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선택이유
2. 기업소개
3. 창업자 및 창업 배경
4. 내부 역량 분석 & 외부 환경 분석
5. 재무 및 인력 구성
6. STP분석
7. 4P분석
8. 경쟁자 분석
9. SWOT분석
10. 앞으로의 성장과 성장환경
2. 기업소개
3. 창업자 및 창업 배경
4. 내부 역량 분석 & 외부 환경 분석
5. 재무 및 인력 구성
6. STP분석
7. 4P분석
8. 경쟁자 분석
9. SWOT분석
10. 앞으로의 성장과 성장환경
본문내용
trength)
① 다양한 제품의 저렴한 가격
미샤의 제품은 대부분 10000원을 넘지 않는다. 최근에 출시한 레티놀 에센스도 기존의 국내 화장품 브랜드들이 3~5만원을 넘는데 비해 미샤는 9900원 밖에 하지 않는다. 미샤는 유통과정을 대폭 축소하고 쓸데 없는 포장을 줄이며 광고를 하지 않음으로 저렴한 가격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이렇게 저렴한 가격을 고객을 유치하는 확실한 유인이 되었다. 또한 가격이 저렴하다는 것은 제품의 회전율이 좋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그래서 재고가 나지 않아 계속 새로운 제품을 공급할 수 있다.
② 자체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고객 분석이 용이
미샤가 가지고 있는 자체 인터넷 사이트 뷰티넷(www.beautynet.co.kr) 은 시간당 방문자 수로 볼 때 여성 포탈 사이트 내 3위를 차지할 정도로 방문자수가 많다. 미샤는 이와 같은 회원을 이용, \"제품 후기\", \"신제품 제안\", \"미샤에게 바란다\" 등과 같은 코너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미샤는 고객 성향이나 제품 피드백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고 이를 제품에 반영할 수 있다.
③ 자체 브랜드 매장의 확대
기존의 국내 화장품 브랜드가 백화점 입점이나 방문판매, 화장품 전문점에 한정되어 있던 반면, 미샤는 자체적인 브랜드 매장을 500개나 가지고 유동인구가 많은 곳을 공략하고 있어 매출 신장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또한 매장내에서는 테스터와 뷰티 카운셀러 제도가 운영되고 있고, 철저히 정가제를 내세우고 있어 고객들에게 신뢰를 쌓고 있다.
그 외에도 구전 마케팅이 뛰어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4) 약점 (Weakness)
① 주력제품이 없이 상품 다각화만 시킴
화장품 산업에서는 주력 제품이 굉장히 중요하다. 주력 제품은 고성장, 지속적인 성장으로 가게 해주는 열쇠이다. 나드리의 \"이노센스 투웨이 케익\" 참존의 \"탑 클래스\"가 좋은 예이다. 그러나 미샤는 특별한 주력 제품 없이 총 브랜드 수 6개, 제품 수만 10000개가 넘게 생산하고 있다. 주력 제품이 없으면 재 구매로 이어질 가능성이 희박하다. 무턱대고 상품만 다각화 시키지 말고 주력 제품에 중심적으로 기술 개발 투자를 해야 할 것이다.
② 미비한 브랜드 컨셉, 브랜드 이미지
화장품은 품질과 디자인도 중요하지만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10여년이 넘는 기간 동안 장수하고 있는 브랜드인 태평양의 마몽드와 아이오페, LG생활건강의 이자녹스, 참존등도 지속적인 광고와 프로모션 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 구축이 성장에 큰 바탕이 되었다. 그러나 미샤의 경우 브랜드 컨셉이 아직 미비하여 최근과 같은 초저가 제품 유행이 걷히게 되면 과연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한지 그 미래가 불투명하다.
그 외에도 제품에 대한 신뢰도와 일회성 구매욕구가 있다는 점이 있다.
10. 앞으로의 성장과 성장환경
① 국내시장에서의 성장
국내 화장품산업의 총생산규모는 2009년 5조 1,686억 원으로 2008년에 비해 9.5%의 성장을 기록하였고, 국내 총생산(GDP) 대비 0.49%를 차지하였다. 한편, 2007년에는 세계경기불황 여파로 인한 국내 내수경기 위축과 더불어 소비침체 등의 영향 때문에 다른 해에 비해 화장품산업의 전년대비 성장률이 2.3% 수준에 그쳤다. 이에 따라 2007년에는 화장품 시장이 다소 위축되었던 것이 2008년과 2009년 경기가 회복됨에 따라 2007년 이전보다 높은 성장수준을 나타내고 있었다. 다행히 2010년 들어 여러 화장품 산업과 관련한 지표들 또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글로벌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화장품 산업은 다른 산업분야에 비해 경기침체에 의한 영향을 덜 받았으며, 특히 투자 대비 고부가가치를 창출함으로써 향후 지속성장 가능한 산업분야로 손꼽히고 있다. 또한 화장품 산업은 최근 고령화, 여성의 소득 증대, 웰빙 추세 등에 따라 기능성 제품을 비롯한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샤는 국내시장에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성장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
- 지속적인 R&D 투자로 미샤 제품에 대한 충성도를 강화
- 프로슈머의 역할과 기능의 강화를 통한 성장
- 매장 직원들의 서비스교육 강화를 통한 성장
- 브랜드 고급화 전략을 통한 성장
-패션지, 여성전문 잡지를 통한 광고 필요
-배송 시간 단축
-저가격 정책을 계속 펼치면서도 현재 품질 유지 및 향상
-백화점, 대형마트로의 지속적인 진출
-미샤 zone
② 해외시장에서의 성장
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글로벌화가 필수, 현재 진행하고 있는 해외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친하여 해외에서 수입을 창출하고,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 브랜드의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성장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
- 한류열풍을 이용한 다국 진출
- 동북아시아 및 아랍권 국가 집중화를 통한 성장
- 현지 국가 문화에 맞는 마케팅 전략
또한 미샤가 세계적인 브랜드로 인식되어 진다면 단지 값싼 제품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국내 소비자들에게도 가격면에서나 품질면에서까지 인정받을 수 있는 제품으로 인식되어 해외시장 뿐 아니라 국내시장에서도 충분한 성장을 이룰 것이다.
<참고문헌>
http://www.able-cnc.com/
한국경제, [라이벌시대 화장품 브랜드 숍] 미샤 VS 더페이스샵 (2012.03.19.)
머니투데이, 미샤 1분기 매출액, 더페이스샵에 밀렸다 (2012.05.03)
초저가 화장품 시대를 연 미샤 / 이선영 지음
미샤 3300원의 신화 / 우병현 지음
http://blog.naver.com/rodeo200?Redirect=Log&logNo=60013703081
http://blog.naver.com/skzhskel?Redirect=Log&logNo=100152706767
http://blog.naver.com/teducenter?Redirect=Log&logNo=40043583221
http://www.consumernews.co.kr/news/view.html?gid=main&bid=news&pid=312394
http://www.consumernews.co.kr/news/view.html?gid=main&bid=news&pid=312394
① 다양한 제품의 저렴한 가격
미샤의 제품은 대부분 10000원을 넘지 않는다. 최근에 출시한 레티놀 에센스도 기존의 국내 화장품 브랜드들이 3~5만원을 넘는데 비해 미샤는 9900원 밖에 하지 않는다. 미샤는 유통과정을 대폭 축소하고 쓸데 없는 포장을 줄이며 광고를 하지 않음으로 저렴한 가격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이렇게 저렴한 가격을 고객을 유치하는 확실한 유인이 되었다. 또한 가격이 저렴하다는 것은 제품의 회전율이 좋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그래서 재고가 나지 않아 계속 새로운 제품을 공급할 수 있다.
② 자체 인터넷 사이트를 통한 고객 분석이 용이
미샤가 가지고 있는 자체 인터넷 사이트 뷰티넷(www.beautynet.co.kr) 은 시간당 방문자 수로 볼 때 여성 포탈 사이트 내 3위를 차지할 정도로 방문자수가 많다. 미샤는 이와 같은 회원을 이용, \"제품 후기\", \"신제품 제안\", \"미샤에게 바란다\" 등과 같은 코너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미샤는 고객 성향이나 제품 피드백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고 이를 제품에 반영할 수 있다.
③ 자체 브랜드 매장의 확대
기존의 국내 화장품 브랜드가 백화점 입점이나 방문판매, 화장품 전문점에 한정되어 있던 반면, 미샤는 자체적인 브랜드 매장을 500개나 가지고 유동인구가 많은 곳을 공략하고 있어 매출 신장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또한 매장내에서는 테스터와 뷰티 카운셀러 제도가 운영되고 있고, 철저히 정가제를 내세우고 있어 고객들에게 신뢰를 쌓고 있다.
그 외에도 구전 마케팅이 뛰어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4) 약점 (Weakness)
① 주력제품이 없이 상품 다각화만 시킴
화장품 산업에서는 주력 제품이 굉장히 중요하다. 주력 제품은 고성장, 지속적인 성장으로 가게 해주는 열쇠이다. 나드리의 \"이노센스 투웨이 케익\" 참존의 \"탑 클래스\"가 좋은 예이다. 그러나 미샤는 특별한 주력 제품 없이 총 브랜드 수 6개, 제품 수만 10000개가 넘게 생산하고 있다. 주력 제품이 없으면 재 구매로 이어질 가능성이 희박하다. 무턱대고 상품만 다각화 시키지 말고 주력 제품에 중심적으로 기술 개발 투자를 해야 할 것이다.
② 미비한 브랜드 컨셉, 브랜드 이미지
화장품은 품질과 디자인도 중요하지만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10여년이 넘는 기간 동안 장수하고 있는 브랜드인 태평양의 마몽드와 아이오페, LG생활건강의 이자녹스, 참존등도 지속적인 광고와 프로모션 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 구축이 성장에 큰 바탕이 되었다. 그러나 미샤의 경우 브랜드 컨셉이 아직 미비하여 최근과 같은 초저가 제품 유행이 걷히게 되면 과연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한지 그 미래가 불투명하다.
그 외에도 제품에 대한 신뢰도와 일회성 구매욕구가 있다는 점이 있다.
10. 앞으로의 성장과 성장환경
① 국내시장에서의 성장
국내 화장품산업의 총생산규모는 2009년 5조 1,686억 원으로 2008년에 비해 9.5%의 성장을 기록하였고, 국내 총생산(GDP) 대비 0.49%를 차지하였다. 한편, 2007년에는 세계경기불황 여파로 인한 국내 내수경기 위축과 더불어 소비침체 등의 영향 때문에 다른 해에 비해 화장품산업의 전년대비 성장률이 2.3% 수준에 그쳤다. 이에 따라 2007년에는 화장품 시장이 다소 위축되었던 것이 2008년과 2009년 경기가 회복됨에 따라 2007년 이전보다 높은 성장수준을 나타내고 있었다. 다행히 2010년 들어 여러 화장품 산업과 관련한 지표들 또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글로벌 경제위기에도 불구하고 화장품 산업은 다른 산업분야에 비해 경기침체에 의한 영향을 덜 받았으며, 특히 투자 대비 고부가가치를 창출함으로써 향후 지속성장 가능한 산업분야로 손꼽히고 있다. 또한 화장품 산업은 최근 고령화, 여성의 소득 증대, 웰빙 추세 등에 따라 기능성 제품을 비롯한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샤는 국내시장에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성장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
- 지속적인 R&D 투자로 미샤 제품에 대한 충성도를 강화
- 프로슈머의 역할과 기능의 강화를 통한 성장
- 매장 직원들의 서비스교육 강화를 통한 성장
- 브랜드 고급화 전략을 통한 성장
-패션지, 여성전문 잡지를 통한 광고 필요
-배송 시간 단축
-저가격 정책을 계속 펼치면서도 현재 품질 유지 및 향상
-백화점, 대형마트로의 지속적인 진출
-미샤 zone
② 해외시장에서의 성장
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글로벌화가 필수, 현재 진행하고 있는 해외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친하여 해외에서 수입을 창출하고,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 브랜드의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성장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
- 한류열풍을 이용한 다국 진출
- 동북아시아 및 아랍권 국가 집중화를 통한 성장
- 현지 국가 문화에 맞는 마케팅 전략
또한 미샤가 세계적인 브랜드로 인식되어 진다면 단지 값싼 제품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국내 소비자들에게도 가격면에서나 품질면에서까지 인정받을 수 있는 제품으로 인식되어 해외시장 뿐 아니라 국내시장에서도 충분한 성장을 이룰 것이다.
<참고문헌>
http://www.able-cnc.com/
한국경제, [라이벌시대 화장품 브랜드 숍] 미샤 VS 더페이스샵 (2012.03.19.)
머니투데이, 미샤 1분기 매출액, 더페이스샵에 밀렸다 (2012.05.03)
초저가 화장품 시대를 연 미샤 / 이선영 지음
미샤 3300원의 신화 / 우병현 지음
http://blog.naver.com/rodeo200?Redirect=Log&logNo=60013703081
http://blog.naver.com/skzhskel?Redirect=Log&logNo=100152706767
http://blog.naver.com/teducenter?Redirect=Log&logNo=40043583221
http://www.consumernews.co.kr/news/view.html?gid=main&bid=news&pid=312394
http://www.consumernews.co.kr/news/view.html?gid=main&bid=news&pid=312394
추천자료
[중소기업경영론] 중소기업에 있어서 고객만족과 고객관계관리
[중소기업경영론]홈비즈니스와 전자상거래
(중소기업경영론2B)중소기업의 인적자원관리에 관하여 설명하시오00.
2007년 2학기 중소기업경영론 중간시험과제물 E형
2007년 2학기 중소기업경영론 중간시험과제물 D형
[중소기업 경영론] 중소기업이 경제환경에 미치는 중요성에 대하여
중소기업 경영론 (서비스 운영전략, 고객관계 관리, CRM, 대한항공, 이스타항공).PPT자료
중소기업- 시장조사 사례,창업과 중소기업 경영론,중소기업 사례,케라시스-놀부,브랜드마케팅...
(중소기업경영론 공통) 자신이 새로운 기업을 창업한다고 생각하고, 창업을 위해 필요한 새...
[중소기업 경영론] “코원”에 대한 분석 및 지속성장 전략
[중소기업 경영론] 이스트 소프트
[중소기업 경영론] YG Entertainment
[중소기업경영론 공통] 자신이 새로운 기업을 창업한다고 생각하고 사업계획서를 작성해보시오
소개글