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기능주의적 입장
2) 갈등주의적 입장
3. 결론
2. 본론
1) 기능주의적 입장
2) 갈등주의적 입장
3. 결론
본문내용
느껴졌다. 기능주의는 사회가 유기체와 같아서 알아서 잘 기능하고, 갈등이 없는 사회가 좋은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 사회가 개인들의 합보다 커서 사회 전체의 존속을 중요시 하는 이론이다. 이는 반대로 말하면 사회를 위해서 개인들이 희생되어도 묵인할 수도 있다는 말처럼 들렸다. 기능주의자들의 입장이 맞다면, 자본주의 사회 내에서 갑과 을의 관계는 생겨나지 않을 것이고 생겨난다고 하더라도 개인들이 그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불만을 가지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그런 사회는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 사회에 사는 많은 사람들은 기득권자들이 가진 자본과 권력에 불만이 있다. 갈등주의자들에 따르면 명문대학교와 직업 교육을 위한 대학교에서 가르치는 내용에 차이가 있다고 한다. 교육에서조차 지배자와 피지배자를 이미 상정해놓고 교육 커리큘럼을 제시한다는 것에서 교육도 갈등주의적 입장에서 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학창시절 학원 하나 안다니며 공부를 정말 열심히 하는 친구를 본적이 있다. 그 친구는 공부하는 요령이 없어서 결국 요령이 있었던 다른 친구가 더 좋은 대학에 갔다. 그 요령이란 한국사회에서는 학원 시스템에 의해 학습된 결과물이며, 그것을 배우기 위해서는 자본이 필요하다. 결국 자본이 없는 피지배자들은 교육에서 조차 도태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 출처 및 참고문헌
심경우. (1986). 사회학-사회화의 이론. 고시계, 31(3), 320-321.
오욱환, 교육사회학이론의 반성적 검토:사회변혁을 위한 이론을 지향하며, 이화여자대학교,
이종각, 교원교육의 사회학적 접근 - 교원교육과 비판이론, 한국교원교육연구, 1996
학창시절 학원 하나 안다니며 공부를 정말 열심히 하는 친구를 본적이 있다. 그 친구는 공부하는 요령이 없어서 결국 요령이 있었던 다른 친구가 더 좋은 대학에 갔다. 그 요령이란 한국사회에서는 학원 시스템에 의해 학습된 결과물이며, 그것을 배우기 위해서는 자본이 필요하다. 결국 자본이 없는 피지배자들은 교육에서 조차 도태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 출처 및 참고문헌
심경우. (1986). 사회학-사회화의 이론. 고시계, 31(3), 320-321.
오욱환, 교육사회학이론의 반성적 검토:사회변혁을 위한 이론을 지향하며, 이화여자대학교,
이종각, 교원교육의 사회학적 접근 - 교원교육과 비판이론, 한국교원교육연구, 1996
추천자료
교육사회학의 접근 방법 - 기능론, 갈등론, 상화작용론
교육사회학(교육을 문화과정으로 보는 관점에 대해 설명하시오.)
[교육학] 제4장 교육사회학의 이해
사회학적 상상력 후기
갈등주의 입장에서 바라본 국제중학교논란
[사회환경]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사회환경을 논하시오
스포츠사회학이란 어떤 학문인가
“음악사회학의 이해와 목적” -알퐁스 질버만 중심으로-
[예체능] 스포츠의 사회학적 이해
교육사회학 접근이론
스포츠사회학 정의 개념, 학자의 정의, 인성교육, 교육적 향상, 교육사회성 발달, 느낀점
스포츠의 사회학적 이해
교육학개론 - 현 교육현실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주의와 갈등주의 의견 표명
갈등주의의 입장에서 구조기능주의의 문제점을 비판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