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하여
2.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를 규명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하여
2.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를 규명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된 대학수학능력 시험이 높은 수준의 타당도를 확보했다면, 다년간의 걸쳐 진행된 대학수학능력 시험도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둘. 타당도가 낮다고 해서 신뢰도 또한 반드시 낮은 것은 아니고, 오히려 신뢰도는 높게 나타날 수 있다. 2016년 실시된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타당도가 낮다고 할 때, 여러 해에 걸쳐 진행된 모든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신뢰도가 낮다고 볼 수 없는데, 그 이유는 2016년을 제외한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타당도가 높게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셋. 신뢰도가 높게 나타난다고 해서 타당도도 꼭 높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오히려 타당도가 낮게 나타날 수도 있다.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신뢰도가 높게 나온다 할지라도, 특정 년도에 실시된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타당도가 낮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넷. 신뢰도가 낮게 나타난다면, 타당도는 결코 높게 나타날 수 없다. 국내에서 실시된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신뢰도가 터무니 없이 낮다면, 국내에서 실시된 모든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타당도는 낮게 나타날 수 밖에 없다.
Ⅲ. 결론
타당도와 신뢰도는 사회복지조사 결과의 가치를 입증하고 그 효용성을 따지는데 있어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생각한다. 객관적으로 수치화되기 힘든 사회문제를 다루는 사회복지조사에 있어 정당성과 유용성 문제는 항상 불거질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타당도와 신뢰도는 사회복지 영역에 있어 항상 중요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 생각하게 되었다.
Ⅳ. 참고자료
사회 과학도를 위한 신뢰도reliability 와 타당도validity 김재욱 저 | 貿易經營社 | 2002
둘. 타당도가 낮다고 해서 신뢰도 또한 반드시 낮은 것은 아니고, 오히려 신뢰도는 높게 나타날 수 있다. 2016년 실시된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타당도가 낮다고 할 때, 여러 해에 걸쳐 진행된 모든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신뢰도가 낮다고 볼 수 없는데, 그 이유는 2016년을 제외한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타당도가 높게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셋. 신뢰도가 높게 나타난다고 해서 타당도도 꼭 높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오히려 타당도가 낮게 나타날 수도 있다.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신뢰도가 높게 나온다 할지라도, 특정 년도에 실시된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타당도가 낮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넷. 신뢰도가 낮게 나타난다면, 타당도는 결코 높게 나타날 수 없다. 국내에서 실시된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신뢰도가 터무니 없이 낮다면, 국내에서 실시된 모든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타당도는 낮게 나타날 수 밖에 없다.
Ⅲ. 결론
타당도와 신뢰도는 사회복지조사 결과의 가치를 입증하고 그 효용성을 따지는데 있어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생각한다. 객관적으로 수치화되기 힘든 사회문제를 다루는 사회복지조사에 있어 정당성과 유용성 문제는 항상 불거질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타당도와 신뢰도는 사회복지 영역에 있어 항상 중요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 생각하게 되었다.
Ⅳ. 참고자료
사회 과학도를 위한 신뢰도reliability 와 타당도validity 김재욱 저 | 貿易經營社 | 200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