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음악사회학의 이해와 목적”
-알퐁스 질버만 중심으로-
서론
본론
1.음악의 사회적 측면
2.음악 사회학
3.음악경험과 그 사회적 결정요소
(1)사회적 현실로서의 음악경험
(2)음악경험의 사회적 결정요소
4.음악사회 집단의 구조.
(1)생산집단
(2)소비집단
4.음악사회 집단의 행위
(1)행동주의
(2)음악경험의 생산에서의 행위
(3)음악경험의 소비에서의 행위
결론
5.음악 사회학의 목적
<참고 문헌>
-알퐁스 질버만 중심으로-
서론
본론
1.음악의 사회적 측면
2.음악 사회학
3.음악경험과 그 사회적 결정요소
(1)사회적 현실로서의 음악경험
(2)음악경험의 사회적 결정요소
4.음악사회 집단의 구조.
(1)생산집단
(2)소비집단
4.음악사회 집단의 행위
(1)행동주의
(2)음악경험의 생산에서의 행위
(3)음악경험의 소비에서의 행위
결론
5.음악 사회학의 목적
<참고 문헌>
본문내용
변화들이 개인의 자유의지의 결과가 아니라는 것은 당연한 이야기라 할 수 있겠다. 음악이 사회생활로 들어오는 많은 방식들을 통해 그로 인해 영향을 받게 되는 것 뿐 아니라 음악이 인간의 충동과 변덕으로 인해 혼돈의 상태로 빠져 들어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음악 생활이 어떠한 정해진 틀 속에 고정되어야 한다고 질버만은 말하고 있다. 이러한 과제를 물론 음악 사회학이 혼자 수행 할 수는 없다. 심리학, 음악사, 이론들 까지 대체 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음악 사회학을 사용하고 싶은 사람은 누구나 객관적이고 공정한 전제들에서 출발해야 하며 편견 없이 사실들을 연구해야 한다. 이러한 사실들은 음악 사회학의 원재료를 구성하나 그 자체가 음악사회학은 아닐 것이다. 원재료는 우선 가공되어져야하고 사회학적 방법들에 의해 분석되어져야하며 그 후 추상화 되어야한다. 이것이 모두 이루어진 후에야 법칙들이 만들어지고 검증될 수 있는 것이다. Ibid., p.91.
따라서 이러한 사회적 활동인 음악의 다이내믹한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 음악 사회학의 일차적 목적이다. 이를 위해 다른 형태들과의 관계의 관점에서 본 음악 생활의 형태들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리하여 두 번째 목적이 누구에게나 이해 가능하고 설득력 있으며 타당한 음악에 대한 접근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된다. 이것이 가장 달성하기 힘든 목적이 아닌가 싶다. 음악을 사회학 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매우 흥미롭고 새로운 것이지만 사회학적인 기본 지식과 관심이 밑바탕에 있어야 누구에게나 이해가 가능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음악사회학은 어떤 사건이 일어나면 다른 어떤 사건이 뒤를 이어 발생할 것이라는 예측력을 지닌 법칙들의 개발이라는 모든 과학이 추구하는 목적을 공유한다.
음악 사회학자는 예술을 현실로부터 분리해 내어서는 안되며 사회적 사실들과 사회 과정의성격과 원인을 자신이 그래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그런가에 따라 연구해야 하며 자신이 제대로 활용 할 수 없는 지식 분야로부터 이론을 구축해서는 안되며 관찰된 사실에 근거하지 않는 그럴 듯 이론을 만들어서는 더욱 안된다. 사실의 관찰이야 말로 음악사회학이 하나의 학문이 되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음악사회학은 그러나 자신의 독특한 연구대상을 연구하기 시작할 때만이 비로소 하나의 학문이 된다고 질버만은 강하게 피력하고 있다. 이런 그의 경험적 연구를 통한 이론들은 이후의 경험적 음악 사회학자들의 길을 열어주었다. 많은 사회학자중 경험적 연구를 바탕으로 그 결과를 들어가면서 음악 사회학의 이론을 펴나간 일퐁스 질버만은 도식주의적인 사고와 사회결정론적 사고로 기득했던 종전의 이론들과는 차별성을 가지지 않았나 싶다. 사회라는 요소는 그 자체적으로 또는 외부적인 요소로 인해 끊임없는 가변성을 가진다. 음악현상의 예술적 특성과 자율성을 인정하면서 그것의 사회적 조건을 밝혀내야하는 음악사회학은 질버만과 같은 경험적 연구를 인해 사회의 미세한 변화까지도 감지하며 음악경험의 소비집단 생산집단 모두에게 한발 쉽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주대창: <음악학 개론>, 서울: 태성출판사 2003.
함희주: “음악 사회학의 이해”, <음악과 민족>제 2호, 부산: 민족음악학회 1991.
현택수: “음악과 사회학”, <음악과 인접 학문> 학회지 제2호. 한국 서양음악학회 1998.
Knief, Tibor :Texte zur musiksoziologie : <음악 사회학 강의>, 부산 :세종출판사 1999
Silbermann, alphons :Die Pinzipien der musiksoziologie :민은기 역, <음악 사회학>, 서 울: 도서출판 예솔 1997
음악 사회학을 사용하고 싶은 사람은 누구나 객관적이고 공정한 전제들에서 출발해야 하며 편견 없이 사실들을 연구해야 한다. 이러한 사실들은 음악 사회학의 원재료를 구성하나 그 자체가 음악사회학은 아닐 것이다. 원재료는 우선 가공되어져야하고 사회학적 방법들에 의해 분석되어져야하며 그 후 추상화 되어야한다. 이것이 모두 이루어진 후에야 법칙들이 만들어지고 검증될 수 있는 것이다. Ibid., p.91.
따라서 이러한 사회적 활동인 음악의 다이내믹한 성격을 보여주는 것이 음악 사회학의 일차적 목적이다. 이를 위해 다른 형태들과의 관계의 관점에서 본 음악 생활의 형태들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리하여 두 번째 목적이 누구에게나 이해 가능하고 설득력 있으며 타당한 음악에 대한 접근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된다. 이것이 가장 달성하기 힘든 목적이 아닌가 싶다. 음악을 사회학 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매우 흥미롭고 새로운 것이지만 사회학적인 기본 지식과 관심이 밑바탕에 있어야 누구에게나 이해가 가능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음악사회학은 어떤 사건이 일어나면 다른 어떤 사건이 뒤를 이어 발생할 것이라는 예측력을 지닌 법칙들의 개발이라는 모든 과학이 추구하는 목적을 공유한다.
음악 사회학자는 예술을 현실로부터 분리해 내어서는 안되며 사회적 사실들과 사회 과정의성격과 원인을 자신이 그래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그런가에 따라 연구해야 하며 자신이 제대로 활용 할 수 없는 지식 분야로부터 이론을 구축해서는 안되며 관찰된 사실에 근거하지 않는 그럴 듯 이론을 만들어서는 더욱 안된다. 사실의 관찰이야 말로 음악사회학이 하나의 학문이 되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음악사회학은 그러나 자신의 독특한 연구대상을 연구하기 시작할 때만이 비로소 하나의 학문이 된다고 질버만은 강하게 피력하고 있다. 이런 그의 경험적 연구를 통한 이론들은 이후의 경험적 음악 사회학자들의 길을 열어주었다. 많은 사회학자중 경험적 연구를 바탕으로 그 결과를 들어가면서 음악 사회학의 이론을 펴나간 일퐁스 질버만은 도식주의적인 사고와 사회결정론적 사고로 기득했던 종전의 이론들과는 차별성을 가지지 않았나 싶다. 사회라는 요소는 그 자체적으로 또는 외부적인 요소로 인해 끊임없는 가변성을 가진다. 음악현상의 예술적 특성과 자율성을 인정하면서 그것의 사회적 조건을 밝혀내야하는 음악사회학은 질버만과 같은 경험적 연구를 인해 사회의 미세한 변화까지도 감지하며 음악경험의 소비집단 생산집단 모두에게 한발 쉽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주대창: <음악학 개론>, 서울: 태성출판사 2003.
함희주: “음악 사회학의 이해”, <음악과 민족>제 2호, 부산: 민족음악학회 1991.
현택수: “음악과 사회학”, <음악과 인접 학문> 학회지 제2호. 한국 서양음악학회 1998.
Knief, Tibor :Texte zur musiksoziologie : <음악 사회학 강의>, 부산 :세종출판사 1999
Silbermann, alphons :Die Pinzipien der musiksoziologie :민은기 역, <음악 사회학>, 서 울: 도서출판 예솔 1997
추천자료
- 음악과의 수행평가 - 리코더를 중심으로 -
- 미드(G. H. Mead)와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 (지역사회학) 성장거점개발전략에 관한 종합적 이해
- [사회학의 이해]이데올로기와 헤게모니의 이해
- [사회학개론]사회자본의 이해
- [소리바다][MP3][음반산업][음악산업][저작권][저작권분쟁][저작권문제][저작물][저작권법][...
- [심리사회학]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와 문제점 제시 2007.4
- 교육학개론 정리
- 사회학의 문화의 이해방법(문화적사대주의)
- 한국 교육의 사회학적 이해
- [사회학개론] 세계화 시대에 있어서 자민족 중심주의적 태도가 필요한가, 필요치 않은가, ...
- [인간과교육人間敎育] 1)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자연주의 교육관, 진보주의 교육관,...
- [사회학의 이해] 대구신용보증재단에 관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