게 해서 그럴 수 있었는가. 바로 4조 2교대제란 시스템이 있었기 때문이다. 4조 2교대란 두 조가 12시간씩 근무하고 맞교대하는 동안 나머지 두 조는 휴식을 취하고, 그 다음에는 쉬고 있던 두 조가 작업에 투입되고 이전에 근무한 조는 쉬는 시스템이다. 이렇게 하면 근로자들은 4일 일하고 4일 쉬게 된다. 편해 보이는 시스템이지만 기업의 입장에서 수익이 창출될 수 있을지 의문이 가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명백히 4조 2교대제로도 수익이 창출되고 있다. 더군다나 기존의 것 보다 더 많은 수익이 창출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4조 2교대제가 도입되기까지도 우여곡절이 많았다. 지금 내가 생각하는 것처럼 기존에 듣도 보도 못한 시스템에 대해 노조는 의문을 품었고, 해고를 하기 위한 수순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파업을 강행했다. 또한 4조 2교대제를 하게 되면 근무시간이 줄어 초과근무를 했을 때 받게 되는 수당을 받지 못한다는 것에 대해 초과근무를 하여 몸을 혹사시켜서라도 한 푼 더 벌겠다는 근로자들이 많아 4교대제는 그대로 막힐 뻔 했다. 그러는 가운데 IMF 위기가 찾아오고 다른 기업에서 인력 감축을 하기 시작했다. 이에 노조는 다시 생각을 바꿔 4조 2교대제를 받아들였다. 이로 인해 다른 기업들이 인력 감축을 할 때 유한킴벌리에서는 4조 2교대제를 꾸려나갈 새로운 인력을 증원하게 되었다.
이 시스템으로 기존의 근로자 감원이 예방되고, 새로운 근로자를 증원하여 공장 가동일 수가 늘어나 생산량이 증가한다. 또, 단순히 생산량이 늘어난 것에 그치지 않고 근로자들이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있기 때문에 불량품이 줄어드는 등 제품의 질이 향상되었다.
뿐만 아니라 4교대제로 여유롭게 일할 수 있어서 초과근무와 과로에 시달리던 근로자들이 휴식과 함께 자기계발의 기회를 갖게 되었다. 그로인해 전체적으로 직원들의 수준이 향상되었다. 어느 근로자의 “3조 3교대제에 비하면 현재의 근무방식은 우리 근로자들에게는 혁명입니다.” 라는 말이 딱 인 것 같다. 이것은 모두 새로운 시스템 도입을 두고 기업과 직원들 사이의 첨예한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 끈질기게 노력하여 4조2교대제를 도입해 ‘인간 중심 경영’을 이루어낸 결과이다.
이제는 적은 임금 주고 많은 노동시키는 관습은 바뀌어야 한다.
나도 대학을 졸업하고 여느 학생들처럼 취업을 하게 되면 끝없는 목표를 향해 여유 없이
유한킴벌리는 IMF 경제 위기를 인력 감축 없이 넘겼다. 어떻게 해서 그럴 수 있었는가. 바로 4조 2교대제란 시스템이 있었기 때문이다. 4조 2교대란 두 조가 12시간씩 근무하고 맞교대하는 동안 나머지 두 조는 휴식을 취하고, 그 다음에는 쉬고 있던 두 조가 작업에 투입되고 이전에 근무한 조는 쉬는 시스템이다. 이렇게 하면 근로자들은 4일 일하고 4일 쉬게 된다. 편해 보이는 시스템이지만 기업의 입장에서 수익이 창출될 수 있을지 의문이 가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명백히 4조 2교대제로도 수익이 창출되고 있다. 더군다나 기존의 것 보다 더 많은 수익이 창출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4조 2교대제가 도입되기까지도 우여곡절이 많았다. 지금 내가 생각하는 것처럼 기존에 듣도 보도 못한 시스템에 대해 노조는 의문을 품었고, 해고를 하기 위한 수순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파업을 강행했다. 또한 4조 2교대제를 하게 되면 근무시간이 줄어 초과근무를 했을 때 받게 되는 수당을 받지 못한다는 것에 대해 초과근무를 하여 몸을 혹사시켜서라도 한 푼 더 벌겠다는 근로자들이 많아 4교대제는 그대로 막힐 뻔 했다. 그러는 가운데 IMF 위기가 찾아오고 다른 기업에서 인력 감축을 하기 시작했다. 이에 노조는 다시 생각을 바꿔 4조 2교대제를 받아들였다. 이로 인해 다른 기업들이 인력 감축을 할 때 유한킴벌리에서는 4조 2교대제를 꾸려나갈 새로운 인력을 증원하게 되었다.
이 시스템으로 기존의 근로자 감원이 예방되고, 새로운 근로자를 증원하여 공장 가동일 수가 늘어나 생산량이 증가한다. 또, 단순히 생산량이 늘어난 것에 그치지 않고 근로자들이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있기 때문에 불량품이 줄어드는 등 제품의 질이 향상되었다.
뿐만 아니라 4교대제로 여유롭게 일할 수 있어서 초과근무와 과로에 시달리던 근로자들이 휴식과 함께 자기계발의 기회를 갖게 되었다. 그로인해 전체적으로 직원들의 수준이 향상되었다. 어느 근로자의 “3조 3교대제에 비하면 현재의 근무방식은 우리 근로자들에게는 혁명입니다.” 라는 말이 딱 인 것 같다. 이것은 모두 새로운 시스템 도입을 두고 기업과 직원들 사이의 첨예한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 끈질기게 노력하여 4조2교대제를 도입해 ‘인간 중심 경영’을 이루어낸 결과이다.
이제는 적은 임금 주고 많은 노동시키는 관습은 바뀌어야 한다.
나도 대학을 졸업하고 여느 학생들처럼 취업을 하게 되면 끝없는 목표를 향해 여유 없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