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장이머우 감독
2. 장이머우 감독의 영화 <5일의 마중>
3. 중국 현대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주인공의 가족이 어떠한 영향을 받았는지 분석
1) 문화대혁명의 배경
2) 문화대혁명의 전개
3) 문화대혁명의 결과
4) 중국 현대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주인공의 가족이 받은 영향
(1) 희망과 꿈
(2) 배신
(3) 이별
(4) 상처
(5) 용서와 헌신
(6) 혈육 간의 단절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장이머우 감독
2. 장이머우 감독의 영화 <5일의 마중>
3. 중국 현대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주인공의 가족이 어떠한 영향을 받았는지 분석
1) 문화대혁명의 배경
2) 문화대혁명의 전개
3) 문화대혁명의 결과
4) 중국 현대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주인공의 가족이 받은 영향
(1) 희망과 꿈
(2) 배신
(3) 이별
(4) 상처
(5) 용서와 헌신
(6) 혈육 간의 단절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소집된 중공 제 9차 전국대표대회에서 문화대혁명의 잘못된 이론과 실천을 합법화하였으며, 린뱌오를 후계자로 결정, 당장(黨章)에 명시하였다. 요약하자면, 마오쩌둥의 정치적 라이벌을 제거하기 위하여, 장칭(江靑)과 린뱌오가 협력하던 시기라 할 수 있다.
3) 문화대혁명의 결과
마오쩌둥은 문혁에 대해 “70%의 성공과 30%의 실패” 라고 스스로를 평가하였다. 마오쩌둥 사망 이후 덩샤오핑(小平)의 주도하에 제정 된 ‘역사결의’에서 문화대혁명을 ‘재난적 내란’ 이라고 평가하였지만 마오쩌둥 개인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 이였다. 오히려 당은 문혁으로 핍박받고 처벌당한 사람들의 명예를 회복시키고 4인방을 척결하였기 때문에 문혁이 완전하게 청산 되었다고 이야기하며 더 이상 문혁에 대해 거론하는 것과 거론 되어지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문혁 50주년을 맞은 오늘날에는 문혁의 과오를 인정하고 반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으며 『환구시보(球)』는 “문혁과 같은 과오가 다시는 일어나는 것을 용납하지 않겠다”며 문혁을 비판하는 논평을 기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중국의 저명한 작가 바진(巴金)은 문화대혁명 시기는 한 때의 ‘악몽’이 아닌 여전히 몸에 남아있는 ‘나쁜 열매’라 하였다. 또한, 그는 자손들이 10여년의 참혹한 교훈을 기억해야 할 책임이 있으며, 역사의 재연을 방지하자는 것이 말로만 언급 될 것이 아니라 문혁박물관을 건립하여 모두에게 문혁의 전 과정을 보게 하여 10년 동안 어떻게 행동했는지 반성하게 하고 지난 시간의 빚을 갚아나가야 한다고 말하며, “‘문혁’박물관을 건립하는 것은 대단히 필요한 일이며, ‘과거’를 잊지 않는 자가 ‘미래’의 주인이 될 수 있다”고 말하며 문혁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4) 중국 현대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주인공의 가족이 받은 영향
(1) 희망과 꿈
<5일의 마중>은 이별과 만남이 있는 이합형(合性)서사구조의 특징으로 인해 루옌스와 펑완위의 감정이 도드라져 비극성을 더욱 극대화 시키며, 이러한 서정적인 표현을 더욱 강조하는 것은 중국의 예술 특징과 부합하는 것이다. <5일의 마중>은 크게 루옌스가 탈옥하여 다시 붙잡히기까지의 전반부와 문화대혁명이 끝나고 무죄로 풀려나 집으로 돌아간 루옌스가 기억장애를 겪는 아내를 위해 헌신하는 삶을 사는 후반부로 나눌 수 있다. 전반부에서는 갈등의 시작과 고조가 빠르게 진행되어 긴장감을 조성한다. 章瑾은 줄거리 전개에서 ‘인생의 돌아옴’을 중심으로 삼는 메인플롯과 ‘희망과 꿈을 지킴’, ‘포기와 새로운 삶’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서브플롯 속에서 당 시대를 대표하는 루옌스 일가의 삶과 처한 상황, 그리고 사회에 대한 생각을 여과 없이 드러내 보인다.
(2) 배신
단단은 범죄자 아버지를 두었다는 이유로 주인공 배역을 빼앗기게 되고 상심한 마음으로 집에 돌아간다. 가족을 만나기 위해 집 앞까지 도달한 루옌스는 그곳에서 단단을 마주친다. 단단은 루옌스를 거부하게 되고 루옌스는 펑완위를 만나지 못해 문틈으로 쪽지만 전해 주게 된다. 이를 안 단단은 밖에서 기다리던 정부관리자에게 무용단의 주인공역을 다시 되찾게 해달라는 조건으로 펑완위와 루옌스의 만남을 고발한다.
하지만 루옌스는 문틈으로 약속시간과 장소가 적힌 쪽지를 문틈으로 전하게 되고 아내인 펑완위는 다음 날 아침, 루옌스를 만나기 위해 기차역으로 향한다. 그 사실을 알고 있던 정부 관료들은 홍위병을 대동해 루옌스를 체포하기에 이른다. 아버지를 고발했음에도 불구하고 주인공역을 맡지 못하게 되고 3년 후 문화대혁명은 막을 내린다.
(3) 이별
문화대혁명이 끝나고 루옌스는 무죄로 풀려나 아내 펑완위를 찾아가지만 아내는 심인성 기억장애로 인해 루옌스를 팡아저씨라 착각하고
3) 문화대혁명의 결과
마오쩌둥은 문혁에 대해 “70%의 성공과 30%의 실패” 라고 스스로를 평가하였다. 마오쩌둥 사망 이후 덩샤오핑(小平)의 주도하에 제정 된 ‘역사결의’에서 문화대혁명을 ‘재난적 내란’ 이라고 평가하였지만 마오쩌둥 개인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 이였다. 오히려 당은 문혁으로 핍박받고 처벌당한 사람들의 명예를 회복시키고 4인방을 척결하였기 때문에 문혁이 완전하게 청산 되었다고 이야기하며 더 이상 문혁에 대해 거론하는 것과 거론 되어지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문혁 50주년을 맞은 오늘날에는 문혁의 과오를 인정하고 반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으며 『환구시보(球)』는 “문혁과 같은 과오가 다시는 일어나는 것을 용납하지 않겠다”며 문혁을 비판하는 논평을 기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중국의 저명한 작가 바진(巴金)은 문화대혁명 시기는 한 때의 ‘악몽’이 아닌 여전히 몸에 남아있는 ‘나쁜 열매’라 하였다. 또한, 그는 자손들이 10여년의 참혹한 교훈을 기억해야 할 책임이 있으며, 역사의 재연을 방지하자는 것이 말로만 언급 될 것이 아니라 문혁박물관을 건립하여 모두에게 문혁의 전 과정을 보게 하여 10년 동안 어떻게 행동했는지 반성하게 하고 지난 시간의 빚을 갚아나가야 한다고 말하며, “‘문혁’박물관을 건립하는 것은 대단히 필요한 일이며, ‘과거’를 잊지 않는 자가 ‘미래’의 주인이 될 수 있다”고 말하며 문혁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4) 중국 현대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주인공의 가족이 받은 영향
(1) 희망과 꿈
<5일의 마중>은 이별과 만남이 있는 이합형(合性)서사구조의 특징으로 인해 루옌스와 펑완위의 감정이 도드라져 비극성을 더욱 극대화 시키며, 이러한 서정적인 표현을 더욱 강조하는 것은 중국의 예술 특징과 부합하는 것이다. <5일의 마중>은 크게 루옌스가 탈옥하여 다시 붙잡히기까지의 전반부와 문화대혁명이 끝나고 무죄로 풀려나 집으로 돌아간 루옌스가 기억장애를 겪는 아내를 위해 헌신하는 삶을 사는 후반부로 나눌 수 있다. 전반부에서는 갈등의 시작과 고조가 빠르게 진행되어 긴장감을 조성한다. 章瑾은 줄거리 전개에서 ‘인생의 돌아옴’을 중심으로 삼는 메인플롯과 ‘희망과 꿈을 지킴’, ‘포기와 새로운 삶’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서브플롯 속에서 당 시대를 대표하는 루옌스 일가의 삶과 처한 상황, 그리고 사회에 대한 생각을 여과 없이 드러내 보인다.
(2) 배신
단단은 범죄자 아버지를 두었다는 이유로 주인공 배역을 빼앗기게 되고 상심한 마음으로 집에 돌아간다. 가족을 만나기 위해 집 앞까지 도달한 루옌스는 그곳에서 단단을 마주친다. 단단은 루옌스를 거부하게 되고 루옌스는 펑완위를 만나지 못해 문틈으로 쪽지만 전해 주게 된다. 이를 안 단단은 밖에서 기다리던 정부관리자에게 무용단의 주인공역을 다시 되찾게 해달라는 조건으로 펑완위와 루옌스의 만남을 고발한다.
하지만 루옌스는 문틈으로 약속시간과 장소가 적힌 쪽지를 문틈으로 전하게 되고 아내인 펑완위는 다음 날 아침, 루옌스를 만나기 위해 기차역으로 향한다. 그 사실을 알고 있던 정부 관료들은 홍위병을 대동해 루옌스를 체포하기에 이른다. 아버지를 고발했음에도 불구하고 주인공역을 맡지 못하게 되고 3년 후 문화대혁명은 막을 내린다.
(3) 이별
문화대혁명이 끝나고 루옌스는 무죄로 풀려나 아내 펑완위를 찾아가지만 아내는 심인성 기억장애로 인해 루옌스를 팡아저씨라 착각하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