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평생교육의 의의
Ⅱ. UNESCO와 OECD의 설립목적
1. UNESCO의 의의 및 설립목적
2. OECD의 의의 및 설립목적
Ⅲ. UNESCO와 OECD 평생교육전략 비교
Ⅳ. 결론
Ⅴ. 참고문헌
Ⅱ. UNESCO와 OECD의 설립목적
1. UNESCO의 의의 및 설립목적
2. OECD의 의의 및 설립목적
Ⅲ. UNESCO와 OECD 평생교육전략 비교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구체적인 평생교육의 확대 전략 역시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앞선 논의를 보다 간략하게 정의하자면 다음과 같다.
OECD와 UNESCO의 평생교육에 대해 갖는 관점과 가치관, 그리고 이념은 다르며 이에 따라 전략 역시 매우 다르다. UNESCO는 이상주의 학습사회론과 인간중심적 평생교육론을 이념으로 하여 Coombs의 학교 밖 교육, Lengrand의 새로운 평생교육 패러다임 이론 등을 기반으로 하여 교육기회 및 교육내용과 주도권을 확장하는 전략을 사용하여 초기 기초교육 및 문해교육, 고등교육기관의 평생교육 기관화, 모든 이를 위한 평생교육 전략을 사용하였다.
반면 OECD는 경제주의 학습경제론과 전략적 인간자원개발론을 주요이념으로 하여 인간자본론과 사회자본이론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여 평생에 걸친 직업능력개발, 인적 자본과 사회 l자본 개발, 투자로서의 평생학습정책에 관심을 두고 일과 학습을 연계하는 모델을 통해 순환교육 모형 및 생애능력개발을 위한 투자 확대 전략을 사용하였다.
물론, UNESCO와 OECD 모두 교육의 기회와 대상, 내용의 확대를 꾀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으며 평생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한다는 점에서는 필자 역시 크게 공감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전략의 선택에 있어서는 양자가 서로 상보적인 관계에서 조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UNESCO의 평생교육 이념 및 전략은 이상주의적 견지에서 보다 ‘바람직한’ 평생교육이 될 가능성은 있으나 현실에 바로 적용하기에는 선언적 의미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여 현실적합성이 떨어지고 OECD의 평생교육의 경우는 비록 현실적합성은 클지 몰라도 교육을 단순한 ‘직업교육’ 혹은 ‘인적자본에의 투자’라는 식의 환원적인 발상을 통해 교육이 갖는 기능을 협소화 시킨다는 단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OECD의 평생교육 이념과 전략의 경우 단기적인 평생교육전략으로 사용하여 평생교육의 필요성 및 기본 인프라를 구축하고 점차 이를 확장하여 UNESCO가 이야기하는 이상주의적 학습공동체를 형성하고 보다 전인적 발달을 위한 평생교육으로 확장시켜나가는 전략, 즉 통합적 전략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Ⅴ. 참고문헌
김성길, 『UNESCO와 OECD의 평생교육전략 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평생여가교육의 가능성』, 2004
이희수, 『UNESCO 세계성인교육회의가 평생교육정체성 형성에 미친 영향 연구』, 2005
이희수, 『평생교육 삼두체
OECD와 UNESCO의 평생교육에 대해 갖는 관점과 가치관, 그리고 이념은 다르며 이에 따라 전략 역시 매우 다르다. UNESCO는 이상주의 학습사회론과 인간중심적 평생교육론을 이념으로 하여 Coombs의 학교 밖 교육, Lengrand의 새로운 평생교육 패러다임 이론 등을 기반으로 하여 교육기회 및 교육내용과 주도권을 확장하는 전략을 사용하여 초기 기초교육 및 문해교육, 고등교육기관의 평생교육 기관화, 모든 이를 위한 평생교육 전략을 사용하였다.
반면 OECD는 경제주의 학습경제론과 전략적 인간자원개발론을 주요이념으로 하여 인간자본론과 사회자본이론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여 평생에 걸친 직업능력개발, 인적 자본과 사회 l자본 개발, 투자로서의 평생학습정책에 관심을 두고 일과 학습을 연계하는 모델을 통해 순환교육 모형 및 생애능력개발을 위한 투자 확대 전략을 사용하였다.
물론, UNESCO와 OECD 모두 교육의 기회와 대상, 내용의 확대를 꾀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으며 평생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한다는 점에서는 필자 역시 크게 공감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전략의 선택에 있어서는 양자가 서로 상보적인 관계에서 조합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UNESCO의 평생교육 이념 및 전략은 이상주의적 견지에서 보다 ‘바람직한’ 평생교육이 될 가능성은 있으나 현실에 바로 적용하기에는 선언적 의미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여 현실적합성이 떨어지고 OECD의 평생교육의 경우는 비록 현실적합성은 클지 몰라도 교육을 단순한 ‘직업교육’ 혹은 ‘인적자본에의 투자’라는 식의 환원적인 발상을 통해 교육이 갖는 기능을 협소화 시킨다는 단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OECD의 평생교육 이념과 전략의 경우 단기적인 평생교육전략으로 사용하여 평생교육의 필요성 및 기본 인프라를 구축하고 점차 이를 확장하여 UNESCO가 이야기하는 이상주의적 학습공동체를 형성하고 보다 전인적 발달을 위한 평생교육으로 확장시켜나가는 전략, 즉 통합적 전략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Ⅴ. 참고문헌
김성길, 『UNESCO와 OECD의 평생교육전략 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평생여가교육의 가능성』, 2004
이희수, 『UNESCO 세계성인교육회의가 평생교육정체성 형성에 미친 영향 연구』, 2005
이희수, 『평생교육 삼두체
추천자료
평생교육의 이론적 개괄
성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기획과 설계
[사범/법학] 스웨덴의 평생교육 시스템 살펴보기
장애인 평생교육 관계자의 요구분석
평생교육경영의 필요성
[인문과학] 직장내 평생교육(미리보기 및 목차확인요)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론_과제
평생교육제도의 유형과 개혁 방향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론_팀별과제(최종)
평생교육사란?
평생교육방법론의 교수전략과 교수방법을 활용하여 프로그램 개발 계획서를 작성
평생교육기관의 질 관리와 평가
평생교육의 수직적 통합과 수평적 통합의 뜻을 개인의 사례를 들어 설명
오늘날의 평생교육은 개인의 자유로운 학습선택권을 존중해야 한다는 시장주도형 관점을 지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