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문제제기
2.제사의 유래
3.유교와 제사
4.제사와 유교적인 마음가짐
5.제사와 다른 종교
6.맺음말
참고문헌
2.제사의 유래
3.유교와 제사
4.제사와 유교적인 마음가짐
5.제사와 다른 종교
6.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야 한다는 것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조상을 서양에서 말하는 수호천사의 의미로서 믿고 제사를 지낸 것인데 말이다.
오늘날에도 종교 간의 갈등이 많이 나타나는데, 결혼의 경우에 특히 심하게 나타난다. 기독교 집안은 대체로 보면 거의 기독교 집안과 결혼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사람이 살면서 사랑하는 사람이 반드시 기독교사람일 수 있겠는가. 이러한 결혼으로 인한 종교 간의 갈등(주로 기독교-그 외의 종교)의 주된 원인이 바로 제사의 여부라고 여겨진다. 우리나라는 유교나 다른 문화를 중국에서 수용하여 우리만의 전통으로 새로이 만들어왔다. 유교나 제사 또한 그러하다. 우리만의 보본반시의 마음가짐으로 형성된 제사가 누군가에게 갈등의 원인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6.맺음말
현대사회에서 많이 퇴색된 유교의 의미를 되살펴 보고, 이러한 유교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제사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예로부터 중요하게 여겨진 유교적인 마음을 통해 형성된 가족제도가 오늘날 급격한 산업화 등으로 인해 차츰 그 의미를 잃어가고 있는 상황도 살펴보았다. 하지만 우리나라를 일으킨 한강의 기적이나, IMF라는 국가적인 위기에서 다시 일어설 수 있었던 것은, 예와 효를 숭상하고 부모님을 공경하며, 자식을 너무나도 사랑하는 유교적인 마음으로 형성된 한국의 가족제도 덕분이다. 또한 현재에는 인간소외, 물질만능주의의 팽배 등 현대사회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유교, 나아가 유교적인 마음으로 형성된 사회가 분명히 도움이 되는 대안일 것이다. 이러한 효를 중시하는 유교적인 마음을 널리 형성하는 데에 보본반시의 마음을 가진 제사가 또한 대안일 것이다. 제사를 강요할 생각은 전혀 없다. 다만 보본반시의 마음으로 조상을 공경하라는 것이다. 이러한 보본반시의 마음이 마음속 깊이 형성 된다면 자연스레 제사라는 문화는 동방예의지국이라 불리었던 우리나라의 전통으로서, 현대사회의 문제의 대안으로서 자리 잡을 것이다. 법으로서의 강요에 의해 문제들이 해결되는 것이 아닌, 유교라는 예절에서의 의미에 의해 문제들이 해결될 날이 올 것이다.
종교적인 이념과 대립되지 않고, 부모와 조상을 공경하는 효의 의미, 보본반시의 마음에서의 제사가 널리 행해지는 그날을 기약하며...
참고문헌
- [논문] 유교 제의에 담긴 예의 정신 -'예기' 제사 류의 제사의식을 중심으로 / 박례경
- <논어 : 팔일편> 의 일부 구절
- <효경> 의 일부 구절
오늘날에도 종교 간의 갈등이 많이 나타나는데, 결혼의 경우에 특히 심하게 나타난다. 기독교 집안은 대체로 보면 거의 기독교 집안과 결혼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사람이 살면서 사랑하는 사람이 반드시 기독교사람일 수 있겠는가. 이러한 결혼으로 인한 종교 간의 갈등(주로 기독교-그 외의 종교)의 주된 원인이 바로 제사의 여부라고 여겨진다. 우리나라는 유교나 다른 문화를 중국에서 수용하여 우리만의 전통으로 새로이 만들어왔다. 유교나 제사 또한 그러하다. 우리만의 보본반시의 마음가짐으로 형성된 제사가 누군가에게 갈등의 원인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6.맺음말
현대사회에서 많이 퇴색된 유교의 의미를 되살펴 보고, 이러한 유교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제사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예로부터 중요하게 여겨진 유교적인 마음을 통해 형성된 가족제도가 오늘날 급격한 산업화 등으로 인해 차츰 그 의미를 잃어가고 있는 상황도 살펴보았다. 하지만 우리나라를 일으킨 한강의 기적이나, IMF라는 국가적인 위기에서 다시 일어설 수 있었던 것은, 예와 효를 숭상하고 부모님을 공경하며, 자식을 너무나도 사랑하는 유교적인 마음으로 형성된 한국의 가족제도 덕분이다. 또한 현재에는 인간소외, 물질만능주의의 팽배 등 현대사회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유교, 나아가 유교적인 마음으로 형성된 사회가 분명히 도움이 되는 대안일 것이다. 이러한 효를 중시하는 유교적인 마음을 널리 형성하는 데에 보본반시의 마음을 가진 제사가 또한 대안일 것이다. 제사를 강요할 생각은 전혀 없다. 다만 보본반시의 마음으로 조상을 공경하라는 것이다. 이러한 보본반시의 마음이 마음속 깊이 형성 된다면 자연스레 제사라는 문화는 동방예의지국이라 불리었던 우리나라의 전통으로서, 현대사회의 문제의 대안으로서 자리 잡을 것이다. 법으로서의 강요에 의해 문제들이 해결되는 것이 아닌, 유교라는 예절에서의 의미에 의해 문제들이 해결될 날이 올 것이다.
종교적인 이념과 대립되지 않고, 부모와 조상을 공경하는 효의 의미, 보본반시의 마음에서의 제사가 널리 행해지는 그날을 기약하며...
참고문헌
- [논문] 유교 제의에 담긴 예의 정신 -'예기' 제사 류의 제사의식을 중심으로 / 박례경
- <논어 : 팔일편> 의 일부 구절
- <효경> 의 일부 구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